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지경 코인 시장..루나 권도형 조롱 '도권토큰'도 출시

나성원 2022. 5. 17. 00: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산 가상화폐 테라USD와 루나의 폭락 사태로 많은 피해자가 발생한 상황에서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를 조롱하는 '밈 코인'의 일종 '도권토큰' 발행 계획이 공개됐다.

도권토큰 개발자 측은 해당 코인에 가치가 있다고 홍보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밈 프로젝트'라는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권닷넷에 토큰 발행 계획 공개돼
개발자 측 "권도형 조롱하기 위한 프로젝트"
"토큰 발행량 중 10% 루나 피해자에게 무상 지급"
도권닷넷 홈페이지 캡처


한국산 가상화폐 테라USD와 루나의 폭락 사태로 많은 피해자가 발생한 상황에서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를 조롱하는 ‘밈 코인’의 일종 ‘도권토큰’ 발행 계획이 공개됐다.

‘도권(Do Kwon)’은 테라와 루나를 개발한 권 대표가 트위터에서 사용했던 아이디다.

16일 ‘도권토큰’ 개발자 측은 ‘도권닷넷’ 홈페이지를 통해 도권토큰 발행 계획을 공개했다.

도권닷넷 측은 ‘도권’에 욕설을 붙인 홈페이지 메뉴와 함께 해당 토큰이 ‘밈 프로젝트’라고 밝혔다. ‘밈’은 온라인 공간에서 유행해서 널리 퍼지는 패러디 사진이나 짧은 영상 등을 뜻한다.

해외 주식시장에서도 ‘밈 주식’이라는 용어가 종종 쓰이는데 온라인에서 입소문을 통해 화제가 된 주식을 의미한다.

가상화폐 시장에서 ‘밈 코인’은 온라인에서 화제가 된 콘텐츠 등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코인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도권토큰 개발자 측은 도권토큰을 발행한 배경에 대해 “권 대표가 계획적인 사기를 저질렀다”고 지적하면서 “이 프로젝트를 크게 만들어 루나 사태 피해자들에게 보상을 해주고 싶다”고 밝혔다.

도권토큰 발행량 중 10%를 루나 투자자를 위해 에어드롭(무상 지급)하겠다는 계획도 백서를 통해 밝혔다.

개발자 측은 “많은 가상화폐 거래소들이 우리 프로젝트를 지원해주길 바란다”며 “이 프로젝트의 좋은 취지를 이해하고 지원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또 “루나 때문에 가상화폐 시장에 대한 신뢰가 떨어졌다. 시장에 루나처럼 나쁜 프로젝트만 있는 게 아니라 사람들을 돕는 프로젝트가 있다는 것을 알리고 싶다”고 덧붙였다.

개발자 측은 향후 권 대표가 등장하는 게임도 출시하고 ‘도권 밈 콘테스트’도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도권토큰 개발자 측은 해당 코인에 가치가 있다고 홍보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밈 프로젝트’라는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다만 가상화폐 투자자들은 개발자 측이 제시한 도권토큰의 발행 배경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도권토큰 발행 소식에 “루나 이슈로 한 탕 해먹겠다는 것 아니냐” “루나 살리는 척 액션이라도 보여야 코인 하나라도 사겠다” 등의 반응이 나왔다.

대표적인 ‘밈 코인’으로는 시바견을 마스코트로 내세운 ‘도지코인’이 꼽힌다. 도지코인 개발자는 해당 코인을 “재미를 위해 만들었다”고 밝힌 바 있다.

밈 코인은 실제 투자 가치보다는 화제성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코인이 어떻게 사용될 것인지 파악하기도 어렵고 가격이 급등락하는 일이 잦아 전문가들은 투자에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밈 코인을 둘러싸고 사실상 사기에 가까운 사건도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도지코인을 패러디했던 ‘진도지코인’의 경우 지난해 5월 개발자가 유통 물량의 15%를 내다 팔면서 가격이 최고가 대비 97% 폭락했다. 개발자 측이 챙긴 이익은 약 20억~3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을 패러디한 ‘스퀴드 코인’도 발행된 바 있다. 많은 투자자들이 단지 오징어 게임이 인기를 끌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코인에 투자했다. 하지만 해당 코인은 실제 오징어 게임 및 넷플릭스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

스퀴드게임 코인도 0.01달러로 시장에 나와 최고가 2861달러까지 올랐었지만 순식간에 0달러에 가깝게 폭락했다. 가상화폐 개발자들이 코인을 현금화하면서 가격이 폭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