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은행에 저금만 열심히 하면 될까?_돈쓸신잡 #46

김초혜 2022. 5. 19. 15: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아껴둔 총알을 사용해야 할 때.
unsplash

현재 전 세계가 직면한 위기를 단어 하나로 요약하면 '인플레이션'이다. 요즘엔 누구와 대화를 하든 "물가가 미친 것 같아요"라는 주제가 쉽게 화두에 오른다. 실제로 생활 물가가 무서운 속도로 치솟고 있다. 자주 가는 평양냉면 가게가 있는데, 냉면 한 그릇 가격은 1만3000원이다. 처음 이 식당에 다녔을 땐 9000원이었다. 약 7년 만에 가격이 50% 가까이 올랐다. 냉면에 수육까지 곁들이면 결코 “가볍게 냉면이나 먹을까?”라는 말을 하기 어려운 가격이 나온다.

물가가 이렇게 오르니 월급이 뻔한 직장인의 지갑은 얇아질 수밖에 없다. 점심에 밖에 나가서 밥을 사 먹고, 커피 한 잔만 먹더라도 2만 원은 우습게 깨진다. 만약 내가 밥을 사야 하는 자리라면 소소하게 먹어도 10만 원은 훌훌 쓴다. 그리 멀지 않은 미래에 ‘치킨 3만 원’ 시대가 도래할 가능성도 높다. 한번 오른 물가는 경제 상황이 나아진다고 해도 과거로 돌아가지 않는다. 짜장면이 한 그릇에 2500원 하던 시절은 다시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 즉, 현재 무서운 속도로 치솟는 물가는 분명 비정상적 현상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이렇게 오른 물가 역시 '뉴노멀'로 받아들여질 테다.

개인이 인플레이션에게 멱살 잡히지 않는 방법은 명확하다. 누군가가 나를 괴롭히려 등 뒤에서 쫓아온다면, 나는 그 사람보다 더 빠르게 도망치면 된다. 직설적으로 말해서, 물가 상승에 대처하는 방법은 돈을 더 버는 방법밖에 없다. 생산성을 올려야 한다. 방법은 2가지다. 첫 번째는 커리어를 탄탄히 쌓아서 자신의 몸값을 올리는 것. 두 번째는 좋은 자산에 투자해서 수익률을 올리는 것이다. 즉, 인플레이션 여파로 투자 시장에 먹구름이 가득하지만, 그럼에도 투자는 중요하다.

“현금 비중을 늘려라”
'인플레이션 시대 투자 방법'이라는 주제의 콘텐츠를 보면 자주 나오는 말이 "현금 비중을 늘려라!"다. 위험 자산을 일정 부분 처분하고 안전 자산인 현금을 보유하라는 조언이다. 실제로 최근 거대한 돈이 몰리는 곳이 있다. 바로 은행이다. 주식 투자로 쓴맛을 본 투자자들이 '역시 개미는 주식으로 돈 못 버나'라며 좌절하고 손절을 친 후 남은 돈을 은행에 맡기는 것이다. 은행에서 예적금 금리를 조금이나마 더 주는 특판상품을 내놓으면 몇분 만에 완판될 정도다. 현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이다. 원금을 잃을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 비록 예적금 금리가 낮다고 하더라도 어쨌든 내 돈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

그래서 '현금 비중을 늘려라'라는 조언에는 당연히 귀를 기울이는 게 좋다. 그런데, 이 조언을 자세하게 뜯어봐야 한다. 어디까지나 현금의 '비중'을 늘리라는 조언이다. 모든 금융 자산을 현금으로 바꾸라는 말이 아니다.

현금은 안전하기만 할까?
unsplash
인플레이션 시기에 현금 비중을 어느 정도 확보하는 건 좋은 전략이지만, 오직 현금만 들고 있는 건 다른 문제다. 오히려 꽤나 위험한 포지션이다. 인플레이션을 다른 말로 설명하면 '현금의 가치가 하락하는 시대'다. 잘 생각해보자. 냉면 한 그릇이 9000원에서 1만3000원이 됐다고 해서 냉면에 고명이 더 올라가는 것도 아니다. 냉면은 그냥 냉면이다. 가격만 올랐을 뿐이다. 이게 뭘 의미하는가. 냉면의 가치가 올라간 게 아니라, 현금의 가치가 떨어진 것이다.

전문가들이 "현금 비중을 늘릴 때다"라고 말하는 것 역시 영원히 현금을 보유하라는 뜻이 아니다. 현금은 일종의 총알이다. 타이밍이 오면 우린 총을 쏴야 한다. 적절한 기회가 왔을 때, 현금을 활용해 좋은 자산을 값싼 가격에 담아야 한다. 그래서 현금 비중을 늘리는 목적도 궁극적으론 투자하기 위해서다.

현금은 그 자체로 하향 곡선을 그리는 자산이다. 때론 현금의 가치가 치솟을 때도 있지만, 자본주의 특성상 시간이 지날수록 현금의 가치는 무조건 내리막길이다. 20년 전에 1억 원으로 할 수 있었던 일 상당수는 지금 같은 돈으로 절대 할 수 없다.

인플레이션에 강한 기업들
unsplash
그렇다면 인플레이션 시대에 어떤 투자를 해야 할까. 길게 본다면 결국 성장하는 기업의 주식을 사는 것이 맞다. 이건 인플레이션과 상관없는 주식 투자의 원칙이다. 하지만, 지금 당장 전쟁통과 같은 금융시장에서 잠시나마 피난처가 될만한 자산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바로 '가격 전가력'이 있는 기업들이다.

물가가 오르면 개인도 힘들지만, 기업도 힘들다. 제품을 생산할 때 들어가는 비용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 늘어난 비용을 그대로 제품값에 반영하면 고객을 잃을 수도 있다. 하지만 어떤 기업은 다르다. 인플레이션 때문에 늘어난 비용을 제품 가격에 수월하게 반영할 수 있는 기업이 있다. 독점적인 기업, 브랜드 가치가 압도적인 기업, 시장 지배력을 갖춘 B2B 기업은 손쉽게 비용을 외부에 전가할 수 있다. 고객 눈치를 보지 않고 가격을 올릴 수 있다는 건 엄청난 강점이다. 이런 기업을 눈여겨보고 기회가 오면 우리는 아껴둔 총알을 사용해야 한다.

.

Copyright © 엘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