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알코올성 지방간, '근손실' 부추긴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다면 근손실이 더 많이, 더 빨리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생체 전기 임피던스 측정기법(BIA)을 이용해 측정된 사지근육량의 변화를 비알코올성 지방간 여부에 따라 살펴봤다.
연구 결과 나이가 들수록 근손실이 발생하게 되는데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없는 사람에 비해 있는 사람에서 근육량이 평균 25% 가량 더 많이 감소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다면 근손실이 더 많이, 더 빨리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9일 삼성서울병원 곽금연·신동현 소화기내과 교수, 조주희·강단비 임상역학연구센터 교수, 강미라 건강의학센터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06년부터 2016년 사이 삼성서울병원에서 최소 두 차례 이상 건강검진을 받았던 20세 이상 성인 남녀 5만2815명을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생체 전기 임피던스 측정기법(BIA)을 이용해 측정된 사지근육량의 변화를 비알코올성 지방간 여부에 따라 살펴봤다. 연구 대상의 평균 나이는 49.1세로, 초음파 검사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진단받은 사람은 전체 31.9%인 1만6859명으로 집계됐다.
연구 결과 나이가 들수록 근손실이 발생하게 되는데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없는 사람에 비해 있는 사람에서 근육량이 평균 25% 가량 더 많이 감소했다.
특히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가 간섬유화가 진행된 경우 약 2배 정도 더 많은 근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밖에도 50대 미만이거나 당뇨나 고지혈증을 동반한 경우, 흡연을 하는 경우, 음주량이 많은 경우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근손실과의 상관관계가 더욱 두드러졌다.
연구팀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라면 체중을 줄이는 동시에 근육을 키우는 운동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곽금연 교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으면 체내 단백질 합성을 저해할 뿐 아니라 대사성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근손실이 일어나기 쉽다”면서 “골격근의 손실은 그 자체로 질환이 되기도 하지만 다른 질환의 발생을 부추기고 치료도 어렵게 만드는 만큼 가벼이 봐선 안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간학회 공식 학술지 ‘헤파톨로지(Hepatology, IF 17.425)’ 최근호에 게재됐다.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
갓 구워낸 바삭바삭한 뉴스 ⓒ 쿠키뉴스(www.kuki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단독] 교사 도울 교육청 변호사, 전국에 고작 20명
- 내연차 안 타고 일주일 살아봤습니다 [빼봤더니]
- 인플루언서로 키워준다는 제안, 알고 보니 다단계 영업 [쿠키청년기자단]
- '구인난' 교권전담변호사, 늘려도 문제…“처우 개선해야”
- “결핵 발생률 OECD 최고인데”…예산 축소에 사업 좌초 우려
- 전쟁 흔적 속 피어난 생태…DMZ 역사 담은 ‘캠프 그리브스’
- 어린이보험 판매 중단에...‘보장 공백’ 2030세대 잡자 [보험특집③]
- ‘수술실 CCTV’ 오늘부터 의무화…의료계·환자단체 모두 불만
- ‘이강인’ 첫 출전 황선홍호, 바레인 완파…3전 전승 16강행 [아시안게임]
- 한가위 닷새 앞둔 ‘모란장’ 북적북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