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도, 콘텐츠도 '매운맛' 경쟁.. 괜찮을까

이윤주 2022. 5. 31. 10: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독하지 않아도 즐거운 방법을 찾는 시도가 필요합니다

[이윤주 기자]

"맵부심 질 수 없지", 만화가 이말년(침착맨)이 팔도의 신제품 '킹뚜껑 컵라면'을 먹다가 말했다. 질 수 없다고 했지만, 그의 얼굴은 괴로워 보였다. 지난 3월 방송 이후 킹뚜껑 챌린지가 유행했다. 나아가 '우유·물 안 마시고 먹기'처럼 극한의 조건을 건 챌린지도 늘어났다.

2012년 출시된 불닭볶음면이 소비자들에게 뜨거운 반응을 얻은 후 경쟁사들의 라면 봉지에는 매움 정도를 수치화한 '스코빌 지수'가 등장하기도 했다. 자극적인 매운맛을 더 자극적으로 소비하는 챌린지는 새로운 매운맛 라면이 나올 때마다 빠르게 유행했다. 생각해보면 이는 라면 업계의 특징만은 아니다. 사회 곳곳에서 이른바 '매운맛' 경쟁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컨텐츠 '지금우리학교는'의 학교폭력 피해자 은지가 자신의 나체를 촬영한 영상을 지우기 위해 좀비와 사투를 벌이는 장면이다.
ⓒ 유튜브 '넷플릭스' 채널 공식 영상 캡쳐
 세계적으로 높은 관심을 받는 K-콘텐츠 역시 자극 경쟁을 벌이는 모양새다. <오징어게임>, <지옥>, <지금 우리 학교는> 등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는 점점 자극의 강도가 세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지금 우리 학교는>의 학교폭력 장면·출산 장면은 과도하게 자극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런 비판에 감독은 지난 2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학교폭력·성폭행 불법 촬영의 피해자인 은지는 부끄러운 그 장면을 지우려고 하고, 원치 않은 임신을 한 희수도 낳자마자 아기를 버렸지만 아기를 다시 찾는다. 책임을 지려고 하는 10대의 모습을 보면서 과연 어른들은, 국가는 책임감을 가지고 있느냐를 반문했으면 했고, 이에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나체로 불법 촬영을 당하고, 공중화장실에서 홀로 아이를 낳는 장면이 작가가 의도한 교훈을 전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었을까. 학교폭력 피해자들의 상처를 건드리고 꾸준히 해결책을 고민해야 할 사회 문제를 작품의 극적 연출을 위해 무분별하게 이용한 것은 아닐까.

이런 논란이 작품 인기에 영향을 주진 않는 듯하다. 오히려 "표현의 자유다", "현실적인 연출에 퀄리티가 좋아졌다"와 같은 주장이 많다. 설령 과도할지라도 작품을 위해 '자극'을 활용해도 된다는 공식이 사람들에게 통하는 것이다.          
 
 왼) 이재명 당시 대통령 후보의 선거 유세 영상. 10만회를 넘는 조회수의 영상은 드물다. 오) 윤석열 대통령의 후보 시절 선거 유세 영상. 대부분 몇십만회 이상의 조회수를 얻고 있다.
ⓒ 유튜브 '이재명', '윤석열' 채널 캡처
콘텐츠 소비 방식에서도 자극에 무뎌진 모습이 보인다. 릴스·쇼츠와 같은 숏폼 비디오가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데 그 이유는 사람들이 짧은 시간 내에 중요한 것만 보길 원하기 때문이다. 영상은 더욱 짧아지고, 핵심만 담아야 한다. 길어야 1분인 영상에서 시선을 끌기 위해서는 자극적인 지점을 부각할 수밖에 없다. 이는 결국 자극적인 내용을 더 자극적인 형식으로 생산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제20대 대통령 선거 유세 기간, 이재명·윤석열 후보도 '쇼츠'를 활용했다. 윤석열 후보의 영상은 이준석 당 대표·원희룡 당시 정책본부장이 나와 공약들을 주 시청자인 20,30대가 좋아하는 말투로 소개한다. 공약을 자세히 알려주기보단 딱 봤을 때 끌릴만한 내용 위주로 말한다.

지난 2월 ''쇼츠 민심'은 윤석열>이재명…3배 이상 더 봤다' 기사에 따르면, 윤 후보의 영상은 총 1220만 회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다양한 공약을 꼼꼼히 설명해주는 이재명 후보의 영상과는 내용도, 결과도 사뭇 대비된다. 이 후보의 영상은 총 370만 조회수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 후보의 영상 개수가 약 2배 많은 점을 고려하면 두 후보의 격차는 더 크다고 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자극적인 형식과 내용을 사람들이 더 좋아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예라고 하겠다. 

자극의 재생산은 경쟁을 부추겨 지켜야 할 선을 넘게 한다. 사람들의 주목이 돈이 되는 사회에서, 건강하고 창의적인 방식의 시선 끌기는 힘이 없다. 더 많이, 빨리 자극을 유발하기 위해 대상을 무분별하게 고르고, 이는 특정 대상에 대한 혐오감을 조장한다. '사이버렉카'라 불리는 '이슈 유튜버'들은 사건이 발생하면 자극적이고 논란이 될 만한 내용만을 편집해 빠르게 영상을 올린다.

사람들이 주목할 만한 소식이면 의도적으로 왜곡하기도 한다. 한 BJ는 이슈 유튜브 채널에 자신의 개인사가 올라간 후 끊임없는 영상 재생산과 악성 댓글에 고통을 호소하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곳에선 확인되지 않거나 편협한 사실을 가지고 특정 대상에 대해 무분별한 혐오를 쏟아낸다. 자유롭고 주체적인 의견 공유는 중요하지만, 무분별한 자극 경쟁이 불러일으키는 혐오가 의견으로 둔갑하고, 그 비중이 커지고 있다.

거짓말을 하면 그 거짓말을 덮기 위해 또 다른 거짓말을 한다. 자극도 똑같다. 이미 있는 것보다 더 주목받기 위해서 더 자극적인 것을 만들어낸다. '맵찔이(매운 음식을 못 먹는 사람을 조롱하는 단어)', '선비(옛날 선비처럼 보수적이라며 조롱하는 단어)', '불편러(무언가에 불편해하는 사람들을 조롱하는 말)'와 같은 말을 통해 자극을 경계하는 움직임을 또 다른 자극으로 위축시킨다.

이동진 평론가는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해 자신의 신념에 대해 이렇게 말한 바 있다.

"독하게 써야 사람들이 좋아하잖아요. 칭찬도 막 과하게 해야... 그런데 말이라는 건 저절로 에스컬레이트(고조)되기 때문에 독설을 해버릇 하면 말이 점점 거칠어져요."

더 많이 읽게 하려면 독하고 자극적인 단어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고서도 그는 최고의 평론가 자리에 올랐다. 고조되는 것은 말뿐만이 아니다. 그의 신념처럼 독하지 않아도 즐거운 방법을 찾는 시도가 시작되어야 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