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00억 즉석밥 시장 잡아라"..하림, 더미식 밥 11종 출시

안민구 2022. 5. 16. 14:4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16일 서울 강남구 SJ쿤스트할레에서 열린 '하림 더미식 밥' 11종 신제품 출시 기자간담회에 앞서 제품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종합식품기업 하림이 4300억원 시장 규모의 즉석밥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하림은 16일 서울 강남구 SJ쿤스트할레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현미밥과 흑미밥 등 11종의 '더(The)미식 밥' 신제품을 출시했다.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자연의 신선한 재료로 최고의 식품을 만든다는 것이 철학"이라며 "어머니의 집밥처럼 좋은 쌀과 맑은 물로만 밥을 짓는다"고 강조했다.

더미식 밥은 다른 첨가물 없이 100% 국내산 쌀과 물로만 지어 밥 본연의 풍미를 살린 것이 특징이다. 집에서 밥을 지을 때 어떤 첨가물도 넣지 않은 '첨가물 제로'를 구현했다는 게 하림의 설명이다.

허준 하림산업 대표는 "기존 시중에 나와 있는 즉석밥은 뜨거운 열기 때문에 밥알이 필름에 눌려서 수축한 상태”라며 “더미식 밥은 천천히 온수를 분사해 뜸을 들이는 시간을 길게 줘서 밥알 위에 공기층을 형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른 시중 제품은 100% 쌀로만 구성돼있지 않고, 첨가물과 기타 물질이 들어간다”며 “집에서 지은 밥처럼 100% 쌀과 물로만 지어서 산성이나 알칼리성 정도를 나타내는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하면 집에서 지은 밥과 같은 중성(pH 7)이 나온다”고 덧붙였다.

16일 서울 강남구 SJ쿤스트할레에서 열린 '하림 더미식 밥' 11종 신제품 출시 기자간담회에 앞서 관계자들이 제품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미식 밥은 백미밥을 필두로 소비자들의 다양해진 식습관과 취향에 맞춰 귀리쌀밥, 현미밥, 흑미밥, 오곡밥 등 총 11종 라인업을 갖췄다. 아기 젖병으로 쓰는 PP재질의 친환경 사각형 용기에 210g 1인분이 기본 포장 단위이며, 밥 종류에 따라 180g, 300g도 있다.

가격은 종류에 따라 2300~2800원 선이다. 경쟁사 제품인 CJ 햇반(1850~2380원), 오뚜기밥(1380~1480원)에 비해 다소 비싼 편이다.

이에 대해 허준 대표는 "첨가물을 넣지 않고 제조공정과 설비도 차별화해 기본 가격이 2000원가량으로 책정됐다"며 "지난해 경쟁사가 즉석밥 가격을 올린 만큼 가격 면에서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하림의 진출로 국내 즉석밥 경쟁은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현재 즉석밥 시장의 투톱은 CJ제일제당과 오뚜기로 각각 66.9%, 30.7%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전체 시장 규모는 지난해 4349억원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3928억원 대비 11%가량 성장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