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민 "이재명만 책임? 그건 부당..내가 李표 갈라먹을 수도" ['어대명' 도전자에 묻는다⑤]

윤지원 2022. 7. 21. 15:2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더불어민주당 차기 당 대표에 재도전하는 박주민 의원을 두고선, “이번만큼은 나오지 못할 것”이란 당내 시선이 많았다. 그가 지난해 대선 경선 당시 이재명 캠프의 총괄본부장을 지낸 탓에 친이재명계로 분류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박 의원은 장고 끝에 97그룹(1990년대 학번·1970년대생) 중에선 가장 뒤늦은 지난 8일 출사표를 던졌다. 그는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진행된 중앙일보 인터뷰에서 “스스로 도전 필요성을 납득하는 데 시간이 걸렸을 뿐, 진짜 이기려고 나왔다”며 “지금 당에 필요한 건 이 의원의 ‘카리스마적 리더십’보단 나의 받치고 섬기는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내 일각에서 제기된 ‘이재명의 페이스메이커’라는 표현에 대해 “지지층이 겹치는데 페이스메이커가 가능한 구조인가”라고 되물으며 “오히려 다른 분들이 아닌, 제가 이재명 의원의 표를 갈라먹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박 의원은 이 의원의 사법 리스크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선 “현재는 그 리스크가 실체화돼 있지는 않은 상황”이라며 “이런 얘기를 하는 게 당에 도움이 되느냐”고 되물었다. 그는 이 의원의 인천 계양을 보궐선거 출마에 대해서도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나였어도) 출마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Q : 이재명 의원과 뭐가 다른가.
A : “강력한 리더십에도 두 가지 행사 방식이 있다. 이 의원이 ‘깃발 꽂고 다 같이 가자’는 전통적인 카리스마적 리더십이라면, 나는 ‘서번트 리더십’을 갖췄다. 물론 정부와 싸울 때는 대차게 싸워야 하지만, 동시에 정책 생산·당원 교육 등 그간 노출된 시스템상의 공백들을 세밀하게 채워내는 리더십이 필요한 때라고 본다.”

Q : 이 의원의 ‘사법리스크’는 어떻게 보나.
A : “사법 리스크의 내용은 본인 등 극소수만 정확히 알고 있을 거다. 만약 나중에 실체로 드러나고, 그게 당에 큰 피해를 준다면 막중한 책임을 지셔야 하는 건 맞다. 그런데 지금은 그렇지 않은 상황이다. 지금 당내 경선에서 ‘수사’, ‘구속’ 이런 얘기를 하는 게 당에 과연 플러스가 되나. 굉장히 조심해야 한다.”

Q : 대선·지선 패배 책임자인 이 의원이 출마하면 안 된다는 의견도 많았다.
A : “선거 패배는 이재명 의원만 책임지고 끝낼 문제가 아니다. 모두가 반성하고 책임져야 하는 문제다. 주된 평가 지점은 ‘왜 우리가 176석을 얻고도 지난 2년 동안 우리가 할 것이라고 기대받았던 걸 추진하지 못했는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Q : 검수완박이 지선 패배를 불렀다. 뭘 더 추진해야 했나.
A : “제가 아쉬운 건 권력기관 개혁을 지속했느냐다. 어떨 땐 갑자기 하다가, 그다음엔 갑자기 안 하니 ‘쟤들은 불리할 때만 하는 거 아냐’라는 불신을 샀다. 꾸준히 할 필요가 있다. 교육개혁이나 재벌 중심 문제점 해소, 노동인권 강화에 몰두하지 못한 것도 문제였다.”
박 의원은 대표적인 당내 강경파로 분류된다. 지난 4~5월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법안이 통과되던 때 국회 법사위 민주당 간사를 맡아 법안 처리를 주도했다. 그는 최고위원 후보로 출마했던 4년 전 민주당 전당대회에선 강성 당원들의 몰표를 받으며 총 득표율 21.28%로 1위를 기록했다.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재선의원 모임 주최 당 대표 후보자 토론회에서 후보자 및 참석 의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사회자 정춘숙 의원, 후보자 박주민, 강병원, 강훈식, 박용진 의원. 연합뉴스

Q : 강성 지지층 ‘팬덤 정치’ 역시 패인으로 꼽힌다.
“‘문자 테러’가 대표 폐해지만, 그건 당원들이 본인들의 의견을 개진할 창구가 없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다. 당헌·당규상 당원의 권리로 발안권, 토론요청권, 의총 소집 요구권 등이 규정돼있지만, 정작 권리를 실현할 절차 규정은 마련돼 있지 않다. 그래서 나는 당원들이 참여할 기회와 공간을 시스템적으로 완비하는 게 해법이라 보고 당 대표가 되면 이를 실천할 생각이다.”

Q : ‘조국 사태’ 때 최고위원이었다. 어떤 책임을 느끼나
A : “그에 대해선 지난 대선 후보였던 이 의원도 여러 차례 사과했다. 그럼에도 내가 꼭 짚고 넘어가고 싶은 건, 검찰권이 조국 전 장관 일가를 향해 굉장히 과잉 행사됐다는 점이다. 나는 당시도 그 지점을 주로 지적하며 싸웠고, 여전히 그 문제의식에 변함없다.”

윤지원 기자 yoon.jiwon1@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