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욱 "모든 것은 정훈희의 '안개'에서 출발했다"

임세정 2022. 6. 27. 04: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박찬욱 감독은 마침내, 가장 간결하고 고전적인 방식으로 관객을 날것의 감정 앞으로 이끌었다.

박 감독은 "트윈플리오도 이 곡을 커버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을 때 이 영화가 시작됐다. 가사 중 '안개 속에 눈을 떠라 눈물을 감추어라'는 가사가 심금을 울렸다"며 "안개가 뿌옇게 끼어서 시야가 흐릿할 때 눈을 똑바로 뜨고 잘 보이지 않는 뭔가를 열심히 보겠다는 의지와 노력, 그런 걸 생각했다. 이 감흥을 표현할 수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칸 감독상 수상작 '헤어질 결심'
탕웨이·박해일 염두에 두고 각본
"우아하고 고전적인 사랑 이야기"
영화 ‘헤어질 결심’으로 올해 칸 국제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한 박찬욱 감독이 24일 국내 언론과 화상 인터뷰를 하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CJ ENM 제공


박찬욱 감독은 마침내, 가장 간결하고 고전적인 방식으로 관객을 날것의 감정 앞으로 이끌었다. ‘아가씨’ ‘박쥐’ ‘친절한 금자씨’ ‘올드보이’ 등 강렬하고 자극적인 이야기들로 채워진 그의 필모그래피는 ‘헤어질 결심’에서 아주 다른 결로 걸었다.

이번 영화로 제75회 칸 국제영화제 감독상을 받은 박 감독이 24일 국내 언론과 화상인터뷰를 가졌다. 박 감독은 “고전적이고 우아한 사랑 얘길 만들려고 했다. 감독의 주장, 정치적 메시지, 영화적 기교나 화려한 볼거리가 없는 순수한 영화, 배우의 연기와 카메라 샷 등 영화를 구성하는 최소한의 요소로 깊은 감흥을 끌어내는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고 밝혔다.

대중이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알 수 없었다. 그는 “이런 스타일의 영화가 너무 구식으로 보일 수 있겠다는 걱정이 있었지만, 한편으로 현대에는 이런 영화가 새로워 보일 수 있겠다는 기대도 있었다”고 돌이켰다.

영화의 두 주인공은 끊임없이 자제하고 에둘러 말하지만 대화 눈빛 등 많은 것이 관능적으로 다가온다. 그는 “에로틱한 느낌을 만들기 위해 배우에게 표정을 주문하거나 특별히 뭔가를 묘사하려 애쓰지 않았다. 그럼에도 관객들이 그렇게 느끼는 것은 ‘센슈얼하다’ ‘섹시하다’ 류의 감정이 얼마나 정신적인지 보여준다”며 “육체적 터치보다 사랑과 관심 같은 감정이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고 성적인 즐거움까지도 유발함을 알려주는 증거”라고 말했다.

탕웨이와 박해일을 주연 배우로 염두에 두고 시나리오를 쓰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영화를 만드는 과정도 예전과 달랐다. 박 감독은 “탕웨이를 캐스팅하기 위해 주인공 서래를 중국인으로 설정했다. 그의 매력을 떠올리는 동시에 ‘이런 모습의 탕웨이를 보고 싶다’고 생각하며 각본을 썼다”면서 “실제로 보니 생각보다 더 장난기 있는 사람이었고 고집스러운 면도 있었다. ‘나는 이렇게 해야 잘할 수 있다. 내 방식은 이런 것이다’는 소신이 뚜렷해 그걸 캐릭터에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영화 속 해준은 전형적인 형사의 모습이 아니면서 배우 박해일 본래의 캐릭터와 비슷하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그는 “박해일을 상상하며 각본을 써보자고 정서경 작가에게 제안했다. 담백하고 깨끗하며 상대를 배려하는 인간 박해일을 캐릭터에 도입하자고 했다”며 “확고한 직업의식을 가진 고지식한 인물이 자기의 윤리를 배반하는 처지에 놓일 때 딜레마와 고통이 커질 거라고 봤다”고 말했다.

삽입곡이자 엔딩 테마곡 ‘안개’는 영화 속 키워드이자 작품 전반의 분위기를 잘 담는 요소가 됐다. ‘안개’는 박 감독이 가장 좋아하는 가요 중 하나다. 그는 여가수 중 정훈희를 가장 좋아하며 존경한다고 했다.

박 감독은 “트윈플리오도 이 곡을 커버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을 때 이 영화가 시작됐다. 가사 중 ‘안개 속에 눈을 떠라 눈물을 감추어라’는 가사가 심금을 울렸다”며 “안개가 뿌옇게 끼어서 시야가 흐릿할 때 눈을 똑바로 뜨고 잘 보이지 않는 뭔가를 열심히 보겠다는 의지와 노력, 그런 걸 생각했다. 이 감흥을 표현할 수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어 “영화에 실제 안개도 나오고, 녹색인지 파란색인지 분간하기 어려운 색 이야기도 나온다. 여러 가지 불분명하고 불확실한 상태나 사물, 관계, 감정 같은 게 있다”고 덧붙였다.

영화 제목을 이렇게 지은 이유는 뭘까. 그는 “보통 결심을 하면 성공하는 일이 드물다. 결심이란 단어는 실패로 곧장 연결되는 단어”라며 “‘헤어질 결심’이라고 제목을 지으면 관객이 곧이곧대로 믿지 않을 것 같아 맘에 들었고, 연상 작용을 통해 관객이 능동적으로 참여할 테니 바람직한 제목이라 생각했다”고 밝혔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