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전' 격상된 제2연평해전 20주년 기념식..전적비도 '전승비'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일 월드컵이 한창이던 2002년 6월 서해 연평도 해상에서 벌어졌던 제2연평해전이 '승전' 역사로 공식화됐다.
해군은 29일 경기도 평택 제2함대사령부에서 '제2연평해전 20주년 승전 기념식'을 개최했다.
기념식이라고만 부르던 행사를 올해부터 '승전 기념식'으로 바꿨고, 전적비 명칭도 '전승비'로 변경했다.
제2연평해전은 2002년 6월 29일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온 북한군 경비정 2척이 우리 해군 참수리 357호 고속정을 기습 공격하면서 발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일 월드컵이 한창이던 2002년 6월 서해 연평도 해상에서 벌어졌던 제2연평해전이 ‘승전’ 역사로 공식화됐다.
해군은 29일 경기도 평택 제2함대사령부에서 ‘제2연평해전 20주년 승전 기념식’을 개최했다. 기념식이라고만 부르던 행사를 올해부터 ‘승전 기념식’으로 바꿨고, 전적비 명칭도 ‘전승비’로 변경했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기념사에서 “제2연평해전은 우리 장병들이 북한의 도발을 온몸으로 막아내고 적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혔던 승리의 해전”이라며 “지금의 대한민국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은 생사가 오가는 전투 현장에서 목숨 바쳐 싸워 승리했던 제2연평해전의 영웅들 덕분”이라고 말했다.
당시 전사한 조천형 상사의 모친 임헌순 여사는 전승비에 새겨진 아들의 부조상을 어루만지면서 “엄마 온 것도 모르지”라며 눈물을 흘렸다. 옆에 있던 이 장관은 “우리가 잊지 않고 영원히 기억할 겁니다”라며 함께 눈시울을 붉혔다.
전사한 6용사의 이름을 딴 유도탄고속함에 유족과 참전 장병들이 승선해 풍도 인근에서 헌화하는 ‘해상 헌화식’도 이날 처음 진행됐다. 유족은 서해 바다에 꽂을 띄우며 용사들의 넋을 위로했다.
제2연평해전은 2002년 6월 29일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온 북한군 경비정 2척이 우리 해군 참수리 357호 고속정을 기습 공격하면서 발발했다. 우리 측에선 참수리 357호 정장 윤영하 소령과 한상국 조천형 상사, 황도현 서후원 중사, 박동혁 병장 등 6명이 전사하고 19명이 다쳤다. 북한군은 30여명의 사상자를 내고 경비정이 화염에 휩싸인 채 도주했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법원,‘기자 좌표’ 찍은 추미애에 “200만원 배상” 판결
- ‘인사 검증 견학’? 한동훈, FBI 간다…7일간 미국 출장
- 바이든에 ‘노룩악수’ 당한 尹대통령?…황교익 “굴욕”[영상]
- 인양된 실종 가족 차량서 탑승자 3명 확인…“일가족 추정”
- 빈집 샤워 ‘카니발 가족’, 집주인과 접촉 시도…“선처없다”
- 한 총리 ‘檢출신 비서실장’ “대통령에 뽑아달라 했다”
- ‘피격 공무원’ 형 “민주, ‘같은 호남 아니냐’ 회유 시도”
- “성기능 문제로 강간 못해”…초등생 성폭행 80대 항변
- 휘발유 뿌리는 60대… 응급실 ‘아찔’ 방화 순간 [영상]
- 2050년이면 뒤바뀌는 한국… 독거노인 세상이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