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경제 위협".. 中, 봉쇄로 인한 경기 침체 공식 인정

권지혜 2022. 5. 13. 04: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정부가 베이징, 상하이 등 주요 도시에서 확산한 코로나19 때문에 큰 경제 하방을 받고 있다고 공식 인정했다.

중국 정부가 경제 위협 요인으로 코로나19를 명시적으로 언급한 건 이례적인 일이다.

중국의 유명한 경제학자인 쉬젠궈 베이징대 국가발전연구원 교수는 최근 열린 온라인 세미나에서 올해 코로나19 확산으로 경제 활동에 차질을 빚은 인구가 1억6000만명, 경제 피해액은 18조 위안(3400조원)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리커창, 상무위서 이례적 언급
중국 베이징의 한 코로나19 검사소에서 어린아이가 눈을 질끈 감은 채 검사를 받고 있다. 베이징에선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면서 사실상 봉쇄식 관리가 이뤄지는 관리통제구역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AP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베이징, 상하이 등 주요 도시에서 확산한 코로나19 때문에 큰 경제 하방을 받고 있다고 공식 인정했다. 고강도 봉쇄에 따른 경기 침체가 심화되면서 시진핑 국가주석 주도로 시행된 방역 정책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2일 인민일보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은 전날 리커창 총리 주재로 열린 상무위원회 회의에서 “새로운 전염병 발생 상황과 예상을 벗어난 국제 정세 변화의 영향으로 4월 경제 하방 압력이 더욱 커졌다”고 밝혔다. 이어 “공산당 중앙과 국무원 임무 배치를 관철하고 신념을 확고히 하며 어려움과 도전을 직시해 경제 전반을 안정시켜 제20차 당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고용 안정, 물가 안정, 투자 활성화를 재정·통화 정책의 방향으로 제시했다.

앞서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도 지난달 29일 시진핑 국가주석 주재로 열린 경제 회의에서 “코로나19 발생 상황과 우크라이나 위기가 더해져 우리 경제 발전 환경의 복잡성, 심각성,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가 경제 위협 요인으로 코로나19를 명시적으로 언급한 건 이례적인 일이다. 그동안 중국 당국은 국내외 환경에서 변화가 나타나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는 식으로 표현했다. 중국 관영 매체는 국제 정세 변화와 코로나19 팬데믹이 중첩된 복잡한 국면에서도 당 중앙이 방역과 경제 사회 발전을 통합 조정하고 있다며 오히려 성과를 부각하는 데 치중했다.

그러나 경제 활동이 중단된 데 따른 피해는 각종 수치로 드러나고 있다. 중국의 4월 수출 증가율은 3.9%로 2020년 6월 이후 가장 낮았다. 경기 전망을 보여주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같은 달 47.4로 26개월 만에 최저치를 찍었다. 50일 가까이 계속되고 있는 상하이 봉쇄 충격은 다음 주 발표될 4월 산업생산, 소매판매, 실업률 등 주요 지표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유명한 경제학자인 쉬젠궈 베이징대 국가발전연구원 교수는 최근 열린 온라인 세미나에서 올해 코로나19 확산으로 경제 활동에 차질을 빚은 인구가 1억6000만명, 경제 피해액은 18조 위안(3400조원)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그는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이 우한에서 코로나19가 확산했던 2020년의 2.3%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정부는 올해 성장률 목표치로 5.5% 안팎을 제시한 상태다.

이렇듯 ‘제로 코로나’를 위한 봉쇄 조치가 중국 경제를 망치고 있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시 주석 집권 내내 존재감이 없었던 리 총리의 입지가 강화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정부 전현직 관리들을 인용해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리 총리가 일부 조치들이 완화되도록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중국 정부는 부동산 시장 규제 완화, 거대 정보기술기업(빅테크) 산업 발전 촉진 등을 발표했는데, 여기에 리 총리의 입김이 반영됐다는 것이다. 올해 임기가 끝나는 리 총리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후임 총리 인선에도 목소리를 낼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