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잇단 압박에, 금융지주 중간 배당 줄어드나

염지현 2022. 7. 8. 00: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고배당주로 꼽히는 은행들이 ‘여름 보너스’로 불리는 중간 배당 채비에 나섰다. 다만 ‘이자 장사’ 압박에 이은 금융당국의 대손충당금 확대 요구가 중간 배당의 변수로 떠올랐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KB금융·하나금융·우리금융지주가 지난달 30일을 중간배당을 위한 기준일(주주명부폐쇄)로 공시했다. 주주명부폐쇄 공시는 배당받을 주주를 확정하는 것으로 통상 배당을 위한 준비 단계로 해석한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4대 금융지주가 중간배당에 나서는 건 주주 환원 정책에 따른 것이다. 지난해 말 기준 25~26% 수준인 배당성향을 중장기적으로 30%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반기(중간 배당)뿐 아니라 분기별(3·6·9·12월) 배당도 늘리고 있다.

아울러 금융지주사가 ‘여름 보너스’ 보따리를 풀 여력도 충분하다. 금리 상승에 따른 대출이자 수익 등으로 4대 금융지주는 상반기 최대 순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금융지주의 상반기 당기순이익 전망치는 9조2355억원(연결 기준)이다. 1년 전(8조3105억원)보다 11.1% 증가한 수치다.

배당 제한 족쇄가 풀린 점도 투자자가 중간 배당을 기대하는 요인이다.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권고했던 배당성향 20% 이내 제한 조치는 지난해 6월 말 종료됐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사태로 낮췄던 배당 수준을 정상화하고, 중간 배당을 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부채 부실을 대비해 은행권에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쌓으라는 금융당국의 압박도 커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이미 4대 금융지주를 포함한 은행권에 지난달 스트레스 테스트(재무건전성 평가)에 필요한 자료를 제출하도록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 등으로 국내외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은행권의 재무건전성을 파악하기 위해 스트레스 테스트를 시행한 것”이라고 말했다.

은행업계에선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가 배당에도 일부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익명을 요청한 은행권 관계자는 “스트레스 테스트에 통과하려면 증자를 하거나, 이익잉여금을 늘려 자기자본비율을 확대해야 한다”며 “당장은 아니어도 (이익잉여금을 쌓아두려면) 배당을 적극적으로 늘리긴 쉽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4대 금융지주의 지난해 배당성향은 25~26% 수준이었다. KB금융 배당성향이 26%로 가장 높았고, 하나금융(25.6%), 우리금융(25.3%), 신한금융(25.2%)이 뒤를 이었다. 4대 금융지주가 지난해 주주에게 지급한 배당금은 3조7505억원이다.

염지현 기자 yjh@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