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모과' 연골 보호 효과 기전 최초 규명

이관주 2022. 5. 23. 09: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모과의 연골 보호 효과 기전을 최초로 규명한 논문을 국제 학술지에 발표했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여창환 연구원 연구팀은 실험 연구를 통해 모과가 연골의 구성 성분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연골세포를 보호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여창환 연구팀
모과의 연골 구성 성분 분해 억제 확인
"퇴행성관절염 치료법 모과 활용 가능성 높아져"
퇴행성 관절염 환자가 무릎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사진제공=자생한방병원]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국내 연구진이 모과의 연골 보호 효과 기전을 최초로 규명한 논문을 국제 학술지에 발표했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여창환 연구원 연구팀은 실험 연구를 통해 모과가 연골의 구성 성분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연골세포를 보호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먼저 퇴행성 관절염과 같은 연골 소실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연골 세포에 염증과 관련된 신호전달물질인 염증성 사이토카인(IL-1β)을 노출시켰다. 이어 연골의 유연성과 탄력성 유지 필수성분인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과 '제2형 콜라겐(Col2a1)'의 발현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후 모과 추출물을 3가지 농도(12.5, 25, 50μg/㎖)로 처리해 손상된 성분이 회복되는지 살펴봤다.

그 결과, 모과 추출물에 농도 의존적으로 제2형 콜라겐과 프로테오글리칸의 발현량이 많아지며 연골 구조가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모과의 연골보호 작용 기전과 관련해 연구팀은 모과가 체내 신호전달 체계(NF-kB)에서 염증물질분비에 관여하는 p65 단백질 발현을 억제해 연골 주요성분의 손상 및 분해를 막은 결과라고 해석했다.

모과 추출물 농도에 따른 연골 주요 성분 발현량의 변화.

연구팀은 모과의 항산화 효과도 확인했다. 모과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증가한 활성산소를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활성산소는 연골 퇴행의 주요 원인인 산화 노폐물로 퇴행성 관절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노출 후 연골 세포의 활성산소종 생성 정도(11.4%)가 노출 전(8.4%)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다. 이어 모과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농도가 높을수록(12.5, 25, 50μg/㎖) 활성산소종의 생성이 8.5%, 7.1%, 6.8%로 노출 전보다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창환 연구원은 “이번 논문은 모과의 연골 보호 효과에 대한 작용 기전을 최초로 밝혀 자생숙지양근탕의 퇴행성관절염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나아가 퇴행성 관절염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모과를 이용한 치료법이 향후 유효한 선택지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논문은 SCI(E)급 저널인 ‘국제 분자 과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IF=5.924)’ 4월호에 게재됐다.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