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BL시대! 소년들의 사랑, 대체 무슨 매력이야?

2022. 5. 31. 17:2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는 그 어느때보다 소년들의 사랑에 열광한다. 각종 OTT와 웹드라마를 휩쓸고 있는 BL(Boys' Love)물, 그 매력을 팬들에게 물었다.
「 10년 전? 그저 ‘특이 케이스’였지만… 」
BL물은 그간 음지에만 머물렀다. 10년 전만 해도 동성애 캐릭터가 대중 미디어에 노출되는 경우는 드물었다. 굳이 꼽자면 〈응답하라 1997〉에서 6년간 소꿉친구를 남몰래 사랑한 ‘윤제’의 에피소드, 이제 와서 보니 띵작이라는 평을 받고 있는 가수 케이윌의 뮤직비디오 ‘이러지마 제발’ 속 동성 친구의 결혼에 마음 아파하는 모습 정도? 그마저도 모두 고백 한 번 못하는 짝사랑으로 그려졌다. 간혹 조연으로 등장하는 성 소수자는 편견과 선입견을 그대로 시각화한듯한 우스꽝스러운 캐릭터로 비춰지기 마련이었다.

물론 그간 동성애를 다룬 매체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었다. 퀴어 장르라는 면목으로 독립 영화나 예술・실험 영화에 등장하곤 했지만 성소수자 커플이 차가운 현실의 벽에 부딪히는, 알콩달콩 로맨스와는 거리가 먼 퀴어 작품들이 반 이상이었다. 멜로 다운 멜로, 로맨스 다운 로맨스를 담은 BL물은 그저 남성 동성애를 다룬다는 이유로 폐쇄적인 커뮤니티에 머물렀다. 그랬던 BL 소재가 불과 몇 년 사이 완전히 양지에 싹을 틔웠다. 〈너의 시선이 머무는 곳에〉, 〈나의 별에게〉, 〈새빛남고 학생회〉, 〈시멘틱 에러〉 등 BL 시대가 시작된 것. OTT 플랫폼에서 시청 순위 1위를 기록하는가 하면, 작품 속 주연을 맡은 한 아이돌 그룹의 멤버 덕에 해당 그룹이 음원 사이트에 재진입하기도 했다.

인기 웹 소설 〈시멘틱 에러〉, BL 게임으로 사랑받았던 〈새빛남고 학생회〉, 인기 웹툰 〈블루밍〉. 웹툰이 원작인 영상화 작품이라면 어느 정도 보장된 인기와 관심을 얻는 것과 비슷한 과정이다. 이미 탄탄한 스토리와 작품성으로 팬층을 거느린 작품이 영상화가 된다? 캐스팅은 누가 되었는지, 싱크로율은 얼마나 맞는지, 원작 스토리를 얼마나 따라갈 것인지… 런칭 전부터 화제성을 끌고 갈 수 있는 셈. 게다가 그 어느 때보다 온라인상에서 개인의 취향과 평가를 가감 없이 하는 시대인 만큼, 입소문 아니 손가락 소문은 빠르게 돈다.

「 취향에 이유가 있어? 」
폐쇄적인 커뮤니티에서 주로 소비되어왔다곤 하지만, 마니아층은 깊고 탄탄했다. 왜 ‘갑자기’ 다들 BL물을 좋아하느냐고? A씨는 이렇게 대답했다. “굳이 드러내지 않았던 것뿐이죠.” 물론 취향에 명분이나 이유를 붙일 이유는 없지만 B씨는 이렇게 답했다. “로맨스물을 원래 좋아해요, 성인이 되고 나니까 질리더라고요. 여자 주인공은 항상 가난하거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캐릭터 아니면 〈엽기적인 그녀〉의 또 다른 변형처럼 억세고 과한 캐릭터, 둘 중 하나였어요. 저는 여자니까 보면서 자연스럽게 여자에게 감정 이입을 하며 볼 수밖에 없잖아요? 평범한 남녀가 주인공인 로맨스물을 보다 보면 이입할수록 점점 짜증이 나죠. 둘이 사랑에 빠지는 게 이해가 안 가거든요. BL물은 그런 불필요한 감정 노동을 안 해도 되어서 좋아요.” 이입할 필요 없이 오직 판타지에만 집중할 수 있다는 거다. 일각에서는 여성 인권이 억압된 사회적 분위기일 수록BL물이 인기가 있다는 해석도 있다.

특유의 섬세함과 집중력도 손에 꼽았다. “아무래도 성소수자를 다룬 이야기다 보니까 감정선이 이성애 소재보다 훨씬 섬세해요. 기존 이성애물에서는 너무 당연해서 생략하거나 뻔하게 여기는 과정이 BL물에서는 매우 디테일하게 보여지죠. 잊고 있던 감수성이 살아나는 느낌이랄까요? 애틋해져요.”라고 A씨는 말했다. “BL물 한정 마니아는 아니에요. 그저 로맨스와 멜로를 좋아해요. 영상화된 BL 소재 작품이 주는 특유의 느낌과 클리셰를 좋아해요. 그래서 자주 보는 것뿐이죠. ”라고 C씨 역시 덧붙였다. 한 인터뷰에서 관련 업계 관계자는 “젊은 세대일수록 이성애나 동성애 시각으로 작품에 접근한다기보다 인간 본연의 감정을 다루는 측면으로 작품을 바라본다”고 말했다.

「 이 인기, 앞으로도 계속? 」
K-BL 콘텐츠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다. 웹드라마 〈나의 별에게〉는 일본 공개 당시 전체 콘텐츠 1위에 올랐고, 웹드라마 〈류선비의 혼례식〉은 전 세계 18개국에 동시 공개가 되는가 하면 대만, 일본에서는 차트 1위에 오르기도 했다. 대형 제작사까지 해당 콘텐츠를 제작할 정도이니, 실로 놀라울 발전이다.

소재가 풋풋한 하이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포화상태가 되어버린 수많은 BL콘텐츠가 이렇다 할 스토리 없이 그저 두 주연 배우의 아름다운 모습만 뮤직비디오처럼 찍어냈다는 등의 아쉬운 평가도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퀴어와 BL의 장르적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불러온 오해들도 피해 갈 수 없었다. 이제는 당당하게 하나의 메이저 장르로 자리 잡은 BL 콘텐츠가 보다 더 다양하게 그 범위를 넓혀가는 모습을 지켜보자.

Copyright © 코스모폴리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