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발 커지는 '이 환자', 심장질환 발병률 높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말단비대증이 사망을 포함한 부정맥, 심부전 등 심혈관 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박철영 교수는 "말단비대증 환자에게서 심장질환의 발병률이 높다는 것은 여러 선행 연구를 통해 추정된 바 있으나,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 관찰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라며 "말단비대증 환자는 치료 후에도 심부전에 유의한 개선을 보이지 않았으므로 진단할 때부터 적극적인 심장 검사와 위험요소 조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말단비대증은 성장이 끝난 후에도 뇌하수체종양에서 성장호르몬을 계속 분비해, 손·발·턱·코·귀 등 말단이 비대하게 커지는 희귀질환이다. 말단비대증은 심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됐으나, 질환의 빈도가 낮아 정확한 내용을 알기가 어려웠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박철영 교수 연구팀은 2006~2016년 사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된 2259명의 말단비대증 환자 중 심혈관질환과 뇌졸중 이력이 없는 1874명의 데이터를 평균 7.5년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말단비대증 환자의 부정맥 발병률은 1년에 1000명당 3.06명으로 1.07명인 대조군보다 확연히 높았다. 또한 심부전 발병률도 말단비대증 환자는 3.11명으로, 대조군(1.63명)보다 높았다. 연령, 성별, 2형 당뇨병 여부를 보정해도 대조군 대비 각각 59%, 54%의 발병위험도가 증가했다.
반면, 심근경색 및 뇌졸중 발병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박철영 교수는 "말단비대증 환자에게서 심장질환의 발병률이 높다는 것은 여러 선행 연구를 통해 추정된 바 있으나,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 관찰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라며 "말단비대증 환자는 치료 후에도 심부전에 유의한 개선을 보이지 않았으므로 진단할 때부터 적극적인 심장 검사와 위험요소 조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유럽 심장 분야 저널 'European Heart Journal'에 최근 게재됐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키가 너무 큰 거인증… '천의 얼굴' 가진 뇌의 병
- 거인병 환자 절반 40~50대, 손·턱 커지면 의심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커져가는 '절망'…그래도 치료의 길은 있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갑자기 이마·턱 돌출된다면… '이 병' 의심
- 노년에 '이 음식' 많이 먹으면… 인지기능 저하 위험
- 마동석, ‘이 뼈’ 부러져 하반신 마비 위기까지… 얼마나 심각했길래?
- 기자와 PD가 폐 건강으로 맞붙다… ‘폐지컬100’ [헬띠타카]
- [아미랑]‘암 생존자 주간 행사’ 참여하세요 外
- [밀당365] 아침 거르지 말고 ‘맛있는’ 샐러드 드세요
- 월경 주기 불규칙한 사람 주목… '이 질환' 위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