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휘자도 울린, 18세 거장의 겸손함

김순천 2022. 6. 26. 12: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2 반 클라이번 콩쿠르 우승자 임윤찬을 보며

[김순천 기자]

깊고 어둡고 축축한 동굴을 한참 걷고 있다고 잠시 상상해 보자. 헤드 랜턴 하나에 의지한 채 공기도 희박한 그 동굴에서 갑자기 저 멀리 환한 빛이 새어 나온다. 그곳을 향해 곧장 달려간다. 그리고 그 빛이 나온 곳에 도착하자 상상조차 못 한 크고 영롱한 크리스털들이 온통 동굴 안에 가득하다는 것을 발견한다. 그 자태를 본 순간 나는 숨이 막히고, 나도 모르게 감탄사를 뱉고 만다. "너무 아름답다"라고.

지금 당장 채취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굉장한 맛을 느끼게 하는 것도 아닌 그저 투명한 광물에 불과할 뿐인데 사람들은 그런 크리스털을 발견하면 이유를 알 수 없는 기쁨과 경외심을 느끼게 된다. 자연이 선사하는 아름다움에 대해 본능적으로 감동을 받는 것이다. 그저 "아름다움" 그 하나만으로 감동하고 기뻐할 때만큼 인간은 참으로 순수한 존재가 아닐 수 없다. 자신의 그런 순수성을 발견할 때 인간은 계산 없는 순수한 만족감으로 참 행복을 만나게 되는 것이다.

18세의 피아니스트 임윤찬이 지난 18일 미국에서 열린 반 클라이번 국제 콩쿠르에서 60년 역사상 최연소로 우승을 거머쥐었다. 7년전 피아니스트 조성진이 쇼팽 콩쿠르에서 우승자가 된 감동과 여운이 거의 사라졌던 때에 조성진과는 결이 다른 또 한 명의 거장의 탄생을 지켜보며 실로 오랜만에 깊은 감동과 전율을 느꼈다.

결승전에서 피아니스트들의 무덤과도 같은 곡인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3번을 선택한 임윤찬의 연주는 그저 천재 소년의 연주가 아니었다. 그는 이미 완성된 거장이었다. 그의 연주는 기교적으로는 완벽했고 음악적으로는 순수했다.
 
▲ 라흐마니노프를 연주하는 임윤찬과 지휘자 두 사람은 마치 오래전부터 연습한 듯한 완벽한 무대를 선사했다
ⓒ 반 클라이번 재단
 
파이널 무대에서 라흐마니노프 연주로 그와 합을 맞춘 심사위원장이기도 한 지휘자 마린 알솝이 지휘 도중 입술 옆으로 흐르는 눈물을 두어 번 정도 손으로 닦으며 지휘를 했다. 그리고 연주가 끝난 직후에도 눈가를 훔친 후 임윤찬을 안아주었는데 연주가 끝난 후 그녀는 동료 심사위원에게 임윤찬과의 연주를 '내 음악 인생의 하이라이트'라고 표현했다고 한다.

이를 두고 임윤찬의 스승이자 피아니스트인 손민수 한예종 교수는 '두 사람이 음악 안에서 만났다'고 평했는데 실제 임윤찬의 파이널 무대를 보면 피아니스트와 지휘자, 오케스트라가 혼연일체가 되어 음악의 절정으로 나아가는 명장면을 만들고 있다.

임윤찬의 라흐마니노프를 듣고 있노라면 마치 동굴에서 만난 거대한 크리스털처럼 묵직하고도 흠결 없는 순수성, 음악에 대한 한 없는 애정과 헌사를 바치는 인간 정신의 위대함을 저절로 느끼게 된다. 이를 바로 옆에서 목도한 지휘자는 지휘 중임에도 흐르는 눈물을 막기란 거의 불가능했을 것이다. 마린 알솝은 2019년 영화 <더 컨덕터>의 실제 모델이기도 한 여성 지휘자로 지휘계의 유리천장을 뚫고 미국의 유명 교향악단의 상임지휘자가 된 인물이기도 하다.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은 영화 <샤인>으로도 유명한 곡이다. <샤인>의 주인공인 피아니스트 데이빗 헬프갓 역시 실존 인물로서 피아니스트들의 신경을 손상시킬 정도로 극악한 테크닉을 요구하는 곡인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에 유독 집착하고 결국 연주가 끝난 직후 쓰러져 그대로 정신병원에서 오랜 기간 요양을 해야 했다. 그는 이후 그를 알아보는 훌륭한 여성을 만나 결혼하고 재기에도 성공하면서 영화는 끝이 난다. 그런데 그런 라흐마니노프보다 더 지독한 곡이 또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자의식 과잉의 대표주자인 프란츠 리스트의 초절기교이다.

이 곡이 세상에 나온 당시에 사람들은 '악마적 기교'를 요구하는 최대의 난곡이라고 평가 했는데 특히 슈만은 '이 곡을 제대로 구현할 사람은 리스트 자신뿐이다'라고도 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실수가 걱정되어 대부분의 콩쿠르 참가자들은 이 곡을 잘 선택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런데 임윤찬은 준파이널에서 이 곡을 선택하여 1시간 6분 동안 완벽하게 연주하였고, 심사위원인 알레시오 막스는 '리스트의 초절기교를 그 나이에 그렇게 치는 사람을 본 적이 없다, 그의 연주를 직접 듣게 되어 영광이다'라고 전하기도 하였다. 또한, 파이널에서 연주한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3번에서는 지휘자도 춤을 추게 만들었으며, 마지막 피날레를 장식한 라흐마니노프 연주로 심사위원장마저도 눈물을 흘리게 만든 것이다.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은 러시아 특유의 비극적인 서정과 더불어 극도의 고독과 우울감이 쌓이다 못해 하늘을 향해 포효하는 듯한 강렬한 격정이 특징인데 이런 곡일수록 테크닉과 템포가 완벽하지 않으면 절정을 향해 마구 달려가던 격정이 순식간에 휘발될 수 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나 해석적으로나 어려운 곡임은 분명하다. 그 몹시도 어려운 곡을 임윤찬은 그야말로 완벽하게, 거대한 토네이도가 지나가는 것처럼 격렬하게 연주하였고, 연주가 끝난 후 느낀 엄청난 카타르시스는 정말로 대단했다. 객석에서 터진 함성과 박수 소리는 다른 연주자들이 끝났을 때와 확실히 다른 반응이었다. 

그러나 피아니스트 임윤찬이 단지 이 곡을 기술적으로 완벽하게 연주하고, 원작자인 라흐마니노프의 의도대로 해석했다고 하여 그에게 모두들 이토록 극찬하고 반한 것만은 아닌 것 같다.

나는 그의 연주에서 예술의 순수성을 보았다. 예술의 아름다움, 손에 잡히지도, 눈에 보이지도 않지만 크리스털처럼 영롱하게 반짝거리는 그 아름다움을 구현하고 싶은 순수한 열망, 이 연주로 내가 빛나 보이고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하리라는 인간의 흔한 욕망이 제거된, 실로 순수하게 예술 그 자체만을 추구하는 한 인간상을 만난 것이다. 그렇기에 마린 알솝도, 수 많은 시청자들도, 그리고 나도 눈물을 흘렸던 것은 아닐까.
 
▲ 2022 반 클라이번 국제 콩쿠르 우승자들 (왼쪽) 은메달 수상자인 러시아의 안나 게뉴셰네, (가운데) 금메달 수상자 대한민국의 임윤찬 (오른쪽) 동메달을 받은 우크라이나의 드미트로 초니
ⓒ 반 클라이번 재단
 
예술의 완성, 모든 예술가들이 그토록 원하는 궁극의 경지를 향한 그의 구도자적인 집념과 음악에의 겸손이 아니고서야 흉내 낼 수 없는 깊은 해석의 바다를 헤엄치면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이런 연주를 위해 이 18세 소년은 도대체 어떤 피와 땀과 눈물을 흘렸던 것일까. 무엇이 그를 이토록 완벽하고도 아름다운 연주를 하도록 만들었던 것일까. 무엇이 그를 하루 12시간 이상 피아노만 치도록 이끈 것일까.

콩쿠르  대상 수상 직후 열린 인터뷰에서 임윤찬은 자신의 커리어에 대한 야망에 관하여 질문을 받았는데 그는 이렇게 답변했다.

"나는 그저 산속에 들어가 피아노만 치고 싶다. 그런데 그러면 수입이 없기 때문에 그럴 수는 없다. 콩쿠르가 끝난 이후가 더 중요한 것 같다. 앞으로 많은 곡을 할 수 있어서 그게 기대가 된다."

그러자 또 다른 기자가 그럼 이 콩쿠르에 왜 참가했는지를 물었고, 그는 또 이렇게 대답하였다. "콩쿠르는 입상이 목적이 아니고, 내 연주의 성숙도를 확인하고 싶었다"라고 말이다. 

임윤찬이라는 놀라운 예술가를 알게 된 것도 기쁘지만 무엇보다 가장 기대되는 것은 이 어린 거장이 앞으로 보여줄 레퍼토리들이다. 그가 연주하는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과 브람스의 피아노 협주곡들은 어떤 모습일지, 그가 해석하는 쇼스타코비치와 슈만은 어떨지, 마치 최근에 발매된 BTS의 새 앨범을 아주 오랫동안 기다렸던 것만큼이나 궁금해 죽을 지경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