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성접대 안했다"해도..윤리위 징계 찬성 53.8%

권남영 2022. 7. 2. 08:1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의 '성접대 증거인멸교사 의혹' 관련 당 중앙윤리위원회 징계에 대한 '찬성' 의견이 과반에 달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업체 미디어토마토가 뉴스토마토 의뢰로 지난달 28~29일 만 18세 이상 전국 성인남녀 10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일 발표한 '선거 및 사회현안 42차 정기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 대표에 대한 윤리위 징계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53.8%로 집계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연합뉴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의 ‘성접대 증거인멸교사 의혹’ 관련 당 중앙윤리위원회 징계에 대한 ‘찬성’ 의견이 과반에 달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업체 미디어토마토가 뉴스토마토 의뢰로 지난달 28~29일 만 18세 이상 전국 성인남녀 10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일 발표한 ‘선거 및 사회현안 42차 정기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 대표에 대한 윤리위 징계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53.8%로 집계됐다.

‘경찰 수사결과를 보고 결정해야 한다’는 응답은 25.6%, ‘징계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17.7%였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 유보층은 2.9%였다.

연령별로는 청년층 중에서도 20대와 30대의 반응에 온도차가 나타났다. 20대의 경우 징계 찬성 45.7%, 수사결과 뒤 30.3%, 반대 22.3% 순으로 높았다. 30대에선 전연령 평균보다 높은 54.8%가 징계에 찬성했고 수사결과 뒤 28.4%에 반대는 14.9%에 불과했다.

40대에선 찬성 66.1%, 수사결과 뒤 결정 21.2%, 반대 10.3%로 징계 찬성이 압도적이었다. 50대는 찬성 59.4%, 수사결과 뒤 22.5%, 반대 14.5%의 순이었으며, 60대 이상에선 찬성 46.4%, 수사결과 뒤 26.3%, 반대 23.2% 순으로 징계 추진 여론이 절반을 밑도는 등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ARS(RDD) 무선전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한편, 이 대표는 1일 JTBC ‘썰전 라이브’에서 당 중앙윤리위원회 징계 심의를 어떻게 예상하느냐는 물음에 “예상도 할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저에게 윤리위가 한 건 성 접대 의혹을 인멸하기 위해 누군가를 교사했다는 의혹이다. 앞엣것(성접대)가 없으면 뒤엣것(증거인멸 교사)이 성립하지 않는다”며 “저는 교사를 안 했다. 앞엣것(성 접대)도 안 했다”고 강조했다.

윤리위를 향해선 “수사기관보다 더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다”며 “윤리위가 개시하던 시점에 당 지지율은 굳건했고 심지어 지방선거에서 압승했다. 당에 입힌 손실을 무엇으로 판단하느냐가 모호한 지점”이라고 비판했다.

‘당대표는 특별한 사유가 있을 때 최고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징계 처분을 취소 또는 정지할 수 있다’는 진행자의 발언에 이 대표는 “저것 말고도 윤리위를 해체할 권한도 있다. 제가 만약 ‘선을 넘는다’고 생각했으면 (해체를) 했을 것”이라고 했다.

이 대표는 “많은 사람이 제게 논쟁을 왜 세게 안 하느냐고 하는데 제가 그렇게 하는 순간 ‘법꾸라지’로 나온다고 할 사람들이 있다”며 “수사기관이 수사 중인 사안에 대해서 결론이 나면 그게 끝이다. 윤리위가 어떤 판단을 했는데 수사기관에서 상반된 판단을 내놨다면 그것이 정치적으로 가장 위험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윤리위 결과를 납득할 수 없다면 받아들이지 않겠느냐는 질문에는 “납득하지 못하겠다는 것 자체가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것”이라며 “어떤 논거를 가지고 판단하느냐에 따라 다를 것”이라고 답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