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더딘 우리 아이..'이것'에 시달린 엄마 때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임신 중 '프탈레이트'에 노출되면 태어난 아이가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동욱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임신 중 프탈레이트 노출이 지방 외 근골격계 등의 발달에 영향을 미쳐 출산 후 어린이의 정상적인 성장을 저해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아동의 정상적인 성장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임신 중 프탈레이트 노출을 줄이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대병원 환경의학클리닉 홍윤철 교수팀(이동욱 교수)은 총 39개 연구에 대한 검토·메타분석을 통해, 산전 프탈레이트 노출과 어린이의 신체 성장 사이 연관성을 조사했다. 2021년까지 출판된 문헌들을 활용했으며, 산전 프탈레이트 노출과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등 어린이의 신체계측 지표를 파악·분석했다.
연구결과, 임신 중 프탈레이트 노출이 약 2.7배 증가하면 출산한 아이의 아동기 체질량지수 표준점수가 0.05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중 프탈레이트에 노출될 경우 아이가 기대 체중에 도달하지 못하는 등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할 수 있다는 의미다. 반면 임신 중 프탈레이트 노출과 출생 후 아동기 체지방률 사이에는 유의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임신 중 프탈레이트 노출이 어린이 체지방률과 관련성이 낮고, 근육 발달을 저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함을 보고한 이전 연구 결과를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이동욱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임신 중 프탈레이트 노출이 지방 외 근골격계 등의 발달에 영향을 미쳐 출산 후 어린이의 정상적인 성장을 저해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아동의 정상적인 성장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임신 중 프탈레이트 노출을 줄이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홍윤철 교수 또한 “향후 연구는 어린이의 성장에 미치는 프탈레이트의 해로운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며 “생활환경에서 프탈레이트에 대한 더 엄격하고 광범위한 규제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최신호에 발표됐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녹색연대 "소비자, 불안감 속 '코팅 프라이팬' 사용"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매일 식탁에 오르는 미세플라스틱, '이 병' 일으킨다
- 테이크아웃 컵 속 코팅제… 신장 기능 손상 가능성
- 故 이건희 회장 기부금, 소아 백혈병 환자 유전체 검사에 사용
- [카드뉴스] 산미 VS 고소한 맛, 건강에 더 좋은 커피는?
- 커피 속 얼음, 알고 보니 세균 득실? [불량음식]
- [아미랑] 암성 통증, 털어놓으면 해결됩니다
- [밀당365] 혈당 시험지 유통기한 지났는데, 써도 되나요?
- 비타민D, '이것'과 같이 먹으면 사망 위험 낮아져
- ‘이 음식’ 먹고 목 아프다던 中 여성, 입원 10분 만에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