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 일제 잔재 화정동 인공동굴 역사체험장으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이 일제강점기 유류고로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인공 동굴 3개소를 재정비해 26일 시민에게 공개한다.
19일 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에 따르면 이 인공 동굴은 일제가 항복하기 이전에 광주비행장(현 치평동)의 부속시설로 만든 것으로, 각각 길이 55m, 82m, 64m, 반경 4m에 이른다.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은 지난 2020년부터 동굴 입구에 일제강점기 잔재 표지판을 설치하는 것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정비에 나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이 일제강점기 유류고로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인공 동굴 3개소를 재정비해 26일 시민에게 공개한다.
19일 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에 따르면 이 인공 동굴은 일제가 항복하기 이전에 광주비행장(현 치평동)의 부속시설로 만든 것으로, 각각 길이 55m, 82m, 64m, 반경 4m에 이른다.
광복 이후 수십 년 동안 방치돼 오다 2014년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이 현 위치로 이전해 오면서 일제 잔재 청산 움직임과 함께 재조명돼 그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다.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은 지난 2020년부터 동굴 입구에 일제강점기 잔재 표지판을 설치하는 것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정비에 나섰다.
유적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동굴 콘크리트 주변 정비 작업을 마쳤고 관람로에 데크를 깔아 접근성을 높였다.
특히 동굴3에는 조명과 안전 장비를 설치해 관람자가 직접 내부까지 관람할 수 있도록 했다.
내부에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되는 동굴의 자세한 역사와 강제동원에 대한 자료 사진을 전시해 광주 지역의 일제강점기 실상에 대해 널리 알릴 예정이다.
한편 동굴 외부는 자유롭게 관람이 가능하며, 내부 관람(단체)은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 선양과로 사전 예약 후 관람 가능하다.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 선양과 이승미 과장은 "이번 일제 군사시설 재정비 사업으로 기념회관은 일제 만행과 민족의 수탈을 알리는 역사 교육·체험 공간으로 계속해서 거듭나고자 한다"고 밝혔다.
(끝)
출처 : 광주광역시교육청 보도자료
Copyright© 연합뉴스 보도자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예산안 법정시한 또 어긴 여야, 이번엔 '쌍특검·국조' 대치 | 연합뉴스
- 하마스 "전면 휴전 안 하면 이스라엘 인질 석방도 없다" | 연합뉴스
- 카드사용 증가분 한시 특별공제…월세 세액공제 750만→1천만원 | 연합뉴스
- 초등학교도 저출산 직격탄…내년 초1 사상처음 40만명 무너질 듯 | 연합뉴스
- 내수부진 '확산일로'…서비스 생산 0%대 증가, 32개월 만에 최저 | 연합뉴스
- 역대 최대 나토 사이버훈련에 한국 첫참여…"내년에도 기대" | 연합뉴스
- 독일 뮌헨 공항 폭설에 마비…"한국인 수십명도 발동동"(종합) | 연합뉴스
- 일요일 아침도 추워요…낮 최고 4∼12도 | 연합뉴스
- 尹, 자승스님 분향소 찾아 조문…"큰 스님 오래 기억하겠다" | 연합뉴스
- 與 지도부, 혁신위 배수진에 '마이웨이'…총선 채비 잰걸음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