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20위 주식부자 지분가치 19조 증발..김대일·장병규·방시혁 '주가 반토막에 폭삭'

이선애 2022. 5. 12. 10: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국내 주식 부자들의 주식 재산이 대폭 줄었다.

상위 20위의 주식 부자 대다수 지분 평가액이 급감했다.

12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개인의 국내 상장사 보유 주식 상위 20위까지의 지분 평가액은 10일 기준 72조884억원으로 올해 주식 첫 개장일인 1월3일 91조3977억원과 비교하면 19조3093억원 급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선애 기자] 올해 국내 주식 부자들의 주식 재산이 대폭 줄었다. 상위 20위의 주식 부자 대다수 지분 평가액이 급감했다. 올해 초와 비교하면 19조원이 넘게 증발했다. 김대일 펄어비스 의장, 장병규 크래프톤 의장, 방시혁 하이브 의장의 지분 평가액 감소율이 가장 높았다.

12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개인의 국내 상장사 보유 주식 상위 20위까지의 지분 평가액은 10일 기준 72조884억원으로 올해 주식 첫 개장일인 1월3일 91조3977억원과 비교하면 19조3093억원 급감했다.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같은 기간 각각 13.12%, 17.5% 하락한 것을 감안하면 이들 주식 부자들의 지분 감소세(21.12%)가 더 가팔랐다.

상위 20위까지 단 2명을 제외하고 모두 지분가치가 감소했다. 정몽준 아산사회복지재단 이사장이 보유한 HD현대의 지분 평가액이 1조1262억원에서 1조2417억원으로 10.26% 증가했다.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의 지분 평가액도 0.71% 소폭 늘었다.

게임과 엔터 쪽 신흥 부자들의 재산이 특히 많이 쪼그라들었다. 김대일 의장의 펄어비스 지분 평가액은 3조1560억원에서 1조4414억원으로 54.33% 급감했다. 이어 장병규 의장의 크래프톤 지분 평가액도 3조2328억원에서 1조7477억원으로 45.94%의 감소율을 보였다. 방시혁 의장의 하이브 지분 평가액은 4조6095억원에서 3조31억원으로 34.24% 감소했다.

크래프톤, 펄어비스, 하이브의 주가가 반토막이 나면서 급감한 데 따른 것이다. 1월3일 46만원을 기록했던 크래프톤 주가는 10일 24만5000원으로 46.73% 급감했다. 펄어비스와 하이브 주가 감소율도 각각 54.32%, 34.23%에 달했다. 크래프톤과 펄어비스는 부진한 실적이 주가 발목을 잡았다. 신작 성과 부진과 새로운 신작 부재 등으로 투자 심리가 급격하게 얼어붙으며 주가가 연일 하락세를 그렸다. 하이브도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이유로 실적 부진의 영향을 받았다.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와 김범수 카카오 미래 이니셔티브 센터장의 지분 평가액도 네이버와 카카오의 주가 급락 영향을 받아 각각 27%, 26.6% 감소했다. 국내 대표 성장주인 네이버와 카카오 주가는 1년 새 반토막이 났다. 시장 기대치에 못 미치는 실적과 성장성에 의구심이 나오면서 주가가 추락했다. 특히 카카오는 5년 만에 마이너스 실적을 기록했다. 2017년 1분기부터 19분기 연속 성장세를 이어오다 처음으로 전 분기보다 매출이 급감했다. 네이버도 ‘어닝 쇼크(예상 밖의 부진한 실적)’ 수준의 실적을 내놔 실망을 안겼다. 양사 모두 인건비 상승과 우크라이나 사태, 미국발 금리 인상 같은 국내외 악재 영향을 크게 받았다.

한편 주식 부자 1, 2, 3, 4위에 각각 오른 삼성가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의 지분 평가액 감소율은 각각 10.85%, 28.10%, 14.77%, 16.15%에 달했다.

이선애 기자 lsa@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