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보다고기]서구식 식생활·먹거리 다양화.."산업지도까지 바꿨다"

송승윤 2022. 7. 24. 10: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육류 중심 식단·먹거리 다양화로 쌀밥 '외면'
가공식품·외식 위주로 식사 패턴 변화
'저탄고지' 유행하고 아침 결식률도 높아져
전문가들 "쌀 소비 감소세 계속..다양한 활용 찾아야"

[아시아경제 송승윤 기자] 쌀 소비 감소세에는 밀이나 고기 등 대체 음식 일반화와 더불어 가구 구조 변화도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24일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2000년대 전체 가구의 15.5%에 불과하던 1인 가구 비율은 2010년 23.9%에 이어 2020년 31.7%로 증가했다. 가구당 식료품비 지출액 가운데 가공식품 구매 비용은 2010년 11만2000원에서 지난해 21만8000원으로 94% 이상 올랐다. 같은 기간 외식비 역시 24만9000원에서 32만4000원으로 30% 넘게 뛰었다. 식사 패턴의 변화와 함께 지속적인 물가 상승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코로나19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인한 곡물·원자재, 물류비 상승 등이 겹쳐 이런 흐름은 계속될 전망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국제 원자재·곡물 가격 상승 등의 영향을 받아 전년 동월 대비 6.0% 뛰었다. 같은 달 자장면과 김밥, 삼겹살 등 대표 외식 품목 8개 평균 가격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 이상 올랐다.

가공 식품과 외식 중심으로 식습관이 변화하면서 내식이 줄고 한 상 가득 식사를 차리던 문화도 변화했다. 2000년대 들어서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동시에 쌀을 비롯한 탄수화물군이 비만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저탄고지(저탄수화물 고지방)’ 식단 등이 유행한 측면도 있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아침 식사를 거르는 경우가 많아진 것도 한 몫 한다. 질병관리청이 2019년과 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분석한 ‘우리 국민의 식생활 현황’을 보면 아침 식사 결식률은 2019년 31.3%에서 2020년 34.6%로 급증했다. 주요 식품군 중에서는 채소류(252.6g→244.6g)와 과일류(135.0g→120.8g), 곡류(272.4g→269.7g)의 하루 섭취량이 모두 줄어든 반면 육류(124.0→124.8g)는 섭취는 늘어났다. 과거엔 쌀 소비량이 육류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1970년 연간 쌀 소비량은 1인당 136kg으로 육류 소비량 5.2kg의 26배에 달했다. 육용으로 쓰이는 소, 돼지, 닭 등 가축 사육 두수가 많지 않아 육류가 귀했던 반면 농업 기술이 발달하면서 생산량이 점차 늘자 쌀은 전성기를 맞았었다. 그러나 해가 갈수록 이런 흐름은 반대가 됐다. 육류 소비량은 1980년 11.3kg으로 처음 10kg대를 넘어선 이후 1985년 14.4kg, 1990년 19.9kg, 1995년 27.4kg으로 매년 증가했다. 반대로 이 기간 쌀 소비량은 132.4kg→128.1kg→119.6kg→106.5kg으로 감소했다. 2000년대에 들어선 뒤엔 육류는 32.9kg으로 30kg대에 진입했고 쌀은 93.6kg으로 두 자릿수가 됐다. 이로부터 20여 년 뒤인 현재는 앞자릿수가 같아졌고, 곧 육류 소비량이 쌀을 추월할 태세다.

전문가들은 수년 안에 쌀 소비량이 50kg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쌀 가격 하락세 역시 이어지고 있다. 지난 5월 전국 산지 쌀 평균 가격은 20kg 기준 4만6741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5만5861원) 대비 16.3% 하락했다. 전국 각지에서 쌀 재고가 쌓이게 되자 가격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이런 추세가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영은 원광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쌀 소비가 줄어들고 육류 소비가 느는 추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이고 특히 젊은 연령대에선 육류 섭취가 과다한 반면 단백질을 섭취해야 하는 노년층에선 기준에 못 미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면서 "전반적인 흐름을 바꾸긴 쉽지 않겠지만 사실 지금의 식습관은 영양학적으론 균형 잡힌 식사라고 보긴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용휘 세종대 식품생명공학전공 교수도 "특히 대체육 등도 쏟아지는 상황이라 쌀 소비가 회복되려면 기존 식품 섭취 형태에서 벗어나 이를 다양하게 활용한 메뉴를 개발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송승윤 기자 kaav@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