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새와 시골 새는 서로 부러울까?

용인시민신문 신승희 입력 2022. 6. 28. 11: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람이 익숙한 새와 경계하는 새, 그 차이는..

[용인시민신문 신승희]

 날개 사이에 머리를 파묻고 잠을 자는 흰빰검둥오리
ⓒ 용인시민신문
 
'시골 쥐와 도시 쥐(때론 서울쥐)'라는 우화가 있다. 서로의 집에 놀러 가서 겪게 되는 이야기로 시골 생활과 도시 생활의 차이에서 생긴 해프닝을 담고 있다. 최근 필자는 평일에는 주로 도시인 용인 수지구에, 주말은 시골인 처인구 원삼면에 있다. 그러다 보니 시골과 도심의 차이를 새삼 실감하고 있다. 
   
오전에 시간이 나면 집 앞의 광교산에 오른다. 광교산은 용인과 수원에 걸쳐 있을 만큼 크고 넓어 산이 뻗어나간 한자락에 잠시 오른다. 도심 산은 진입이 좋다. 아파트 단지가 산 아래 있으면 출입문마다 산으로 올라가는 길이 나 있기 때문이다. 마을에서 난 길을 따라가면 산으로 올라가는 길을 금방 찾을 수 있다. 많은 사람이 오가다 보니 쉽게 길이 만들어졌다.

반면 시골은 마을 뒤에 산이 보이지만 올라가는 길이 아예 없거나 몇 갈래 되지 않는다. 있어도 산 중턱 묘지까지만 가다가 끊어지기 십상이다.

하천도 차이가 있다. 저녁에 시간이 나면 동네에 있는 하천에 간다. 손곡천을 거쳐 동막천을 만나 탄천까지 이어져 있다. 날씨가 더워서인지 저녁 선선한 바람에 사람들이 많이 나온다. 개들을 데리고 나오는 사람도 많다. 

도심 하천 주변에는 산책로와 자전거도로, 체육시설과 의자가 설치돼 많은 사람이 이용할 수 있게 해놓았다. 시골 하천은 사람과는 거리가 있다.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나 장소도 없는 경우가 많고 산책로나 자전거도로도 거의 없다.

행정에서는 이용하는 사람들이 적어 관련 시설을 만들지 않았다 하고, 사람들은 시설이 없어 찾지 않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시골 저수지에는 둘레길이 많이 만들어져 있다. 낚시꾼들이 찾아오고, 그 주변을 따라 상가나 펜션들이 있어 그런가 싶다.

저녁 9시가 다 될 무렵 손곡천을 따라 걷고 있는데, 하천 한가운데 커다랗고 둥근 돌덩이가 보였다. 가까이 가보니 흰뺨검둥오리 한 마리가 날개 사이에 머리를 파묻고 잠을 자고 있었다. 불과 1미터 남짓까지 다가가 사진을 찍었다. 그런데도 흰뺨검둥오리는 꼼짝하지 않았다. 죽었나, 의심할 정도로 움직임이 없었다. 세상에 이럴 수가. 원삼 시골동네에선 절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다.
 
 먹이 사냥을 하고 있는 왜가리
ⓒ 용인시민신문
시골에선 몇십 미터 떨어진 거리에서 작은 발소리라도 나면 새는 푸다닥 바로 날아가 버린다. 달리던 차가 멈추기만 해도 시동을 끄기만 해도 그렇다.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

그런 필자에게 사람이 가까이 와도 신경쓰지 않고 잠에 몰두하는 도시의 흰뺨검둥오리는 정말 신기한 경험이었다. 나중에 도시 사는 친구에게 물어보니 특별하지 않은 일상이란다. 오리를 보곤 아무 반응도 없던 사람들이 오리를 찍겠다고 쭈그리고 앉아 무릎까지 꿇고 있는 필자를 더 이상하게 쳐다보았다.

동막천을 따라 더 내려가다 보니 이번엔 먹이 사냥에 나선 왜가리가 나타났다. 밤참이라도 먹으러 온 거 같았다. 긴 다리와 긴 발가락을 조심스레 뻗으면서 한발 한발 옮기고, 목을 길게 빼고 있었다. 목을 길게 뺄수록 뭔가에 집중하고 있다는 신호였다. 곧장 물속으로 부리를 꽂았다. 그러나 허탕이었다. 다시 발을 뻗으며 다른 장소로 이동했다.

한참을 따라가며 사진을 찍고 쳐다보고 있어도 왜가리는 필자에게 전혀 신경을 쓰지 않았다. 외려 지나가는 사람들이 필자를 이상하게 쳐다봤다.

도심 하천 밤 산책에서 본 도시 새는 필자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가까이 다가가도 전혀 신경을 쓰지 않는 새, 그런 새를 아무 관심 없는 듯 지나가는 도시 사람들. 도심 하천에 사는 새는 사람들이 무서운 존재나 경계해야 할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기에 자신들의 일상을 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시골 새들은 그들의 영역에 침범하는 인간들이 낯설고 경계와 위협의 대상으로 여기며 멀찌감치 거리를 두고 있다. 시골 쥐와 도시 쥐처럼 시골 새와 도시 새도 자신들의 환경을 만족해할까, 아니면 상대방을 부러워할까. 궁금해지는 밤 산책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용인시민신문에도 실렸습니다. 글쓴이는 신승희 생태환경교육협동조합 숲과들 활동가 입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