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온의 소리] 지휘자 토스카니니가 남긴 것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음악회에서 오케스트라 단원들은 미리 무대에 나와 앉아 조율을 마치고 있다가 지휘자가 등장하면 전원 일어서서 그 권위에 경의를 표한다.
다른 지휘자를 허용하지 않고 오직 토스카니니의 지휘만을 받았던 이 오케스트라는 1954년 그가 은퇴하면서 녹음과 연주를 중단했다.
1957년 토스카니니가 별세하자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단원들은 1년 동안 지휘자 없이 그를 추모하는 추모음악회만 하다가 자진 해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음악회에서 오케스트라 단원들은 미리 무대에 나와 앉아 조율을 마치고 있다가 지휘자가 등장하면 전원 일어서서 그 권위에 경의를 표한다. 연주가 시작되면 단원들은 지휘자의 지시에 따라 연주를 시작하고 끝맺는다. 지휘자가 의도하는 대로 강약을 조절하고 템포를 맞춘다. 음악이 끝나고 지휘자가 일어서라는 사인을 하면 단원들은 모두 일어난다. 단원 중 누구를 지명하여 세우고 인사를 하라 하면 그 사람은 인사를 한다. 오케스트라 단원들은 누구의 말도 듣지 않고 오직 지휘자의 말에 복종한다.
지휘자 중에 최고라는 찬사를 받는 이탈리아 출신의 아르투로 토스카니니(Arturo Toscanini, 1867~1957)는 1930년대 무솔리니의 파시즘이 정권을 잡자 고난을 겪었다. 그는 결국 미국으로 망명했고 미국인들의 열렬한 환영 속에 음악 활동을 계속할 수 있었다.
토스카니니는 성격이 괴팍하여 단원들이 연습을 게을리하거나 틀린 음을 낼 때는 가차 없이 불호령이 떨어졌다. 그의 음악에 대한 열정은 대단했다. 모든 곡을 외워서 암보로 지휘했다. 그의 음악가로서의 권위와 열정에 감동을 받은 연주자들이 모여들어 1937년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조직됐다. 이 NBC는 각 악기군에 최고의 연주자만 모인 오케스트라였고 연주 또한 최고였다.
다른 지휘자를 허용하지 않고 오직 토스카니니의 지휘만을 받았던 이 오케스트라는 1954년 그가 은퇴하면서 녹음과 연주를 중단했다. 1957년 토스카니니가 별세하자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단원들은 1년 동안 지휘자 없이 그를 추모하는 추모음악회만 하다가 자진 해산했다. 그들에게 다른 지휘자는 의미가 없었다. 오로지 토스카니니의 지휘만을 받았고 그와 함께 음악을 하고 싶어 했던 단원들의 마음에 토스카니니는 유일하고 영원한 지휘자였다.
오늘날 한국교회는 침체와 혼란과 갈등의 삼중고를 겪고 있으나 토스카니니 같은 지도자가 없다는 데 문제가 있다. 이 시대는 정치적으로 그 옛날 길선주나 이승만의 정신을 잇겠다는 기독교 지도자들이 많이 있다. 사회적 민족적 문제에 대하여 이승훈과 안창호를 계승한다고 하는 기독교 인물들이 얼마든지 있다. 교회 부흥을 이끌었던 김익두 이성봉 최권능 목사의 후계자를 자처하는 부흥사도 넘쳐난다. 학문적인 업적을 자랑하는 내로라하는 신학자가 셀 수 없이 많다.
그러나 교회는 또 다른 면에서 인물을 원하고 있다. 바로 교회의 목소리를 하나로 모으고 대사회적으로 존경받는 덕장(德長)으로서의 교계 어른이 필요하다. 옛날 한경직 목사가 그리워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완벽하지는 않았으나, 그의 말 한마디에 교회는 하나 될 줄 알았고, 그의 존재감 하나만으로도 외부의 세력이 감히 기독교를 홀대하지 못하였다. 오늘날 한국교회의 고민은 길선주 이자익 한경직으로 이어졌던 교계 어른으로서의 자리를 이어받을 만한 인물이 보이지 않는다는 데 있다.
한국교회에 목회자다운 목회자가 누구인가. 총회나 노회의 정치판에서 옷깃을 여밀 만큼 진심으로 존경받는 인물이 있나. 신앙과 삶의 모습에서 만인이 우러러보고 흠모할 만한 기독교인의 표상은 누구인가. 한 인간으로서 그리고 신앙인으로서 닮고 싶은 어른이 보이는가.
우리 시대의 교회는 이에 대한 답을 가지고 있지 못한 채 혼란과 분쟁의 소용돌이 속에 있다. 마치 오케스트라에서 악기마다 뛰어난 연주자는 많은데, 이를 모아 하나의 하모니로 조화시킬 수 있는 명(名)지휘자가 없는 것 같은 현상이다. 한국교회라는 교향악단을 이끌 존경받고 소신 있는 토스카니니 같은 상임 지휘자의 출현을 간절히 소망한다.
문성모(강남제일교회 목사)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 교회 전성기는 평양 대부흥이 아니다?
- “주를 따라갑니까, 돈을 따라갑니까?” 한 목사의 질문
- “방주가 머물렀던 아나톨리아는 모든 인류의 고향”
- 신촌 거리 물들인 메시지 ‘우리 모두 태아 때부터 소중했어요’
- ‘복음 전하는 택시’가 달린다
- “촉각으로 아들 키 재시던 어머니 천국에서 만나면 눈으로 보시겠죠”
- 다시 열린 ‘행복한 아이세상’ 송내사랑의교회 현장
- ‘팬데믹 2년’ 개척교회 사역 중인가요? 59%는 답이 없었다
- 셀린 송 감독 “‘기생충’ 덕분에 한국적 영화 전세계에 받아들여져”
- “태아 살리는 일은 모두의 몫, 생명 존중 문화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