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 3패' T1, 풀세트 접전 끝에 RNG에 석패

이다니엘 2022. 5. 29. 21: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T1이 RNG(중국)를 넘지 못하고 고개를 떨궜다.

T1은 29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린 '2022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결승전에서 RNG를 상대로 세트스코어 2대 3으로 패했다.

RNG는 간간이 날카롭게 찔러 들어왔지만 T1은 큰 위기없이 대승을 거뒀다.

결국 T1은 드래곤 버프를 놓고 벌인 전투에서 상대 주요 챔피언을 쓰러뜨리고 이른 시간 RNG의 넥서스를 파괴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2 MSI 결승서 2대 3 패배
블루 진영에서 모두 이겼으나.. 레드 진영에서 3패 기록
라이엇 게임즈 제공

T1이 RNG(중국)를 넘지 못하고 고개를 떨궜다. 레드 진영에서만 3패를 기록했다.

T1은 29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린 ‘2022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결승전에서 RNG를 상대로 세트스코어 2대 3으로 패했다.

이날 승리로 RNG는 2회 연속 MSI 우승과 함께 최다 우승팀(3회)에 등극했다. 이에 더해 다전제에서 T1을 이기지 못했던 징크스도 깼다. 이번 MSI를 포함해 다전제 상대전적은 1승 3패다.

첫 세트에서 RNG가 이겼다. 케이틀린, 제이스 등 라인전에 힘을 꽉 준 챔피언을 고른 T1이지만 초반 잇따른 사고로 데스를 허용하며 의미가 크게 퇴색했다. 외려 드래곤 버프를 초반부터 가져간 RNG는 중후반 합류전에서 힘의 차이를 증명하며 가볍게 승릴 거머쥐었다.

T1은 다음 게임에서 전략을 수정해 승리를 거머쥐었다. 갱플랭크-오공-리산드라로 이어지는 상체 조합이 주도권을 꽉 쥐고 스노우볼을 굴렸다. RNG는 간간이 날카롭게 찔러 들어왔지만 T1은 큰 위기없이 대승을 거뒀다. 결국 T1은 드래곤 버프를 놓고 벌인 전투에서 상대 주요 챔피언을 쓰러뜨리고 이른 시간 RNG의 넥서스를 파괴했다.

3세트를 RNG가 다시 빼앗았다. 이번에도 극초반 사고가 T1의 게임 운영에 악영향을 미쳤다. T1쪽 레드 버프 인근 전투에서 오공(오너)가 주춤거리다가 상대의 협공에 킬을 허용했다. 바텀에서 이즈리얼(갈라)이 아펠리오스(구마유시)를 홀로 처치한 가운데 T1은 그웬(빈)의 성장을 막을 방도가 없었다. 오브젝트를 일방적으로 빼앗기다가 타워를 모두 허용하고 무난하게 패했다.

다음 세트에서 T1에서 다시금 따라붙었다. T1이 라인전에서 소폭 앞섰으나 스노우볼은 굴러가지 않았다. 팽팽한 대치전이 이어진 가운데 27분경 드래곤 전투에서 승부가 갈렸다. T1이 징크스(구마유시)-르블랑(페이커)으로 이어지는 딜러 라인의 활약을 등에 업고 에이스를 띄웠다. 분위기를 탄 T1은 합류전에서 연달아 킬을 따며 RNG의 두 번째 넥서스를 무너뜨렸다.

마지막 세트에서 블루 진영을 선택한 RNG가 이겼다. 이번에도 바텀에서 사고가 터졌다. 2대2 라인전 양상에서 유미(케리아)가 데스를 허용한 것. 상체에 힘을 준 T1은 부득이하게 바텀으로 눈을 돌리면서 게임 계획이 어그러졌다. 모든 라인에서 킬을 만든 RNG는 골드 차이를 시나브로 벌리면서 킬 포인트도 꾸준히 쌓았다. 내셔 남작 버프를 차지한 뒤 전진하는 RNG를 T1은 막을 재간이 없었다. 그대로 T1의 넥서스가 파괴됐다.

부산=이다니엘 기자 dne@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