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케이블 절단 미리 막는다"..LGU+, 품질안전 종합훈련센터 공개

최은수 2022. 5. 29. 09: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신업 특화 15종 체험시설 갖춘 '네트워크 안전체험관' 운영
현장 구성원의 안전 확보, 품질 제고 효과
ESG 경영 강화 차원..안전보건 경영 체계화
LGU+ 대전 R&D 센터 내에 위치한 품질안전 종합훈련센터의 광코어 체험관에서 LGU+ 소속 교육생들이 단선된 광케이블을 수작업으로 연결하고 있는 모습.ⓒLGU+

LG유플러스가 통신업 현장을 미리 체험할 수 있는 품질안전 종합훈련장을 운영해 안전 사고를 예방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를 통해 구성원 안전 확보 뿐만 아니라 서비스 품질도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LG유플러스는 지난 26일 대전 연구개발(R&D) 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품질안전 종합훈련장인 네트워크 안전체험관과 품질검증 시험시설을 공개했다.


대전 R&D 센터 내에 위치한 품질안전 종합훈련센터는 LG유플러스 임직원과 협력사 구성원의 안전을 확보하고, 고객에게 최상의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됐다. 교육을 위한 시설인 ▲네트워크 안전체험관 ▲광코어 체험관 ▲무선/HFC 실습장 ▲IP/SOHO 실습장 등 4개의 훈련장, 고객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시설인 ▲홈IoT 인증센터 ▲네트워크 연동시험실 등 2개의 시험실로 구성돼 있다.

야간 단선 시 플래시 하나로 광케이블 수백 가닥 연결…VR로 생생한 현장감

이곳에서는 실제 현장사례에 기반한 교육을 네트워크 관제, 품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연 1회 이상 시행 중이다.


안전체험관에서는 네트워크 부문의 임직원 등을 대상으로 연간 40과정·100회차 이상의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개관 후 만 2년여 기간 동안 협력사를 포함해 2500여명이 안전훈련을 받았다.


통신업 특화 체험시설은 ▲통신주 추락·전도 ▲사다리 전도 및 등받이울(추락 방지 울타리) ▲지붕 미끄러짐 및 안전블록 실습장 ▲감전 및 검전기 사용 ▲과전류/잠금장치(LOTO) ▲밀폐공간(맨홀) 작업 안전 ▲생명줄 매듭법 체험 등 실제 통신업 현장에서 마주칠 수 있는 8가지 대표적인 위험 상황을 반영했다.


특히 안전대 추락체험과 통신주 추락·전도 체험은 교육의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가상현실(VR) 기술을 활용했다.


광코어 체험관은 네트워크 현장에서 도로굴착공사 등으로 끊어진 광케이블을 신속하게 복구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시설이다. 이곳의 교육생들은 야간 상황을 가정해 버킷차량에 탑재된 작업대와 동일한 너비의 작업대에서 안전모의 플래시에만 의존한 채로 연결하는 교육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복구능력을 키운다.


무선/HFC 실습장은 네트워크 현장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기지국 안테나를 비롯한 각종 유·무선 장비를 교체하고 복구하는 작업을 실습하는 시설이다. 광동축혼합망(HFC)망의 분배센터와 동축케이블 구간에 사용되는 광통신장치(ONU), 간선분배증폭기(TBA), 전원공급기(UPS) 등 22종의 장비를 현장과 동일하게 구성해 장애처리 및 복구 실습 교육에 활용하고 있다.


IP·소호(SOHO) 실습장은 U+tv(IPTV)와 초고속인터넷 서비스의 개통과 신속한 장애복구를 교육하는 시설이다. 이곳 실습장에서는 교육생이 실제 고객에게 제공되는 U+tv 서비스 상황을 모니터로 직접 지켜보며 개통작업과 장애 복구 작업을 학습할 수 있다.


홈 사물인터넷(IoT) 인증센터는 고객환경시험실, 무선환경시험실 등 IoT제품 개발에 필요한 국내 최고 수준의 시험환경을 모두 갖추고 있다.


고객환경시험실은 고객의 댁내와 동일한 시험 환경을 구축했다. 상품 출시 전 실제와 같은 상황에서 꼼꼼하게 기능을 사전 점검하도록 해 상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했다.


네트워크 연동시험실은 실제로 고객 댁내에 설치되는 U+tv 셋톱박스와 와이파이(WiFi) 공유기, 유선망 네트워크 장비를 배치했다. 이곳에서 네트워크 장비와 홈서비스 단말 간의 상호영향시험을 진행하며, 이를 통해 고객불편의 원인을 파악·개선함으로써 '고객 페인포인트 제로'에 도전하고 있다.


LGU+ 대전 R&D 센터 내에 위치한 품질안전 종합훈련센터의 네트워크 안전체험관에서 LGU+ 소속 교육생들이 지붕의 미끄러짐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교육을 받는 모습.ⓒ

네트워크 현장 미리 체험해 안전사고 예방…서비스·네트워크 품질 제고

LG유플러스는 이곳 품질안전 종합훈련센터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 현장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체험해 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며, 서비스 품질을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다.


양무열 LG유플러스 네트워크인사지원담당은 "예전에는 유지보수 업무를 외주하다가 직접 고용하면서, 외부인원들이 입사하니 어떻게 이분들을 대기업의 시스템을 갖고 역량을 끌어올릴지 고민했다"며"실습적인 부분도 필요하고, 고객을 만났을때 커뮤니케이션이나 대하는 법을 가르칠 필요가 있어 이 같은 교육시설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교육센터 운영은 품질 개선 효과로 나타나고 있다. 양무열 담당은 "현장에서 일하시는 분들이 회사가 정한 안전기준을 준수하는지에 대한 작업상의 기준을 만들어 체크하고 있다"며"네트워크 스쿨을 운영하기 전에는 두자릿수 이상의 위반건이 들어왔는데, 지금은 한달에 한 건이 있을까 말까 큰 개선 효과가 있었다"고 강조했다.


회사는 향후 이 교육센터를 지역사회와 타 기업들에 개방할 계획이다. 양 담당은 "내부 가이드는 현장직원들을 연 1회 교육을 하기 위해 1800~2000명을 대상으로 운영할 것이며 그 이후에 여력이 있으면 개방하겠다"며"일단 제대로 가동을 해 보고 여력을 창출하고 차후에 하겠다. 빠르면 올 하반기 아니면 내년부터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준혁 LG유플러스 네트워크부문장(전무)은 “대전 R&D 센터는 네트워크 장애발생 제로, 안전사고 제로를 견인함으로써 고객에게 사랑받는 일등 네트워크의 밑거름이 되고 있다”며, “품질에 대한 고객의 페인포인트를 없애면서도 무사고·무장애·무결점 사업장을 만들고 나아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전사적인 역량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LG유플러스는 ESG 경영의 관점에서 안전보건 경영을 체계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올해 초에는 최고안전관리책임자(CSEO)를 신설했으며, 매월 최고경영자(CEO) 주관 ‘품질안전관리 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LGU+ 대전 R&D 센터 내에 위치한 품질안전 종합훈련센터의 네트워크 안전체험관에서 LGU+ 소속 교육생들이 안전대를 착용하고 VR로 추락사고를 체험을 하고 있는 모습.ⓒLGU+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