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10개 중 8개 마이너스..상반기 펀드도 '손실의 늪'

김현경 2022. 7. 3. 14: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상반기 국내외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이 모두 약세를 보이면서 관련 펀드 수익률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3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1일 기준 설정액이 10억원 이상인 국내 주식형펀드의 연초 이후 평균 수익률은 -23.74%를 기록했다.

국내 채권형 펀드(설정액 10억원 이상) 역시 상반기 수익률이 평균 -2.43%를 기록해 손실을 안겼다.

같은 기간 설정액 10억원 이상 해외 주식형 펀드의 수익률은 평균 -16.92%를 기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현경 기자]

올해 상반기 국내외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이 모두 약세를 보이면서 관련 펀드 수익률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3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1일 기준 설정액이 10억원 이상인 국내 주식형펀드의 연초 이후 평균 수익률은 -23.74%를 기록했다.

지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익률을 추구하는 국내 인덱스 주식 펀드는 -25.05%의 평균 수익률을 기록했다.

펀드 운용자가 재량을 발휘해 지수 대비 초과 수익을 낼 수 있는 액티브 주식 펀드의 수익률은 -20.78%로 역시 큰 폭의 손실을 냈다.

국내 채권형 펀드(설정액 10억원 이상) 역시 상반기 수익률이 평균 -2.43%를 기록해 손실을 안겼다.

코스피는 지난달 30일 2,332.64를 기록해 올해 상반기에만 21.66% 하락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도 같은 기간 175.80bp(1bp=0.01%포인트) 폭등해 연 3.550%까지 오르는 등 채권 시장도 약세였다.

해외 상품들 역시 글로벌 주가 하락에 따라 손실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같은 기간 설정액 10억원 이상 해외 주식형 펀드의 수익률은 평균 -16.92%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도 북미(-21.94%), 유럽(-15.11%), 일본(-8.44%), 중국(-7.77%) 등 대부분이 마이너스였고, 특히 러시아는 -60.93%로 반 토막도 건지지 못했다.

해외 채권형 펀드도 평균 수익률 -8.85%로 약세를 보이긴 마찬가지였다. 지역별로는 신흥국 채권 펀드가 -17.29%로 손실 폭이 가장 컸고, 아시아태평양지역 펀드(-4.90%), 북미채권 펀드(-1.78%)도 수익을 내지 못했다.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으로만 범위를 좁혀도 연초 이후 수익률 집계가 가능한 531개 상품 중 449개(84.55%)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거래 정지 상태인 '한국투자KINDEX러시아MSCI'(-98.39%)를 제외하면, 수익률이 가장 낮은 ETF 상품은 '미래에셋TIGERKRXBBIGK-뉴딜레버리지'(-61.39%)이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