'소녀상 전시' 독일 박물관에 걸려온 이상한 전화

한정화·정유진·이승주 2022. 7. 27. 12: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카셀대학 소녀상 제막식 이후 일본 대사관, 확인 요청.. 소녀상 건립 때마다 집요하게 항의·압박

[한정화·정유진·이승주 기자]

 2021년 8월 1일, 독일 드레스덴 박물관연합 특별전시관에 전시된 평화의 소녀상 모습.
ⓒ 연합뉴스
 
일본은 독일에서 소녀상이 건립될 때마다 매우 기민하게 움직이곤 한다. 일본 측의 독일 카셀대 소녀상 관련 움직임은 제막식(7월 8일)이 열리기 전부터 시작되었다. 7월 7일 국내 언론을 통해 카셀대학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 관련 보도가 나간 바로 다음 날 오전, 독일 코리아협의회는 드레스덴 박물관 측으로부터 연락을 받았다.

지난해인 2021년 봄 '언어상실-큰 소리의 침묵' 전시(독일어 Sprachlosigkeit–Das laute Verstummen)에서 일본군 위안부 운동을 독일 사회에 소개하고 소녀상을 전시했던, 바로 그 드레스덴 민속박물관이었다. 

소녀상 전시 박물관에 온 일본 대사관의 확인 전화 

내용인즉슨, 일본 대사관에서 당시 박물관 측에 전화해 카셀대학에 설치될 소녀상이 드레스덴박물관에 있던 그 소녀상인지 확인해 달라고 했다는 것이다. 박물관 관계자는 이에 "소녀상은 코리아협의회가 주도하는 것인데 그쪽에 물어보지 왜 우리한테 물어보냐"고 한 뒤 전화를 끊었다고 한다.

다행히 그 뒤 카셀 대학 내에 소녀상을 건립하기까지 더 이상 일본의 방해는 없었고, 제막식 또한 성공적으로 끝날 수 있었다(관련 기사: '소녀상 영구설치' 결정한 독일 학생들, 뒷이야기 공개합니다).
 
 지난 7월 8일, 카셀대 소녀상 제막식에서 헌화하는 한정화 대표(왼쪽)와 총학생회 회장 토비아스(오른쪽)의 모습.
ⓒ 저작권Uli Kretschmer_제공자 코리아협의회
 
그러나 제막식이 열린 후 불과 3일 뒤, 프랑크푸르트 일본 총영사가 카셀대 측과 만났다는 소식을 접했다. 일본 영사는 대학 총장과의 면담을 갖고 캠퍼스 내 설립된 소녀상에 우려를 표했다고 한다. 소식을 전해준 카셀대 총학생회장 토비아스에 따르면, 일본 영사와 카셀대 총장, 부총장은 소녀상 문제로 긴 시간 면담을 했고, 여기서 일본 영사는 "소녀상 설치는 반일 감정을 조장, 카셀 지역의 평화를 위태롭게 할 수 있다"는 이유로 소녀상 철거를 요청했단다. 

하지만 소녀상이 설립된 신축공원 부지는 총학생회 측이 관리하는 공공 부지로, 소녀상 설립을 주도한 총학생회 측은 사전에 소녀상 설립에 대한 대학 측 허가를 이미 받아 놓은 상황이었다. 대학 행정과 학생회 자치로 성사된 소녀상 건립이었음에도, 일본 영사는 여기에 또다시 부당한 압력을 행사하려 한 것이다. 다행히도 대학 총장은 일본 영사의 우려를 총학생회장에 메일로 전달하는 데 그쳤다고 한다.  

집요한 일본의 압박

앞서 일본 측의 항의성 문의 전화를 받았던 드레스덴 박물관은, 소녀상 전시와 관련해 이미 일본 측의 거센 압박을 받은 경험이 있다. 지난해인 2021년 소녀상 전시는 당시 독일 공공박물관에 설치된 첫 사례이자 유럽 내 공공박물관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다룬 첫 사례이기도 했다.

당시 4월 15일로 예정돼 있던 제막식과 기자회견 하루 전부터, 주독일 일본대사관 문화담당 공사의 '소녀상 철거 요청 서한'을 시작으로 지독한 괴롭힘이 시작됐다고 한다. 

당시 매일 수백 통씩 소녀상 철거 요구하는 내용의 이메일이 쏟아졌고 사무실 전화통에도 불이 날 정도였다고 한다. 소녀상은 원래 이 기획전 기간이 끝난 이후에도 1년간 박물관 정원에 계속 전시하기로 계약을 맺었지만, 그러나 이같은 항의로 인해 기획전이 끝나자마자 소녀상은 결국 박물관 창고로 옮겨지고 말았다.

이런 사례는 또 있다. 지난 2016년 9월 경기 수원시와 국제자매도시인 독일 프라이부르크시가 공동으로 프라이부르크에 소녀상 설치를 추진했을 때에도 일본 정부는 집요한 방해 공작을 펼쳤다.

당시 독일 프라이부르크시 소녀상 건립 실무를 맡고 있던 김영균 사무처장은 <오마이뉴스>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가 주독일대사와 프랑크푸르트 총영사 등을 통해 외교적 관례를 벗어나는 언동과 협박을 하였으며, 프라이부르크의 자매도시인 일본 마쓰야마시를 통해 '평화비가 세워질 경우 27년 동안 지속해 왔던 교류를 중단할 수밖에 없다'고 압박을 가해왔다"고 알렸다(관련 기사: 일본 압력으로 무산된 '독일 소녀상', 시민이 세운다).

당시 2016년 11월 독일로 운송되어 왔다가 다음해인 2017년 3월 8일, 레겐스부르크 부근의 대규모 사유 공원에 세워져 마침내 빛을 볼 때까지, 그 소녀상은 약 4개월 간 창고 신세를 져야 했다. 사유 공원에 세워진 뒤에도 계속된 일본 측 압박으로 인해 소녀상 의미를 설명한 비문은 결국 철거되고 말았다.

비문 철거의 배경 또한 당황스럽다. 소녀상을 제작한 김운성 작가는 2019년 8월 <시사저널> 인터뷰에서 이 배경을 알렸는데,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다만 이는 김 작가의 주장으로, 기사엔 한국 대사관 측의 반론은 실려 있지 않다).

"독일 뮌헨의 일본 총영사가 공원 소유자를 4차례나 직접 방문해 '제발 소녀상을 철거해 달라'고 부탁했다고 한다. 공원 소유자가 이를 거절하자, '그럼 비문 문구만이라도 치워 달라'고 했다. 그래서 공원 소유자가 한국 대사관에 '(이를) 어떻게 생각하냐'고 물었는데 한국 대사관측이 '상관없다'고 대답했고, 결국 평화의 소녀상 의미를 설명한 비석이 철거됐다. 한국 대사관은 한국인들을 위해 일해야 하는 것 아닌가."
 
 독일 카셀대 총학생회에서 소녀상 주변을 정리하고 꾸며 놓은 모습.
ⓒ 코리아협의회 제공
 
일본의 방해에도... 지금 여기서 할 수 있는 일

독일 베를린 미테구의 소녀상 등 비교적 잘 알려진 최근 사례 외에도 일본 정부는 소녀상 설치나 전시가 있을 때마다 매번 집요하다 싶을 정도로 끈질기게 방해해 왔다.

독일 베를린 소녀상의 경우 지역 구의회 진보 정당 소속 의원들이 소녀상 관련 결의안을 세 차례나 의결할 만큼 '소녀상 영구 설치'에 대해 적극적이지만, 미테구 구청장이나 독일정부 관계자들은 그와는 다르다. 이들은 소녀상 사안에 대해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 않거나, 일본 측 주장을 비판 없이 수용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일본 측의 비상식적 행보에 대한 명확한 입장 정리가 요구되는 대목이다. 

미테구의 담당 공무원들이나 드레스덴박물관 관계자들은 정해진 절차에 따라 소녀상 전시 및 설치를 진행했음에도 여전히 일본 극우들의 악성 메일 공격에 시달리고 있다고 한다.

일본 측의 방해는 끈질긴 반면 지지와 응원은 그렇지 않아 보인다. 예상 밖의 큰 곤욕을 치르고 있는 독일 공무원들과 캠퍼스 내 소녀상 영구 설치 뒤 압력이 들어오고 있는 카셀대학, 그리고 카셀시에 대한 지지와 응원의 메시지가 절실한 지금이다.

독일 카셀대와 카셀시·미테구 등에 응원의 손편지를, 독일 베를린 소녀상·카셀대 소녀상에 대한 관심과 후원(링크) 등을 지속하는 게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연대 아닐까.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위 기사는 한정화 코리아협의회 대표와 정유진 활동가, 이승주 인턴 등 코리아협의회 편집부가 함께 작성했습니다. *응원의 손편지 보낼 주소: -독일 카셀대학 총장실: Universität Kassel, Präsidentin Prof. Dr. Ute Clement Mönchebergstr. 19, 34125 Kassel -독일 카셀시 시장: Stadt Kassel, Oberbürgermeister Christian Geselle, Obere Königsstraße 8, 34117 Kassel -독일 베를린 미테구청장: Bezirksamt Mitte, Bezirksbürgermeister Stephan von Dassel, Mathilde-Jacob-Platz 1, 10551 Berlin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