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국립대 김재연 교수, 차세대 작물 유전자교정 기술 스타트업 도전장

영남취재본부 최순경 2022. 5. 30. 16: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상국립대학교는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식물생명공학연구소,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김재연 교수가 작물 전문 유전자교정 스타트업 주식회사 눌라바이오를 창업하고 작물유전자 교정 산업화를 통한 세계무대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그간 식물생명공학연구소의 핵심 연구원인 김재연 교수는 한국연구재단 지원 작물 유전체 교정 기초연구실사업, 한국연구재단 지원 바이오 의료기술개발사업(차세대 정밀육종기술개발) 및 농촌진흥청 차세 대농 작물 신 육종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작물유전자 가위 기반 및 응용기술을 꾸준히 개발해 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식물생명공학연구소 식물 관련 1호 연구원 창업
유전자가위 사용, 작물 정밀육종기술 글로벌리더 꿈
김재연 교수.

[아시아경제 영남취재본부 최순경 기자] 경상국립대학교는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식물생명공학연구소,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김재연 교수가 작물 전문 유전자교정 스타트업 주식회사 눌라바이오를 창업하고 작물유전자 교정 산업화를 통한 세계무대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산업육성사업을 통해, 중소벤처기업부는 초기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눌라바이오를 지원하고 있다.

그간 식물생명공학연구소의 핵심 연구원인 김재연 교수는 한국연구재단 지원 작물 유전체 교정 기초연구실사업, 한국연구재단 지원 바이오 의료기술개발사업(차세대 정밀육종기술개발) 및 농촌진흥청 차세 대농 작물 신 육종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작물유전자 가위 기반 및 응용기술을 꾸준히 개발해 왔다.

국내에서는 드물게 작물유전자 가위 기술혁신 관련 논문과 작물 신 육종 관련 다수의 연구논문을 두루 발표해 왔다. 또 관련 내용을 국내, 미국, 캐나다, 중국 등에 다수의 특허도 출원하며 경쟁력을 축적했다.

학술 활동에서 김재연 교수는 유전자가위 및 이를 활용한 신 육종 분야에 종사하는 국내 산학연구자들로 구성된 신 육종혁신기술연구회를 2019년 창립해 초대 회장으로 봉사하며 리더십을 키우고 있다.

또 김재연 교수 연구팀은 최근에 선정된 중점연구소 및 항노화 바이오소재 세포공장 지역혁신연구센터와 긴밀한 연구 협력을 수행하고 있다.

눌라바이오가 관심을 두고 있는 사업은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그린 러시(Green Rush)로 불리며 뜨거운 열풍이 불고 있는 대마의 카나비노이드 소재 개발이다.

카나비노이드 소재는 건강 기능성 외에 항암, 면역 및 신경보호 등 다양한 신약후보 소재 물질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고가의 물질이다.

연구팀은 향정신성분인 THC가 높은 마리화나 대마의 유전자교정을 통해 THC를 만들 수 없게 만들고 대신에 건강 기능성 유용 소재인 카나비디올(CBD) 및 카나비제롤(CBG)을 높은 함량으로 축적하는 헴프작물로 개량해 생산성, 산물 안전성, 생산 안정성을 높이는 1석 3조 생산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대마 및 카나비노이드 글로벌시장은 향후 8년 내 120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유전자가위 기술은 2020년 노벨상을 배출한 임팩트가 매우 큰 기술로 시총 10조원에 달하는 Intellia Therapeutics 및 CRISPR Therapeutic 등 다수의 스타트업을 만들어내고 있는 신산업분야이다.

국내에서는 툴젠이 크리스퍼(CRISPR)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나 작물유전자 가위에만 특화된 국내 스타트업은 매우 제한적이다.

경상국립대학교 식물생명공학연구소는 1990년 설립돼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한 최초의 우수연구센터(SRC) 사업을 수행했다.

또 다수 국가지정연구실, 국가 핵심 연구센터사업, 세계적인 연구대학 육성프로그램(World Class University), 농촌진흥청 지원 차세대 바이오그린21 사업 시스템합성 농생명공학사업단, 지역혁신연구센터와 중점연구소 유치로 국내 식물 생명과학 및 식물 생명공학 연구 분야를 이끌어왔다. 관련 연구가 스타트업 창업으로 연결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향후 유사한 사업화 사례를 창출할 시금석이 될 전망이다.

영남취재본부 최순경 기자 tkv0122@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