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에 낸 소설 어느덧 100쇄..은희경 최고의 '선물'

신준봉 2022. 5. 31. 00:0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0년 가까이 사랑받고 있는 소설가 은희경의 1995년 첫 장편 『새의 선물』 100쇄 개정판이 나왔다. 현대의 고전이다. [뉴시스]

집단과 이념이 득세했던 1980년대가 지나고 개인과 취향이 우선순위로 떠오른 90년대 한복판. 복고풍 소설책 한 권이 도착했다. 열두 살 소녀 진희의 눈을 빌려, 60년대와 90년대 한국 사회의 허상을 신랄하게 까발린 은희경의 장편 소설 『새의 선물』이었다. 소설책은 무섭게 팔렸다. 95년 출간 때 출판사 문학동네 강태형 당시 대표는 “10만 부가 팔리면 차를 사주겠다”고 호언했다고 한다. 눈 밝은 출판사 편집위원(주로 문학평론가)들이 옆에서 웃었다. 실현 불가능한 농담으로 여겼다. 결과는 정반대. 은희경은 “오래지 않아 실제로 차를 선물 받았다”고 했다. 30일 『새의 선물』 100쇄를 기념한 개정판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은 작가가 밝힌 일화다.

100쇄는 100만 부 판매와 느낌이 다르다. 미지근하지만 꾸준한 사랑이다. 조정래의 『태백산맥』, 김훈의 『칼의 노래』 등 몇몇 소설책들만 속한 은밀하면서도 영예로운 클럽이다. 이 소설을 쓸 당시 30대 ‘초짜’였던 은희경은 어느덧 한국 문단의 얼굴로 성장했다. 신생 문학동네 역시 대표적인 문학 출판사로 자리 잡았다.

새의 선물

은희경은 “27년간 사랑받았다는 건 소설을 통해 던졌던 질문에 독자들이 꾸준히 반응했다는 얘기인데, 그런 독자들이 큰 배후세력으로 느껴진다”고 했다. 『새의 선물』이 무슨 질문을 던졌다는 걸까. 좋은 문학작품은 뻔한 결말 대신 질문 형식인 경우가 많다.

은 작가는 “90년대 당시에는 소설을 좀 더 독하게 써야 할 필요가 있었다. 불편한 질문을 던지기 위해서는 독기 어린 태도가 필요했다”고 회고했다. 요컨대 가능하면 독한 표현을 써야 사람들이 어떤 문제를 정말로 심각하게 여기는 시절이었다는 거다. 독한 질문의 내용은 이런 거다. “소설의 어떤 챕터에서는 여성 문제, 다른 챕터에서는 계급 문제, 군사독재 문제를 건드렸다. 그런 문제에 사람들이 익숙하게 적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바로 그런 생각이 사실은 사람들을 부조리한 오답에 주저앉힌다는 게 소설에서 던졌던 질문이었다.”

20여 년 전 작가의 문제의식이 이제는 해소된 걸까. 여전히 문제라고 느낀다면 『새의 선물』은 여전히 생생한 텍스트다. 은 작가는 “100쇄 개정판을 내면서 소설의 뼈대, 큰 줄기는 건드리지 않았다”고 했다. 다만 요즘 현실 인식에 비춰 편견이 밴 단어나 표현은 손질했다. ‘앉은뱅이책상’ ‘벙어리장갑’ 등 장애인 비하로 여겨지는 표현 말이다. ‘불륜’도 ‘공인되지 않은 관계’로 고쳐 썼다. 소설 속 할머니의 적나라한 욕설은 그대로 뒀다. 당대, 그러니까 90년대 현실을 드러내되 어떤 수위까지 소설책에 남겨야 하는지 결정하는 문제가 쉽지 않았다고 했다.

100쇄에 이르기까지 독자들이 『새의 선물』을 집어 든 이유는 백 가지도 넘을 거다. 그 이전까지 한국소설이 제시하지 못했던 새로운 인물형을 선보였다는 점도 그중 하나일 것 같다. ‘열두 살 이후 나는 성장할 필요가 없었다’는 소녀의 당돌함, ‘환부와 동통을 분리하는 법’을 통해 언제나 상처 입기 쉬운 자신을 보호하는 냉소적인 자아 같은 것 말이다.

소설 첫머리 제사(題辭)로 배치한 프랑스 시인 자크 프레베르(1900~77)의 시 ‘새의 선물’은 여전히 알쏭달쏭하다. “아주 늙은 앵무새 한 마리가/그에게 해바라기 씨앗을 갖다 주자/해는 그의 어린 시절 감옥으로 들어가 버렸네.” 무슨 뜻인가.

은 작가는 이렇게 답했다. “언제나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게 시의 매력인 것 같다. 이 시를 접하는 순간 소설에 딱 맞는 시라고 생각했다. 해바라기 씨앗의 상징성, 그 씨앗을 거부하고 어린 시절로 돌아가는 어떤 사람의 모습에서 삶에 대한 희망과, 그 희망을 경계하고자 하는 태도 사이의 긴장감을 동시에 느꼈다.”

신준봉 기자 inform@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