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존 유일 고려 후기 금동약사불상 국보 지정

이종길 2022. 6. 23. 17: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이 국가지정문화재 국보가 됐다.

조선 성문 법전인 '경국대전(經國大典)' 세 건과 천문도 일종인 '신·구법천문도(新·舊法天文圖) 병풍', 정조가 쓴 한글편지 묶음 '정조 한글어찰첩'은 보물이 됐다.

약 그릇인 약합(藥盒)을 든 약사여래 도상이 온화하고 자비로운 표정과 비례감 있는 신체, 섬세한 의복 장식 표현 등으로 정확하게 나타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국대전' 세 건, '신·구법천문도 병풍' 등 보물로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이 국가지정문화재 국보가 됐다. 조선 성문 법전인 '경국대전(經國大典)' 세 건과 천문도 일종인 '신·구법천문도(新·舊法天文圖) 병풍', 정조가 쓴 한글편지 묶음 '정조 한글어찰첩'은 보물이 됐다. 문화재청은 지방자치단체, 소유자 등과 협력해 여섯 건을 체계적으로 보존·활용한다고 23일 전했다.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은 현존하는 유일한 고려 후기 금동약사불상이다. 발원문(發願文·부처에게 비는 소원을 적은 글)에 고려 충목왕 2년(1346)이라는 제작 시기가 적혀있다. 표현에는 단아하고 정제된 14세기 불교 조각의 전형적 양식이 반영됐다. 약 그릇인 약합(藥盒)을 든 약사여래 도상이 온화하고 자비로운 표정과 비례감 있는 신체, 섬세한 의복 장식 표현 등으로 정확하게 나타난다.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발원문(백운화상 서명 부분)

길이 10m가 조금 넘는 발원문도 역사·학술적 가치가 높은 유물이다. 시주자, 발원자 등 1117명의 이름이 기록돼 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고려 단일 복장발원문으로서 가장 많은 인명을 담고 있다"며 "공민왕의 몽골식 이름인 '바얀테무르(伯顔帖木兒)'도 발견된다"고 했다. 발원문 작자인 승려 백운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을 편찬한 백운 경한과 같은 인물로 추정된다.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은 1377년 간행된 현존 세계 최고 금속활자본이다.

경국대전 권4-6

보물로 지정된 경국대전은 삼성출판박물관에 있는 권1∼2와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한 권1∼3, 수원화성박물관에 보관된 권4∼6이다. 하나같이 서지학적 완성도가 높다고 평가된다. '경국대전 권1∼2'는 1471년 신묘년에 간행된 '신묘대전'이다. 경국대전 판본 가운데 가장 제작 시기가 이르다. 조선 초 금속활자인 초주갑인자로 인쇄됐다. '경국대전 권1∼3'과 '경국대전 권4∼6'은 성종 16년(1485) 완성된 이른바 '을사대전'을 바탕으로 16세기에 찍은 책이다. 두 종이 합쳐 내용상 완질(完帙)을 이룬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조선 법제사 연구의 획기적 자료"라며 "향후 관련 연구에 많이 활용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구법천문도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신·구법천문도 병풍'은 동양과 서양의 천문도를 좌우에 배치한 8폭 병풍이다. 채색에는 서양에서 수입한 합성안료인 양록(에메랄드 그린)이 사용됐다. 제작 시기는 안료를 수입한 19세기 후반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동서양의 천문 지식이 융합된 모습을 보여준다"며 "당시 천문학과 기하학, 수학 등의 특징과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정조 한글어찰첩

국립한글박물관이 소장한 '정조 한글어찰첩'은 정조가 세손으로 책봉되기 전인 원손 시절부터 왕위에 올라서까지 외숙모 여흥민씨에게 한글로 쓴 편지 열네 통을 묶은 자료다. 정조의 한글 서체 변화과정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다. 내용은 계절 인사와 안부를 묻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조선 왕실 문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라고 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