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군, 갯벌과 주민의 삶이 공존하는 환경조성 만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강화군(군수 유천호)이 '동검도 갯벌생태계 복원사업'을 통해 생태계복원으로 지역경제가 선순환하는 체계를 갖춰나가고 있다.
군은 지난 29일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총장 박노준)과 함께 생태계의 보고인 강화도 갯벌의 생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시행한 '동검도 갯벌생태계복원사업 사후모니터링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화군(군수 유천호)이 '동검도 갯벌생태계 복원사업'을 통해 생태계복원으로 지역경제가 선순환하는 체계를 갖춰나가고 있다.
군은 지난 29일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총장 박노준)과 함께 생태계의 보고인 강화도 갯벌의 생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시행한 '동검도 갯벌생태계복원사업 사후모니터링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갯벌 수산자원 및 생태관광 현황 ▲복원지 퇴적환경 및 저서생태계 조사 ▲해수유통 및 갯골 형성 모니터링 ▲복원 효과 평가 결과 등이 보고됐다.
해수유통으로 연륙교 북동쪽과 남서쪽 갯벌의 생태학적 특성이 유사지며 생태적 연결성을 회복하고 있으며 갯골의 폭이 넓어지고 깊이가 깊어지는 등 침·퇴적에 해소되고 자연스러운 갯골이 형성돼 생태계의 건강성이 회복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동검도는 지난 1985년 강화도 본도와 연결되는 연육도로가 제방 형태로 건설돼 해수가 유통되지 않았다.
이후 침·퇴적에 따른 해수유통 저하, 바다 생물의 종 다양성 감소 등으로 인한 갯벌 생태계 건강성이 악화되고 어업 피해가 발생했다.
이에 군은 지난 2017년 사업비 50억 원을 투입해 기존 제방형 연육도로를 해수유통형 교량으로 설치하고 동검도 갯벌생태계 복원을 위한 사후 모니터링을 실시했다.
이무준 교수(안양대학교 해양바이오공학)는 "해당 복원지는 1985년 연륙교가 건설돼 해수유통이 차단된 후 약 37년 동안 퇴적이 진행돼 온 지역이다"라며 "복원사업 이후 해수가 유통된 지는 이제 5년이 지난 상황이기 때문에 갯벌 복원의 효과를 더욱 명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모니터링과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천호 군수는 "강화갯벌은 서해안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대형하구 갯벌로 보존 가치가 크다"며 "갯벌 생태계 복원 등으로 생태환경 관광기반을 강화하고 지역경제와 선순환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끝)
출처 : 인천강화군청 보도자료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전두환 대신 무릎 꿇은 손자…눈물로 손잡아준 5·18 유족
- 강남서 여성 납치·살해뒤 시신유기…용의자 3명 체포
- 美, 전기차 보조금 세부지침 발표…한국업체 입장 대체로 반영돼
- '변심' 유동규 "이재명씨"…대장동 사건 뒤 법정서 첫 대면
- 대통령실 "후쿠시마산 수입 없다" 세차례 쐐기…연이틀 맞대응
- 검찰, 조현천 전 기무사령관 구속…'계엄문건' 본격 수사
- 전기·가스료 당분간 1분기 요금적용…인상 발표해도 소급 안해
- 尹, 순천만정원박람회로 첫 전남행…'비윤계' 천하람과 만찬도
- 블랙핑크-레이디가가 공연 불발된듯…대통령실 "방미일정에 없다"
- 대한축구협회, 승부조작 등 '기습 사면' 결국 전면 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