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KAIST 큐브위성, 지상국과 양방향 교신 성공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에 실려 궤도에 올라간 성능검증위성에서 지난 1일 두 번째로 분리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큐브위성 '랑데브.' 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KAIST에 따르면 이 초소형 위성과 KAIST 지상국은 이날 오후 4시 10분께 양방향 교신에 성공했다.
KAIST 지상국이 전날 오전 2시와 오후 2시 40분에 전력공급 채널과 시스템 모드의 변경을 명령했는데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해 정상적으로 임무를 수행한 사실을 확인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에 실려 궤도에 올라간 성능검증위성에서 지난 1일 두 번째로 분리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큐브위성 '랑데브.' 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KAIST에 따르면 이 초소형 위성과 KAIST 지상국은 이날 오후 4시 10분께 양방향 교신에 성공했다. KAIST 지상국이 전날 오전 2시와 오후 2시 40분에 전력공급 채널과 시스템 모드의 변경을 명령했는데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해 정상적으로 임무를 수행한 사실을 확인했다.
랑데브는 방효충 KAIST 교수팀(항공우주공학과 항공우주시스템 및 제어연구실)이 개발한 인공위성이다. 직육면체 모양으로, 크기는 가로 10㎝·세로 10㎝·높이 30㎝·무게 3.2㎏다. 소형 지구관측 카메라로 지상을 촬영하고, S밴드로 촬영한 영상을 지상국으로 고속 전송하는 등의 임무를 부여받았다. 지상국과는 극초단파/초단파(UHF/VHF) 주판수를 활용해 통신한다. UHF/VHF 주파수를 활용하면 위성이 지구를 바라보지 않아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고 전해진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너무 예뻐서 안 돼"…'라이브 방송' 금지시킨 여대생 아버지 - 아시아경제
- 미세플라스틱 50배 더 나왔다…뚜껑 열리는 '뚜껑의 비밀' - 아시아경제
- 머리채 잡고는 "비만 옆자리 싫어"…술 취해 비행기서 욕설·난동 - 아시아경제
- '왜 이리 정신이 없나 했더니'…늘어나는 성인 ADHD 환자 - 아시아경제
- 주차장에 자전거 세우고 "치우지마세요, 근처 삽니다"…"이런 알박기 처음" - 아시아경제
- '무섭네' 청소기 다음은 에어컨… 안방 차지하려 '저가' 내세우는 中가전 - 아시아경제
- "관광객 너무 많아, 1인당 3만원씩 내세요"…관광세 도입한 산토리니 - 아시아경제
- "이란을 공격했다고?"…한국서도 낯익은 美 의원, 연설하다 화들짝 - 아시아경제
- 샤워도 향수도 못 막는 '이 냄새'…뜻밖의 해결책은? - 아시아경제
- "비싸도 막 담아요"…입소문 하나로 800억 번 '런던베이글'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