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 뛴다..'성큼' 다가온 신입 연봉 1억원 시대(종합)
목전에 둔 신입 연봉 1억원 시대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 대기업 중심으로 구성돼 있는 국내 반도체·전자업계가 우수인력 확보를 위해 앞다퉈 보수·복지 수준을 높이면서 입사 1년 차 신입사원의 보수가 연 1억원에 근접했다. 최근 정부가 물가상승 심화를 이유로 기업들에 과도한 임금 인상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최대 실적 기록 행진에 따른 노조의 압박과 치열해진 인재 확보 경쟁에 상향 조정이 불가피했을 것이란 분석이다.
18일 산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이번주 내 구성원 동의 절차를 거쳐 임금을 작년 대비 5.5% 올리고, 추가로 평균 고과 기준으로 연봉 200만원 인상 효과가 있는 기준급 월 10만원 정액 인상 안을 확정한다.
지난해 5040만원이었던 SK하이닉스 대졸 신입사원 초임은 5300만원 수준으로 삼성전자(5150만원)를 앞서게 될 전망이다. 지난해 신입사원들이 초과이익분배금(PS), 생산성 격려금(PI) 등 각종 성과급과 복지포인트 등을 합쳐 9000만원 중후반대 보수를 챙겼다는 점을 감안하면 올해 신입사원이 챙길 수 있는 연간 보수는 1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SK하이닉스는 상반기 격려 차원의 인센티브인 PI를 최대치인 기본급 100%로 지급한다고 공지했다. 오는 27일 발표하는 2분기 경영실적도 역대 최대수준이 될 가능성이 높아 연간 실적에 따라 1년에 한 번 연봉의 최대 50%까지 지급하는 PS도 지난해 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다.
오는 28일 2분기 기준 최대 수준의 실적 발표를 예고한 삼성전자의 상황도 비슷하다.
삼성전자는 최근 노사협의회를 통해 2022년 전 사원 평균 임금을 9% 인상하기로 했다. 초임은 기존 4800만원에서 5150만원으로 인상돼 처음으로 5000만원 시대를 열었다. 삼성전자 역시 지난 8일 반도체와 스마트폰, TV 등 주력 사업부에 올해 상반기 목표달성장려금(TAI·옛 PI)로 최대치인 기본급 100%를 지급했다. 여기에 연 1회 당해 연도 초과 이익의 20% 한도 안에서 개인 연봉의 최대 50%를 지급하는 초과이익성과급(OPI), 특별 인센티브 등을 감안하면 반도체부문의 경우 신입사원 기준 1년에 챙길 수 있는 보수는 9000만원 수준이다.
앞서 파운드리 사업을 하는 DB하이텍도 필요한 반도체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난 4월 신입 초임 연봉을 기존 4200만원에서 4800만원으로 14.29% 인상했다. 성과급 상한선도 기존 33%에서 삼성, SK하이닉스 수준과 같은 연봉의 50%로 올렸다. 변경된 기준을 적용하면 올해 신입사원이 받는 최대 임금은 7200만원이다.
삼성전자와 가전사업 경쟁구도에 있는 LG전자도 지난해 임직원 평균 임금을 10년 만의 최대 폭인 9%로 올린 데 이어 올해 임금인상률을 평균 8.2%로 확정했다. 이에 따라 LG전자 신입사원 초임은 지난해보다 300만원 오른 4900만원이 됐다. LG전자는 올해 초 가장 실적이 좋았던 생활가전(H&A) 사업본부에서 사업부별로 400∼660%의 성과급을 지급했고 글로벌 매출 1위 달성을 기념하기 위해 특별 인센티브 500만원도 추가로 준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보상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고 이직에 대해 자유로운 생각을 갖고 있어 우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업계 간 경쟁이 치열하다"며 "반도체, 전자업계 실적이 꾸준히 좋아 보수를 올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펼쳐지고 있는 높은 수준의 임금인상률, 성과급 지급 경쟁이 물가인상 속도를 더 가파르게 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동월 대비 6.0% 상승해 외환위기였던 지난 1998년 11월(6.8%)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올해 2월 3%대를 기록하다가 3월(4.1%), 4월(4.8%)에 4%대에 진입했고, 5월(5.4%) 5%대에 올랐으며, 6월 6%대까지 도달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단과의 간담회를 통해 대기업들이 성과보상 또는 인재확보라는 명분하에 경쟁적으로 높은 임금상승을 주도하고 있다는 점을 우려하며 “과도한 임금인상은 고물가 상황을 심화시킬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 근로취약계층의 상대적 박탈감을 키우고, 사회적 갈등을 증폭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성유리 "억울하다" 했지만…남편 안성현, '코인상장뒷돈' 실형 위기 - 아시아경제
- "결혼해도 물장사할거야?"…카페하는 여친에 비수꽂은 남친 어머니 - 아시아경제
- "37억 신혼집 해줬는데 불륜에 공금 유용"…트리플스타 전 부인 폭로 - 아시아경제
- "밤마다 희생자들 귀신 나타나"…교도관이 전한 '살인마' 유영철 근황 - 아시아경제
- '814억 사기' 한국 걸그룹 출신 태국 유튜버…도피 2년만에 덜미 - 아시아경제
- "일본인 패주고 싶다" 日 여배우, 자국서 십자포화 맞자 결국 - 아시아경제
- "전우들 시체 밑에서 살았다"…유일한 생존 北 병사 추정 영상 확산 - 아시아경제
- "머스크, 빈말 아니었네"…김예지, 국내 첫 테슬라 앰배서더 선정 - 아시아경제
- "고3 제자와 외도안했다"는 아내…꽁초까지 주워 DNA 검사한 남편 - 아시아경제
- "가자, 중국인!"…이강인에 인종차별 PSG팬 '영구 강퇴'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