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인사이트]"야구 경기마다 7, 8개 오심"..심판들도 '로봇 심판'이 반갑다

강동웅 스포츠부 기자 2022. 6. 29. 03: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로봇 심판 2024년 1군 도입 추진
강동웅 스포츠부 기자
《“야 이 ○○○야, 판정 똑바로 해!”

롯데와 LG의 프로야구 경기가 열린 4월 29일 서울 잠실구장. 관중석에서 이런 고함이 들려왔다. 비난 대상은 10년 차 김선수 한국야구위원회(KBO) 심판(38)이었다. 김 심판은 “(판정 후 비난에 대한) 중압과 압박이 심하다. 상처도 많이 받는다. TV로 경기를 볼 때도 관중들이 동료 심판에게 욕하는 걸 들으면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말했다. 김 심판은 과중한 업무 스트레스로 지난해부터 심리 상담을 받고 있다.

그에게는 소망이 하나 있다. ‘로봇 심판’ 도입이다. 김 심판은 “처음 비디오 판독을 도입할 때만 해도 기계가 경기에 개입하는 데 부정적이었다. 하지만 시스템이 자리를 잡은 지금은 영상을 통해 내가 보지 못한 장면을 확인할 수 있어 좋다는 생각이 든다”며 “스트라이크 판정에서도 로봇 심판 도움을 받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심판뿐만이 아니다. 허운 KBO 심판위원장은 “작은 실수만 나와도 심판을 향한 비난이 갈수록 과해지는 추세”라며 “심판 모두가 가장 논란이 많은 스트라이크 판정에 ‘로봇 심판을 빨리 도입하는 게 낫겠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야구 심판들이 이렇게 로봇 심판 도입에 적극적으로 찬성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인간 심판’을 향해 커가는 불신

제일 큰 이유는 TV 중계 확대다. 그리고 두 번째 이유는 투구추적시스템(PTS) 도입이다. KBO의 한 관계자는 “모든 경기를 TV로 볼 수 없고, 다시보기도 불가능했던 시절에 심판의 판정에 의문을 갖는 경우는 드물었다”면서 “TV와 비디오 판독 등 야구장에 기계가 도입된 이후 상황이 급변했다. 팬뿐 아니라 선수단에서도 ‘심판이 틀렸고 내가 맞을 수 있다’는 생각이 확산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실제로 프로야구 전 경기가 TV 중계를 시작한 2008년 전까지 스트라이크 판정에 대한 항의로 상벌위원회가 개최된 경우는 2006년 단 두 차례에 불과했다. 프로야구 원년인 1982년부터 2005년까지 23년간은 한 번도 없었다. 반면 2008년 이후 지금까지 14년 사이 스트라이크 판정 항의에 따른 상벌위 개최는 17번에 달한다. 판정에 불복하는 선수, 코치의 수가 급격히 늘어난 것이다.

특히 ‘스트라이크 존 정상화’를 강조하기 시작한 올해는 더 많아졌다. 선수단의 스트라이크 판정 항의가 현장에서 퇴장으로 이어진 경우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매해 1, 2회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난해 이 부문 퇴장 횟수가 4회로 늘었고 올해는 전반기 일정을 끝마치지도 않았는데 벌써 6차례 퇴장이 나왔다.

심판도 본인 판정에 찜찜함이 남는다. KBO 소속 A 심판은 “하루에 많으면 300개의 공을 보는데 솔직히 경기마다 7, 8개의 공은 실수를 할 수밖에 없다”며 “결정적인 순간에 내린 판정이 마음에 걸리면 경기가 끝나고 나서도 ‘내가 그 공을 잘 못 봐서 이런 결과가 나왔나’ 하고 자책하곤 한다”고 털어놨다.

그나마 KBO리그는 ‘엘리트 선수’ 출신 심판이 많아 판정이 비교적 정확한 편이라는 평가가 우세하다. ‘전문 선수’ 경험 없이 심판부터 시작하는 일이 많은 메이저리그(MLB)는 사정이 더 심각하다. 2020년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게재 논문 ‘MLB 판정오류 영향 요인 탐색’은 PTS 데이터 분석 결과 2019년 MLB 경기에서 스트라이크 존을 통과한 공 11만1476개 가운데 11.9%(1만3304개)가 볼로 판정을 받았다고 소개했다.

인간 심판에 대한 불신은 로봇 심판에 대한 신뢰로 이어진다. 지난해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에 실린 논문 ‘로봇 심판 도입이 야구팬들이 인식하는 판정에 대한 공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미국 거주 야구팬 14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로봇 심판 판정에 대한 신뢰도는 7점 만점에 5.27점으로 인간 심판(4.83점)보다 높았다.

○ 로봇·인간이 함께 만들어가는 판정 권위

한국에서도 로봇 심판이 인간 심판보다 권위를 더 인정받는다. KBO 11년 차 유덕형 심판(38)은 “퓨처스리그(2군)에서 로봇 심판 판정을 들으며 판정을 내리다 보니 마음이 편하다”며 “과거 스크라이크 판정에 곧잘 항의하던 선수도 로봇 심판이 있는 구장에서는 이제 뭐라 말을 못 한다. 간혹 어필하는 선수도 있지만 ‘로봇 심판이 판정한 것’이라고 답변하면 수긍하더라”고 전했다.

KBO는 2020년부터 2군에서 투구자동판정시스템(ABS)을 시범 운영하고 있다. 올해도 시스템 운영 업체 선정이 끝나는 대로 마산 이천 함평 등 세 곳에서 이 시스템을 활용할 예정이다. KBO는 홈플레이트 위 3차원으로 된 스트라이크 존 어디든 공이 스치면 스트라이크 판정이 나오는 이 시스템을 구축했다. ABS는 선수들 타격 자세까지 감안해 타자별 스트라이크 존 높낮이를 결정한다.

퓨처스리그(2군)에 로봇 심판을 처음 도입한 2020년 8월 5일 경기를 앞두고 구심을 맡은 정은재 심판(오른쪽)이 판정을 전달받을 장비를 착용하고 있다. 뉴스1
인간 심판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앱)이 깔린 스마트폰을 뒷주머니에 착용한 뒤 이어폰으로 로봇 심판의 판정을 듣고 최종 판결을 내린다. 스트라이크 때는 ‘삑’ 효과음이 울리고 볼이면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는 방식이다. 판정도 빠르다. 이경호 KBO 홍보팀장은 “거의 실시간으로 판정이 나온다고 봐도 무방한 속도”라고 설명했다.

물론 아직 완벽한 건 아니다. 제일 큰 문제는 소음이다. 김정 심판(36)은 “9회말 2아웃 풀카운트 상황에서 공이 들어온 뒤 관중들이 갑자기 소리를 지르는 바람에 신호를 듣지 못해 콜도 못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항상 한쪽 귀에 이어폰을 꽂고 있다 보니 경기장 다른 곳에서 벌어지는 상황에 대처하기도 어렵다. 신호 전달 속도를 높이려고 유선 이어폰을 쓰다 보니 귀와 뒷주머니가 선으로 연결돼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지기도 한다. 이어폰이 빠져 소리를 듣지 못한 일도 있었다. 스마트폰 배터리가 방전되는 바람에 신호가 전달되지 않은 적도 있다.

기술적인 문제뿐 아니라 토론과 합의가 필요한 부분도 있다. 송재우 MBC스포츠플러스 해설위원은 “스트라이크 존에 대한 규정과 별개로 그간 스트라이크 존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타자가 타석에서 칠 수 있는 공’이었다. 타자가 정말 치기 어렵게 들어온 공도 스트라이크 존에 살짝 걸쳤다면 로봇 심판은 스트라이크로 판정할 것이다. 이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 선수단부터 심판과 야구팬까지 합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KBO는 이르면 2024년 1군 무대에 로봇 심판을 도입할 방침이다. 이때까지 기술 문제가 완전히 보완된다 해도 로봇 심판이 인간 심판을 아예 대체하기는 쉽지 않다. 인간 심판들도 이를 알기에 도우미 역할을 하는 로봇 심판을 적극 환영하고 있다. 훼손된 판정의 권위는 인간과 로봇 심판이 함께 만들어가는 것이다.

강동웅 스포츠부 기자 leper@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