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 안에 닥치지 않으면.." 분노한 미국 대통령의 쪽지

김종성 2022. 7. 4. 14: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실수'와 '도발' 사이.. 역사 속 외교 결례 사례 살펴보니

[김종성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29일 스페인 마드리드 왕궁에서 열린 펠리페 6세 스페인 국왕 내외 주최 만찬에 참석.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등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2.6.29
ⓒ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정상회의에서 일련의 외교적 결례를 경험했다. 옌스 스톨덴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이 갑자기 면담을 연기하는 바람에 30분 넘게 기다리다 돌아갔고, 스페인국왕 주최 만찬장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이 엉뚱한 데를 쳐다보며 악수했고, 눈을 감은 윤 대통령이 나토·호주·뉴질랜드·일본 정부수반과 함께 찍힌 사진이 나토 홈페이지에 잠시 업로드됐다.

30개 회원국에 더해 한국·호주·뉴질랜드·일본 같은 협력국까지 초청된 회의였다. 의전상의 실수가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다. 동시에, 실수가 아닐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윤 대통령을 향한 외교 결례들 속에 '미국'이라는 공통분모가 들어 있기 때문이다.

영국과 프랑스는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에서는 미국과 대등한 거부권을 갖지만, 나토 무대에서는 사실상 미국보다 낮다. 나토 회원국들이 미국과 핵무기를 공유하고 미국 핵우산의 보호를 받기 때문에, '나토 내의 미국'은 '유엔 안보리 내의 미국'을 초월한다.

우크라이나전쟁 1개월 전인 지난 1월 19일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유럽의회 연설에서 나토와 별개의 유럽 독자 안보체제를 강조한 것은, 유엔에서보다 나토에서 미국의 위상이 훨씬 막강한 데 대한 견제의 측면도 있었다.

나토의 의중은 상당 부분은 백악관의 의중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그런 나토에서 윤 대통령을 향한 중대한 외교적 결례가 두 건 나왔다. 바이든이 범한 것까지 포함하면, 세 건이다. 대규모 회의이긴 하지만 손님 자격으로 참가한 한국 대통령을 더욱 예우해야 하는데도 중대한 결례가 세 건이나 나왔다는 점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기자들이 실소를 터트린 외교 결례

이번에 나토에서 빚어진 외교적 결례 역시 넓게 보면 국제법 연구의 한 분야다. 국제법의 형태인 법원(法源)을 논할 때 국제예양(國際禮讓, international comity)이 다뤄지고 있고, 국제예양을 위배하는 일이 벌어지면 외교 결례가 거론된다. 국가간 예법인 국제예양에는 상대방 정부수반에게 경칭을 사용해야 한다든가, 외국 군함이 입항하면 예포를 쏴야 한다든가, 국제회의에서 서열을 존중해야 한다든가 등등의 에티켓이 담겨 있다.

이 같은 국제예양은 개인 간의 예법보다 훨씬 고도로 준수될 수밖에 없지만, 이번 윤 대통령 사례에서 나타난 것처럼 의외로 쉽게 위반되는 경우도 있다. 개중에는 진짜 실수로 벌어지는 결례도 적지 않다.

창설 40주년 기념식 때문에 유엔이 분주했던 1985년 10월에는 다른 사람도 아니고 이집트 출신의 유엔 의전국장이 의전상의 결례를 범했다. 그달 25일자 <동아일보> 4면 상단 기사는 "유엔 총회가 개막된 이래 가장 바빴던 사람 중 하나는 유엔 의전국장 알리 테이무르"였다며 "그는 케이프베르데 대통령을 시발로 각국 원수를 맞는 데 눈코 뜰 새 없었으며, 공항의 11번 게이트에서 34번 게이트까지 달리는 데 5분밖에 걸리지 않았다"고 한 뒤 이런 일화를 전했다.

"테이무르는 또 한꺼번에 몰려드는 각국 원수와 퍼스트레이디를 구분할 수 없어 애를 먹기도. 그는 우루과이 퍼스트레이디라고 여긴 한 부인을 유엔 건물 안으로 안내하며 스페인어로 말하자, 그 부인은 멍한 눈으로 바라보며 자신은 스페인말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양해를 구하더라는 것. 그때서야 테이무르는 그 부인이 이집트 퍼스트레이디라는 것을 알아차리고 아랍어로 사과했다는 것. 그 자신이 이집트인이면서도 이집트 퍼스트레이디를 알아보지 못한 경우였다."

의전 절차가 너무 분주해서가 아니라 그냥 즐거운 마음에 결례를 범한 인물도 있다. 1970년대 전반의 미국 외교뿐 아니라 세계 정치에 커다란 족적을 남긴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이 그 장본인이다.

1923년 생인 그는 10년간 독신으로 살다가 1974년 3월 30일 마흔 살 된 샤론 매기니스와 재혼한 뒤 한동안 외교 결례를 남발했다. 그해 4월 15일자 <경향신문> '키신저 결례 밥 먹듯, 재혼 후 외교 접촉에 혼선'은 키신저 장관의 안드레이 그로미코 소련 외교부장관 영접이 국무성 출입기자들에게 실소를 안겨준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12일 그로미코 외상과 국무성에서 오찬을 겸한 회담을 갖기로 되어 있던 키신저 장관은 얼굴에 가득 미소를 띠고 1층 로비를 뚜벅뚜벅 걸어나가 현관으로 나갔으나, 그로미코 외상은 도착하지 않았다는 것."

키신저가 오찬회담 장소로 가지 않고 얼굴에 웃음을 머금은 채 국무성 현관으로 나가 그로미코를 기다리는 모습을 보고 기자들은 웃음을 터트렸다. 엉뚱한 데서 그로미코를 기다리며 순간적으로나마 그로미코의 외교 결례를 탓했을 수도 있지만, 진짜로 결례를 범한 쪽은 키신저였다.

외교 결례는 이처럼 실수로도 일어나지만, 의도되거나 기획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박정희가 피살된 10·26 사태 4개월 전에 있었던 1979년 한미정상회담이 그런 유형에 포함된다. 지미 카터 대통령이 한국 인권 상황을 비판하며 주한미군 철수를 거론하던 시기에 열린 이 정상회담 때는 양국 대통령이 상대방의 기를 꺾고자 의도적으로 외교 결례를 기획하는 일들이 있었다.

'기싸움'이나 다름 없었던 한미 정상회담 
 
 박정희 대통령(오른쪽)과 지미 카터 미 대통령이 청와대 만찬석상에서 건배를 하고있다. 1979.7.1
ⓒ 연합뉴스
1997년 11월 10일자 <조선일보>에 실린 조갑제 기자의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 시리즈에 따르면, 카터를 경멸하는 박정희 대통령은 카터 방한 전에 최광수 의전수석비서관(훗날의 외무부장관)에게 비밀 지령을 내렸다. 통역을 맡게 될 최광수에게 "인권 좋아하시네를 영어로 어떻게 통역할지에 대해서 미리 생각을 해두어라"라는 취지의 당부를 했던 것이다.

그렇게 외교 결례를 준비해뒀던 박정희는 뜻밖의 선제 공격을 받았다. 카터 역시 외교 결례를 미리 준비해뒀던 것이다. 카터는 6월 29일 밤 9시를 넘긴 뒤에야 도쿄에서 출발해 김포공항으로 향했다. 남의 집을 밤중에 방문하는 결례를 의도적으로 연출했던 것이다.

카터 측은 도착 시각도 알려주지 않았다. 이 때문에 박정희가 김포공항에서 근 1시간이나 기다리는 일이 발생했다. 그날 박정희는 불쾌한 일을 많이 겪었다. 한밤중에 갑자기 카터의 비행기가 착륙하더니, 자신과 카터 사이를 키 큰 미국 기자들이 가로막는 것이었다.

"키가 작은 박 대통령은 미국 기자들 속을 겨우 헤집고 나가 카터와 악수를 나누어야 했다. 박 대통령을 끌다시피하며 카터 있는 데로 모시고 갔던 함(수용) 과장은 '하마터면 인파와 어둠 속에서 두 사람이 서로를 놓칠 뻔했었다'고 했다."

카터의 결례는 계속됐다. 그는 어둠 속 인파를 뚫고 박정희와 악수한 직후 미군 병영으로 가버렸다. 이런 상황은 다음날의 정상회담을 '불꽃 튀게' 만들었다. 1983년 11월 12일자 <조선일보> '한-미 정상회담 13차례 비화도 많아'에 따르면, 박정희는 정상회담 의제에서 주한미군 문제를 생략하자는 카터 측의 요청을 무시하고 철군 문제를 강도 높게 거론했다. 위 조갑제 기사는 그가 무려 40분간이나 카터에게 국제정세를 강의했다고 알려준다.

그런 박정희에 맞서 카터도 즉석에서 결례를 도발했다. 주한미군 주둔의 필요성을 길게 강의하는 박정희 앞에서 메모를 끄적대는 모습을 연출한 것이다. 그러더니 그 쪽지를 해롤드 밴스 국무장관에게 건네는 것이었다. "이 자가 2분 이내에 입을 닥치지 않으면 나는 이 방을 나가 버리겠다"는 글이 적힌 메모지였다.

두 정상의 외교 결례는 계속됐다. 박정희는 만찬장에서도 뼈 있는 말들을 쏟아냈다. 카터는 공항으로 가는 차 안에서도 '한 방'을 던졌다. "카터는 이런 대접에 대한 보복인지 공항으로 나가는 차 중에서 박정희 대통령에게 '하느님을 믿으라'는 취지의 이야기를 했다"고 조갑제 기사는 말한다. 남의 나라 대통령에게 기독교 개종을 권유했던 것이다. 국제예양을 위반하는 외교적 결례가 실수로도 벌어지지만 의도적인 외교 전쟁의 수단으로도 벌어진다는 점을 잘 보여준 사례였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