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코인, 다음은 집" 현실화? 캐나다·뉴질랜드 집값 8% 하락
“주식, 코인 다음 폭락은 부동산.”
도지코인 창업자 빌리 마커스가 지난달 자신의 트위터에 해당 문구가 적힌 ‘밈’(인터넷에서 유행하는 2차 창작물) 사진을 올렸다. 그러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사실(True)”이라고 댓글을 달며 해당 트윗은 인터넷상에서 화제가 됐다.
웃어넘겼던 이 그림이 현실이 돼가는 모습이다. 부동산 시장은 코로나19 이후 경기 부양을 위한 각국의 저금리 정책과 넘쳐나는 유동성으로 한껏 달아올랐다. 하지만 올해 경기 침체의 그림자가 짙어지면서 싸늘하게 식어가고 있다. 부동산은 덩치가 크고, 부채 규모도 만만찮은 만큼 시장이 냉각될 경우 다른 자산보다 실물경제에 미치는 충격이 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9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6월 미국의 신규 주택 착공 건수는 전월보다 2% 줄어든 156만 건으로 나타났다. 신규 주택 허가 건수(169만 건)도 전월보다 0.6% 감소했다. 주택 착공과 신규 주택 허가 건수는 향후 주택 공급을 보여주는 지표다. 미래에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보고 건설업자가 허가를 덜 받고 덜 짓는다는 의미다. 블룸버그는 “미국의 주택 수요가 감소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고 보도했다.
빠르게 얼어붙는 미국 내 부동산 심리는 전미주택건설업협회(NAHB)가 발표하는 주택시장지수에서도 드러난다. 7월 주택시장지수가 전달보다 12포인트 낮은 55로 집계됐다. 이런 하락 폭은 팬데믹 직후였던 2020년 4월을 제외하고 조사가 시작된 37여년 만에 최대다.
급격한 주택 수요 둔화는 미국의 ‘수퍼 긴축’으로 인해 모기지 금리가 급등했기 때문이다. 미국의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 평균은 현재 연 6%에 육박해 올 초 대비 두 배 가까이 치솟았다. 김상훈 하나금융투자증권 연구원은 “추가 금리 인상 여지가 많이 남아있는 만큼 주택 경기가 더 둔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부동산 시장의 위축은 미국만의 현상이 아니다. 전 세계 중앙은행이 긴축의 대열에 합류하고 있어서다. 1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세계 부동산 붐이 꺼지고 있다”며 “그동안 세계 부동산 시장 상승을 주도했던 캐나다와 뉴질랜드 등의 집값 하락 조짐이 뚜렷하다”고 보도했다. 캐나다의 6월 집값은 사상 최고였던 올해 초와 비교해 약 8% 떨어졌다. 뉴질랜드의 6월 집값 역시 사상 최고였던 지난해 말 대비 8% 하락했다. 영국 부동산 컨설팅업체 나이트프랭크의 글로벌 주택가격지수는 올해 1분기 10.2% 상승했는데, 물가 상승률을 감안한 실질 상승률은 3.3%로 2분기 연속 둔화했다.
서울도 집값 하락세가 뚜렷하다.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등 서울 외곽 지역은 물론 강남 주요 재건축 단지의 아파트값 호가도 떨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노원구 상계동 ‘상계주공 7단지’ 전용면적 79.07㎡는 지난달 22일 10억원(11층)에 손바뀜했다. 지난해 3월 같은 면적이 최고가인 12억4000만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2억4000만원 하락했다.
WSJ은 “집값 하락으로 인해 주택 소유주가 소비 지출을 줄일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부동산은 부채를 일으켜서 사는 자산인 만큼 금융 시장에 파급력이 이어질 수 있어 유의 깊게 봐야 한다”고 짚었다.
특히 시장이 긴장하는 이유는 2008년 세계금융위기의 단초가 바로 부동산 시장의 부실이었기 때문이다. 다만 그때와 달리 부동산 시장의 냉각이 큰 위기로 번질 가능성은 작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이승훈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당시는 신용이 낮은 차주들에게 대량의 주담대를 내준 것”이라며 “현재 미국 차주는 그때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우량하다”고 말했다.
최근 부동산 시장의 조정이 과도하게 낀 거품을 걷어내는 ‘시장 정상화’ 과정이라는 지적도 있다. 티프 매클럼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는 “솔직히 말하면 건강한 움직임”이라며 “그동안 집값이 과열된 만큼 이제는 조정에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글로벌 주택시장은 팬데믹을 기점으로 풍부한 유동성을 불쏘시개로 뜨겁게 타올랐다. 2020년 1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세계 집값은 평균 19% 뛰었다. 뉴질랜드의 경우 주택 가격이 지난 2년간 45%나 급등했고, 서유럽과 미국에서도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김연주·김원 기자 kim.yeonjoo@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MW 산 20대, 6개월뒤 계좌에 3000원 남았다…카푸어의 최후[밀실]
- 춤추다 숨진 10대들…남아공 술집 21명 시신서 발견된 건
- 인하대 가해자 폰 속 '그날의 영상'…두 사람 음성 담겼다
- 이재오 "지지율 10%대 추락뒤 50%로 올린 MB, 묘약은 딱 두글자" [역대 정권 키맨의 尹위기 진단②]
- [단독]문성현 "조선업 호불황 반복…이번 사태 키운건 민노총"
- 곽상도 아들 퇴직금 2번 받았다…20대 총선 父여론조사비 '딱' [法ON]
- 개미, 주식 손절하며 尹 손절 하나...겹치는 하락곡선에 속타는 당정
- 토마토 속 '황금 반지' 찾아라…30돈 금덩이 내건 화천 축제
- 구타 뒤 혼수상태 미 여성, 2년 만에 깨어나 지목한 '충격 범인'
- "호날두, 성형 중독…최근 중요 부위에도 보톡스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