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소비자물가 6% 급등..외환위기 이후 24년 만에 최고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일상 회복의 영향으로 에너지·원자재 가격과 외식 등 서비스 가격이 계속 오르는 가운데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세도 확대되면서 물가 상승폭이 전월(5.4%)보다 커졌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8.22(2020=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6% 올랐다. 이는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물가 상승세가 환율이 급등하면서 원자재 중심으로 수입 비용이 증가한 외환위기 당시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가팔라진 것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4~9월 6개월간 2%대를 보이다가 작년 10월(3.2%) 3%대로 올라섰다. 올해 들어 상승폭은 3월(4.1%)과 4월(4.8%)에 4%대, 5월(5.4%) 5%대를 기록하더니 지난달에 6%대로 확대됐다.
물가 상승은 공업제품과 개인서비스가 견인했다. 두 품목 기여도는 각각 3.24%포인트, 1.78%포인트다. 6% 물가 상승률의 5%를 차지한다.
국제 원자재·곡물 가격 상승에 따른 재료비·연료비 증가가 공업제품뿐 아니라 개인서비스 물가도 끌어올리고 있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이와 함께 수입 단가 상승 등의 영향이 반영되며 농축수산물 물가 기여도(0.42%포인트)도 올라갔다.
품목별로 보면 공업제품이 1년 전보다 9.3% 올랐다. 공업제품 가운데 경유(50.7%), 휘발유(31.4%), 등유(72.1%) 등 석유류 가격은 39.6% 급등하며 전월(34.8%)보다 오름폭을 키웠다.
최근 러시아산 원유 수출가격 상한제 도입이 거론되는 등 국제유가 상승 압력이 이어진 탓이다. 빵(9.2%)을 비롯한 가공식품(7.9%) 가격도 많이 올랐다.
농축수산물도 축산물(10.3%)과 채소류(6%)를 중심으로 4.8% 오르며 전월(4.2%)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가뭄과 곡물 사료비 상승,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 물가 상승 등이 영향을 미쳤다. 돼지고기(18.6%), 수입 소고기(27.2%), 배추(35.5%), 수박(22.2%) 등의 상승률이 특히 높았다.
전기·가스·수도도 1년 전보다 9.6% 올랐다. 이는 지난 4~5월 전기·가스요금이 인상된 데 따른 것이다. 이달 1일부터 적용된 전기·가스요금 추가 인상분은 6월 물가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개인서비스는 외식(8%)과 외식 외 부문(4.2%)이 모두 올라 5.8% 상승했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1992년 10월(8.8%) 이후 29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수요 회복이 반영되며 외식 외 물가도 대면 업종을 중심으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공공서비스는 0.7%, 집세는 1.9% 각각 올랐다. 전세와 월세 상승률은 각각 2.7%, 1%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더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7.4% 올라 1998년 11월(10.4%) 이후 가장 상승률이 높았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과 석유류 제외 지수) 상승률은 4.4%로 2009년 3월(4.5%) 이후 최고다. 식료품과 에너지 제외 지수도 3.9% 올랐다.
기획재정부는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와 글로벌 공급망 차질에 따른 국제 에너지·곡물 가격 상승 영향으로 당분간 어려운 물가 여건이 지속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시장 동향을 철저히 점검하면서 그간 발표한 물가 안정 과제들을 차질 없이 이행하고 민생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추가 방안을 지속해서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신지안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