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장 팔아요'.. 인플레 속 연봉 7천 미 싱글맘의 생존법

백재연 2022. 5. 22. 16: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단백질 보충제 2팩을 마시고 철분 보충제를 챙겨 먹는다.

워싱턴포스트(WP)는 19일(현지시간) 치솟는 미국의 물가상승률로 혈장 헌혈로 생활비를 충당하고 있는 한 여성의 이야기를 전했다.

세계 혈장 혈액 공급량의 3분의 2가 미국에서 나온다.

미국은 회사가 혈장에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부분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단백질 보충제 2팩을 마시고 철분 보충제를 챙겨 먹는다. 팔에는 비타민E 오일을 발라 주사 흉터를 예방한다. 크리스티나 실(41세)이 매일같이 하는 일이다. 실은 생활비를 벌기 위해 거의 6개월째 일주일에 두 번씩 혈장 헌혈을 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19일(현지시간) 치솟는 미국의 물가상승률로 혈장 헌혈로 생활비를 충당하고 있는 한 여성의 이야기를 전했다. 혈장 헌혈은 신체에서 혈액을 빼낸 다음 기계를 통해 피를 혈구와 혈장으로 분리해 혈장만 채혈하고 나머지는 다시 몸으로 주입하는 헌혈 방식이다.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에서 공립학교 특수 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실은 15살 아들과 12살 딸을 둔 ‘싱글맘’이다. 연봉은 약 5만4000달러. 물가가 오르기 전에는 월세와 자동차 비용을 내고, 아이 둘을 키우기에 충분했다.

지난해 9월부터 물가가 오르기 시작했다. 실은 WP에 “식비가 매주 150달러에서 200달러가 됐고, 40달러던 자동차 기름값은 70달러가 됐다. 150달러였던 공과금은 300달러까지 치솟았다”고 전했다.

월급은 그대로인데 물가가 오르자 생활비가 부족해졌다. 신용카드를 쓸 수밖에 없었다. 연말이 되자 빚은 약 1만 달러까지 늘어났다.

실은 WP에 “지원할 수 있는 모든 정부 프로그램에 지원했었지만 다 떨어졌다”며 “미국에는 나 같은 중산층을 위한 프로그램은 없다”고 말했다. 그러던 중 매주 두 번 혈장 헌혈을 하면 한 달에 최대 500달러를 받을 수 있다는 걸 알게 된 것이다.

혈장 헌혈 센터에는 ‘4번 기부할 때마다 20달러 보너스’라고 적힌 포스터가 붙어있었다. 센터에서는 “친구를 추천하면 50달러의 보너스를 받을 수 있다”라고 말이 들리기도 했다.

실은 “지금 내 월급은 가족들과 살아가기에 충분하지 않다. 청구서 지불을 끝내면 돈이 전혀 남지 않는다”고 말했다. 치솟는 물가상승률에 그녀의 동료 교사들도 비슷한 처지라고 WP는 전했다. 누군가는 자동차를 팔았고, 누군가는 보육원에서 ‘투잡’을 뛰기 시작했다.

세계 혈장 혈액 공급량의 3분의 2가 미국에서 나온다. 미국은 회사가 혈장에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부분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사람들이 혈장 헌혈을 하고 돈을 받을 수 있는 이유기도 하다.

WP는 혈장 공급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의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2021년 미국 미시간대학교는 가장 빈곤한 인구가 사는 지역에서 혈장 헌혈 센터가 있을 확률이 가장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