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칼럼]'習下李上'의 실체

베이징=조영신 2022. 5. 31. 11: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고는 환관에서 진나라(秦) 승상까지 오른 인물이다.

조고는 유언장에 적힌 이름 부소를 호해로 바꾼다.

조고는 이 일로 승상의 자리에 오른다.

2인자 조고는 직접 1인자 자리에 오르려 하다가 목이 잘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베이징=조영신 특파원] 조고는 환관에서 진나라(秦) 승상까지 오른 인물이다. 고사성어 지록위마(指鹿爲馬)로도 유명한 인물이다. 시황제는 죽기 전 맏아들 부소에게 황위를 넘겨준다는 유언을 남겼다. 조고는 유언장에 적힌 이름 부소를 호해로 바꾼다. 조고는 이 일로 승상의 자리에 오른다. 2인자 조고는 직접 1인자 자리에 오르려 하다가 목이 잘렸다. 황제의 정통성이 부족할 경우 조고와 같은 간신이 득세하고 결국 나라가 혼란에 빠진다는 사례는 중국사에 제법 많이 등장한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지난 18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14일자(토) 2면을 통틀어 리커창 총리의 '제5차 염정공작회의' 연설문을 실었다면서 리 총리의 존재감이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염정공작회의는 반부패 관련 회의로 지난달 25일 열렸다. 이 신문은 유명무실하던 리 총리의 권한이 최근 한 달 새 크게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인민일보 보도가 의미를 둘 만큼 특별할까. 인민일보는 지난해 5월10일자(월) 2면에 '제4차 염정공작회의' 연설문을 실었다. 분량은 올해와 대동소이하다. 제목 또한 같다. '4(四)'와 '5(五)'만 다를 뿐이다. 올해는 시진핑 동지의 영도하에 정부는 당 중앙의 결정을 철저히 견지, 당의 요구를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관철했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올가을 예정된 20차 당대회를 염두에 둔 일종의 시 주석 치켜세우기 발언이다. 경제 관련 내용은 코로나19 재확산 상황을 감안, 기업 및 자영업자 지원책, 고용 안정, 식량 및 에너지 안보 등 기존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리 총리가 강조했던 것과 같다. 닛케이가 2인자 리 총리를 이용, 1인자 시 주석을 흠집 내고 싶었던 모양이다.

미국 언론도 가세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25일 중국 지도부가 '제로(0) 코로나' 정책을 두고 분열하고 있다는 분석 기사를 내놨다. 근거는 지난 18∼19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 창립 70주년 행사에 참석한 시 주석의 화상 연설. 시 주석이 팬데믹으로 전 세계가 위기에 직면해 있다는 점만 강조하고 경제 관련 언급은 하지 않았다고 WSJ는 전했다. 반면 리 총리는 좌담회에서 코로나19 통제로 인해 다국적 기업들이 중국 사업을 중단하는 일이 없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WSJ는 그러면서 중국 지도부가 방역 정책에 대해 입장이 갈리고 있는 것 같다고 부연했다. WSJ는 시 주석의 집권 1기가 끝나갈 무렵인 지난 2016년에도 시 주석과 리 총리의 경제정책이 엇갈리면서 당 내부에 균열이 생겼다는 기사를 게재한 바 있다. 닛케이 역시 2016년 위정성 정협 주석의 연설에 등장한 단어를 근거로 중국 지도부가 불협화음을 내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봉쇄로 상하이 시민들의 불만이 극에 달할 당시 상하이 일각에서 '습하리상(習下李上)'라는 말이 돌았다. 시 주석이 낙마하고 리 총리가 1인자에 오를 것이라는 의미다. 조선 중종 때 '주초위왕(走肖爲王)'을 연상케 하는 말이다.

습하리상이 실제 일어날 수 있을까. 시 주석은 중국 공산당 총서기와 국가 주석, 중앙군사위원회 주석(군 통수권)을 맡고 있다. 당권과 정권, 군권 모두 시 주석이 쥐고 있다. WSJ나 닛케이가 중국의 정치 구조를 모를 리 없다. 쿠데타가 아닌 이상 일어날 수 없는 일이다. 팩트보다는 중국 지도부가 분열했으면 하는 바람으로 보인다. 적어도 절차상으로만 보면 시 주석에게 정통성이 있다. 올 가을 황제에 등극하는 시 주석을 두둔하고 싶은 생각은 단 1도 없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중국을 관찰해야 중국과 경쟁할 수 있다.

베이징=조영신 특파원 ascho@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