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담배 간접흡연이 덜 해롭다? 초미세먼지 12배 더 뿜는다

황수연 2022. 7. 21. 16: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액상 전자담배, 미세먼지 배출 12배
질병청, 국내 첫 간접흡연 실외 노출평가 공개

액상형 전자담배가 일반담배(궐련)보다 초미세먼지를 12배 더 많이 배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동차 매연처럼 불완전 연소로 생기는 ‘블랙 카본’도 내뿜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자담배의 간접흡연 위험이 결코 일반담배보다 덜한 게 아니라는 경고이다. 보건당국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실내에선 전자담배 사용을 자제하고 흡연자와는 최소 3m 이상 떨어져야 한다고 안내했다.

서울시내의 한 전자담배 판매점 앞으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뉴스1

21일 질병관리청은 국내 최초로 ‘간접흡연 실외 노출평가 실험연구’에서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연세대학교 환경공해연구소 임영욱 교수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5월까지 진행했다. 실외 흡연을 가정한 뒤 궐련과 액상형 전자담배, 궐련형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흡연자를 기준으로 3m, 5m, 10m씩 떨어져 연기나 에어로졸(공기 중 입자)이 이동하는 걸 카메라로 촬영하고 흡연 이후 공기 중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PM1.0), 블랙 카본 등의 농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담배 종류와 상관없이 모든 흡연자로부터 3m, 5m, 10m 떨어진 장소에서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 블랙 카본 농도가 흡연 이전보다 높게 나왔다.
초미세먼지는 액상형 전자담배가 1개비(액상 0.2g)당 17만2845㎍(마이크로그램·100만분의 1g)로 측정됐다. 궐련(1만4415㎍)의 12배 수준이다. 궐련형 전자담배가 내뿜는 초미세먼지는 1개비당 3100㎍로 가장 낮았다.

멀리 퍼지기로도 액상형 전자담배가 다른 제품을 제쳐 액상형 전자담배, 궐련형 전자담배, 궐련 순이었다. 1개비당 블랙 카본 배출량은 궐련(523㎍)이 압도적으로 높았고, 액상형 전자담배(98.8㎍)와 궐련형 전자담배(11.41㎍)에서도 확인됐다. 질병청은 “상대적으로 냄새 자극(악취)이 덜한 전자담배에서도 블랙 카본 등 유해물질이 배출되어 간접흡연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냄새와 불쾌감 등이 심한 정도로는 궐련, 액상형 전자담배, 궐련형 전자담배 순이었다. 평상시 악취가 없다고 느끼는 배경 농도가 2라면, 궐련은 26으로 18배 달하는 악취를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자담배의 경우 액상형 13, 궐련형 5로 최대 6.5배였다.

풍향에 따른 담배 연기 확산 모형을 분석했더니 2m 이상 떨어져 있을 때 그나마 유해물질 농도가 상당수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청은 이를 근거로 “비흡연자와 흡연자 간 거리는 최소 3m 이상 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담배 종류별 공기 중 복합악취 강도 및 블랙 카본 농도. 자료 질병관리청


다만 초속 1.8m 정도의 미풍이 부는 환경에서 3명이 흡연했더니, 액상형 전자담배와 궐련은 흡연자로부터 100m 이상 떨어져서야 초미세먼지 농도가 대기 기준 농도(15㎍/m³) 밑으로 떨어졌다. 궐련형 전자담배는 10m 이상 거리에서 대기 기준 농도 이하로 초미세먼지가 감소했다.

질병청은 “흡연자가 담배를 피울 때 연기의 25%만 마시고 75%를 공중에 배출시키며 이때 마신 연기가 들어온 공기와 다시 혼합, 배출된다”며 “담배 연기의 90%가 공중에 배출되어 주위 사람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이런 간접흡연은 태아 발육을 억제하고 영아 돌연사 증후군, 아동 기관지천식·중이염을 유발하는 한편 폐암 등 각종 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백경란 질병청장은 “전자담배 사용 시에도 미세먼지 등 유해 물질이 공기 중 확산되어 간접흡연 폐해를 높일 우려가 있다”며 “타인의 건강뿐 아니라 자신의 건강을 위해 금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