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단체 신지형도] 출범시기·규모 제각각..회원사 대변·사용자 모임 공통
상의, 가장 먼저 설립하고 규모도 첫손
전경련, 60년대부터 정부와 호흡..맏형 자처
회원사 이해관계 위해 대정부 소통채널
물밑 주도권 둘러싼 신경전 여전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 경제단체 가운데 가장 오래된 곳은 대한상공회의소다. 상의가 모태로 꼽는 한성상업회의소가 설립된 게 1884년인 점을 감안하면 올해로 138년째다. 조선 고종 때 일로 해당 기록이 정확히 남아있지는 않으나 당시 늘어난 외국상인이나 보부상에 대응하기 위해 종로 일대 시전상인을 중심으로 꾸린 것으로 전해졌다.
지금까지 이어진 경제인 모임의 시초인 셈이다. 해방 후인 1946년 조선상공회의소가 설립됐고 한국전쟁 중이던 1952년 상공회의소법이 제정돼 법적 설립근거를 갖췄다. 대한상의가 초대 회장으로 꼽는 이는 당시 남한쪽 3대 전력회사 가운데 하나였던 경성전기의 이중재 사장이었다. 지역상공회의소 73곳과 특별회원 100여곳, 회원수는 18만여곳에 달한다. 미국·유럽 등 우리와 교류가 많은 다른 나라에서도 통상 민간 경제단체로는 상공회의소를 첫손에 꼽는다.
설립시기나 회원규모로는 상의가 앞섰지만 전후 우리나라 산업발전 시기에 존재감이 컸던 곳은 전국경제인연합회다. 1961년 한국경제인협회를 모태로 한다. 기업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순수 민간단체를 표방한다. 초대 회장으로 삼성을 창업한 이병철 회장이 일한 것을 시작으로 정주영(13~17대)·구자경(18대)·최종현(21~23대)·김우중(24~25대) 등 재벌 총수가 거쳤다.
국내 산업 구조가 대기업 중심으로 형성된 터라 자연스레 전경련이 오랜 기간 국내 경제계의 맏형 노릇을 했다. 정책제안 등 기업의 대정부 소통채널 역할을 했다. 박근혜정부 시절 국정농단에 연루되면서 타격이 컸다. 당시 일로 삼성·SK·현대차·LG 등 4대 그룹이 모두 탈퇴했다. 회원수는 과거 600곳이 넘었다가 현재는 450여곳으로 쪼그라든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무역협회는 1946년 설립됐다. 우리나라 첫 재무장관을 지낸 김도연이 초대 회장을 맡았고 당시 외국에서 공부한 유학파와 무역업을 하던 이를 중심으로 꾸려졌다. 밀무역이 성행했는데 이를 바로잡고 제도·절차를 만드는 과정에서 업계의 이해관계를 반영하기 위해 모였다. 현재 회원사는 7만여곳 정도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1970년 전경련에서 떨어져 나와 설립됐다. 초기 명칭은 한국경영자협의회였고 1981년 지금 이름을 쓰기 시작했다. 노사문제를 다루는 단체로 사용자, 즉 경영계 이해관계를 대변한다. 최저임금 결정과정이나 노사정위원회 협의체에 사용자 대표역할을 맡는다. 초대 회장은 김무성 전 의원의 부친이나 전남방직을 창업한 김용주가 지냈다.
지난 정부에서 경영계 불리한 제도·법령이 잇따라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경제단체가 제 역할을 못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면서 경총과 전경련을 중심으로 한 통합론이 불거져 나오기도 했다. 일본에서 비슷한 역할을 하던 두 경제단체가 2000년대 초반 하나로 합친 사례가 거론되기도 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1962년 중소기업협동조합법에 따라 설립됐다. 회원수는 조합과 협단체 600여곳, 조합원이 66만여곳 정도다. 국내 중소기업체가 350만여곳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조직화율이 5분의 1이 채 안되지만 우리나라 전체 중소기업계를 대변하는 역할을 맡는다. 초대 회장은 민간 출신으로 단체설립을 주도했던 이구종 회장이 맡았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1992년 한국경제인동우회를 모태로 한다. 경제6단체 가운데 가장 최근 생겨났다. 2013년 특별법이 만들어져 이듬해 법정단체로 승격했다. 회원사는 740여곳으로 초대 회장은 출판사업을 하다 국회의원을 지낸 유기정 회장이 지냈다. 유 회장은 80년대 중소기업중앙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중견련이 아닌 전국은행연합회를 한때 6대 경제단체 가운데 한 곳으로 보는 시각이 있었으나 특정 업종이나 분야에 제한돼 있어 통상 중견련을 6대 단체로 치는 시각이 많다.
6개 단체 모두 기본적으로 회원사 이익을 위해 일한다는 점과 함께 사용자 단체라는 공통점이 있다. 개별 기업 차원에서 내기 힘든 목소리를 내거나 제도·정책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이해관계를 대변하거나 설문·통계자료 등 근거를 내놓기도 한다. 대관업무를 주로 하다보니 대정부 협상과정에서 ‘우선권’을 누가 쥐느냐를 두고 수싸움이 치열하다. 대통령을 초청하는 행사를 가장 먼저 하려 하거나, 해외순방에서 경제사절단을 어느 단체가 주도할지를 두고 다투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보약까지 먹였는데…골프광 남편, 같은 아파트 사는 유부녀와 바람났다" - 아시아경제
- "아무리 연습이어도"…옥주현 길거리 흡연 논란에 '시끌' - 아시아경제
- 女에 7번 차이고 '인형'과 결혼한 日 남성, 결혼 6주년 맞았다 - 아시아경제
- '이혼' 김민재, 아내에게 재산분할만 500억?…"추측만 가능" - 아시아경제
- 학부모 채팅방서 만나 불륜…애들 버리고 동거하던 中 커플 '징역형' - 아시아경제
- 48세 연하 여자친구에 "내가 잡은 월척"…美 70대, 알고보니 - 아시아경제
- 세탁기 사려다 당근서 '경악'…판매글에 '알몸' 고스란히 노출한 남성 - 아시아경제
- 축구 경기 중 날벼락…번개 맞은 선수, 끝내 사망 - 아시아경제
- "백종원 믿었는데…" 비추 후기 쏟아진 백종원 축제, 왜? - 아시아경제
- "시동 어떻게 꺼"…'강남 8중 추돌' 무면허 20대, 사고 직후 어머니와 통화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