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커 장군 앞에서 한미 동맹 강화 메시지를"..故 백선엽 장군의 유언 첫 공개

김윤호 2022. 7. 7. 16: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전쟁 영웅 고 백선엽 장군이 안장된 국립대전현충원 장군제2묘역 고인의 묘소에 태극기와 조화가 놓여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국립묘지서 전우에게 인사"...백선엽 장군 유언 첫 공개
6·25 전쟁 때 한국군을 이끈 고(故) 백선엽 장군 별세 2주기를 앞두고, 그의 마지막 유언 두 가지가 처음 공개됐다. 미국 뉴욕에 거주하는 고인의 장녀 백남희(74) 여사는 아버지 별세 2주기를 앞두고, 경북 칠곡군 찾아 "임종 전 두 가지 유언을 남겼는데, 결국 이루지 못해 불효했다"고 전했다.

7일 칠곡군을 통해 백 여사가 전한 고인의 유언은 먼저 간 전우에게 마지막 인사를 하는 것과 미군 부대를 찾아 메시지를 남기는 것이었다. 백 여사는 "아버지는 끝까지 대한민국을 사랑한 군인이셨다. 자신의 유해를 바로 묻지 말고, 서울 동작구 동작동 국립묘지에 먼저 들러 전우들에게 인사를 하고, 다시 경기도 평택 미군 부대와 부대 내 워커 장군 동상 앞에 가서 한미동맹 강화 등을 위한 마지막 메시지를 남기도록 해달라고 부탁했다"고 말했다.

고 백선엽 장군의 장녀인 백남희 여사. 사진 칠곡군

"2년전 사회 분위기 때문에 유언 지키지 못해"
하지만 유언은 전혀 지킬 수 없었다고 한다. 백 여사는 "미군 부대에서 아버지 방문을 준비하기도 했다"라며 "하지만 당시 이념 문제 등 어렵고 힘든 사회 분위기, 이에 따른 일부 반대에 부딪혀 이룰수 없었다. 2년간 아버지의 유언을 가슴에만 담고 살았다"고 안타까워 했다.

지난 2020년 경북 칠곡군 다부동전적기념관에 마련된 고(故) 백선엽 장군 분향소를 찾은 6·25참전용사 송익선 옹이 백 장군을 향해 거수경례하고 있는 모습, 뉴스1

백 여사는 아버지 유언과 이에 대한 심경을 오는 8일 경북 칠곡군 다부동전적기념관에서 열리는 ‘고 백선엽 장군 추모 2주기’ 행사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한미동맹재단·주한미군전우회·육군협회가 주최하는 추모 2주기 행사에는 이종섭 국방부 장관, 박민식 국가보훈처장, 라카메라 한미연합사령관, 박정환 육군참모총장, 신희현 2작전사령관 등이 함께한다.

김재욱 칠곡군수는 “고인은 생전 부하들이 잠들어 있는 다부동에 묻히고 싶어 칠곡군에 토지를 매입하기도 했다”며 “다부동 흙에서 자란 '평화의 상징'인 올리브 나무처럼 장군의 희생과 헌신이 한반도의 진정한 평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실제 다부동 흙이 담긴 올리브 나무 화분을 백 여사에게 선물로 전달했다.

8일 칠곡서 2주기 추모식
백 장군은 1950년 6·25전쟁이 일어난 지 한 달 만에 낙동강 전선만 남은 위기 속에서 미군과 함께 다부동 전투에서 전공을 세우며 32세에 국군 최초로 대장에 올랐다. 탁월한 전술과 전략을 통해 6·25전쟁의 주요 전투를 승리로 이끌면서 한·미동맹, 국가안보의 기틀을 닦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는 2020년 7월 10일 99세로 서거, 대전 국립현충원 장군 제2 묘역에 안장됐다.

고 백선엽 장군의 장녀인 백남희 여사(오른쪽)가 김재욱 칠곡군수(왼쪽)에게 받은 화분을 들고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칠곡군


지난해 백 장군 서거 1주기를 앞두고는 전 한미연합사령관 7명이 한미동맹재단에 영상 등 추모 메시지를 보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전 한미연합사령관이었던 빈센트 브룩스와 존 틸럴리, 토머스 슈워츠, 버웰 벨, 제임스 서먼, 월터 샤프, 커티스 스캐퍼로티 등이 추모 메시지를 냈다.

브룩스 전 사령관은 “다부동 전투에서 가장 명성을 떨친 지휘관은 고 백선엽 대장님이셨다”고 했고, 슈워츠 전 사령관은 “백 장군님은 제가 만난 가장 위대한 지도자 중 한 명”이라고 했다. 벨 전 사령관은 “백 장군이 대한민국과 국민을 지켜낸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했다.

김윤호 기자 youknow@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