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사회 실태 설문조사 해보니..사회 단절 '심각' 60% '외롭다' 30%

반진욱 2022. 1. 26. 22:0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독감도 질병..'정신적 치료 필요' 59%

664만3000가구.

2020년 기준 전국 ‘1인 가구’ 수다. 전체 가구 비중의 31.7%에 달한다. 혼자 사는 가구 비중이 급증하면서 ‘고립 사회’ 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청년층은 정서적 교류 부족으로 인한 외로움·고독함 등 정신적 고통을 호소한다. 장·노년층은 몸이 아파도 돌봐줄 사람이 없어 병이 악화되기 일쑤다.

고립된 사람들의 쓸쓸한 죽음 ‘고독사’는 이미 사회의 중요한 화두로 떠오른 지 오래다.

고독이 일반화된 시대, 국민들이 생각하는 ‘고립 사회’의 원인과 해결책은 무엇일까. 매경이코노미는 블록체인 기반 설문조사 앱 ‘더폴’에 의뢰, 1월 18일과 19일 2일간 ‘한국 사회의 고립화 실태’에 대해 의견을 물었다. 총 2만6341명이 응답했다.

우선 평소 외로움(고독함)을 얼마나 느끼는지 물었다. 29.2%가 ‘느낀다’고 답했다. 이 중 9.9%는 ‘매우 자주 느낀다’고 했다. 국민 10명 중 1명은 ‘심각한 외로움’에 시달리는 셈이다.

세대별로는 청년세대와 노년세대의 ‘고독함’ 비율이 높았다. 중·장년층에 비해 홀로 사는 1인 가구 비율이 높은 탓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0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20대(20.2%)와 70세 이상(18.1%)이 1인 가구 비중의 40%를 차지했다. 설문 결과 20대 청년 31.8%가 외로움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이어 30대(29.9%), 60대 이상(29.6%) 순이다. 다음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단절·분화 현상을 얼마나 심각하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63.5%가 ‘심각하다’며 우려했다. 심각하지 않다는 응답은 10% 수준에 그쳤다. 사회 전체적으로 ‘고립 사회’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데 동의했다.

‘단절이 심화되는 요인’은 세대별로 의견이 갈린다. 2030세대는 ‘갈등’을, 4050세대는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을 원인으로 뽑았다. 20대와 30대는 사회 문제로 격화되고 있는 ‘남녀 갈등’이 고립의 단초를 제공한다고 내다봤다. 20대 설문 참여자 중 17%, 30대 참여자 중 14.2%가 ‘남녀 갈등’이 문제라고 지목했다. 세대 갈등이 단절의 요인이라고 답한 숫자도 상당하다. 타인과의 갈등으로 인한 대화의 단절이 고립으로 이어진다고 바라보는 이가 많았다. 실제 2030세대는 ‘이대남’ ‘이대녀’ 등으로 불리며 갈등의 중심에 서 있는 세대다.

반면 40대와 50대는 ‘스마트폰 사용’이 문제라고 꼬집었다. 40대 15.1%, 50대 16.1%가 ‘스마트폰 과몰입에 따른 대화 단절’이 고립 사회를 심화시킨다고 응답했다.

노년층 의견은 다소 다르다. 60대 이상 응답자의 15.7%가 코로나19 유행 이후 시행된 사회적 거리두기가 단절을 일으켰다고 생각한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사적 모임이 금지되고 돌봄 체제가 무너지면서 고독감을 느낀 고령층이 부쩍 늘어난 영향으로 보인다.

▶외로움도 질병으로 인정해야

▷필요한 정책은 1인 가구 지원

외로움이나 고독감도 질병일까. 단순한 감정을 넘어 정신적 치료가 필요하다고 보는 인식이 대부분이다. 절반이 넘는 59%가 ‘심하면 의학적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다’라고 생각한다. 20대(52.2%)와 30대(58.4%)보다는 40대(61.5%)와 50대(65.5%)가 심각하다고 보는 비율이 높다.

외로움이 사회적 질병으로서의 위협이 큰 만큼 정부 차원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과반수인 53%가 ‘개인의 외로움 해소를 위한 정부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다만, 정치권 한쪽에서 제기되는 ‘고독처(Ministry for Loneliness)’ 등 부처를 만드는 것보다는 ‘1인 가구 맞춤형 지원’ ‘복지 체계 개편’ 등 현재 제도를 활용한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다.

현재 정치권에서는 영국과 일본처럼 외로움을 전담하는 부서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김동연 새로운물결 대선 후보는 사회적 고독 문제를 해결할 ‘고독처’를 만들자고 제안한 바 있다.

김 후보는 “급속한 노령화에 따라 고독사는 앞으로 더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될 것이 자명하다. 사회적 고독을 공동체가 함께 풀어야 할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며 “범부처 차원에서 종합적 대응을 위해 전담 부서를 만들겠다는 것을 공약에 포함시키겠다. 고독부 장관을 둔 영국과 일본의 사례가 대표적인 예”라고 설명했다.

응답자 다수는 전담 부처 신설보다는 현행 제도 개편을 원한다. ‘고독처 등 주무 부처 신설’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5%에 그친다. 대신 점차 늘어나는 1인 가구에 맞춤형 지원(26%)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과 고독사 방지를 위한 복지 체계 개편(25%)이 시급하다고 보는 이가 많다. 이어 외로움을 질병으로 인정하고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17.5%)는 주장도 뒤따른다.

세대별로는 응답에서 미묘한 차이를 보였다. 가정에서 독립한 뒤 홀로 사는 가구가 많은 2030 청년세대는 ‘1인 가구 맞춤형 지원책’을 최우선 정책으로 뽑았다.

20대의 27.8%, 30대의 27.1%가 1인 가구를 위한 정책 도입이 필수라고 응답했다. 반면 장년층부터는 ‘고독사 방지를 위한 복지 체계 개편’이 우선이라고 생각한다. 40대(26.5%), 50대(26.6%), 60대 이상(26.1%) 응답자가 ‘고독사 방지책’이 급선무라는 의견을 피력했다.

[반진욱 기자]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2144호·설합본호 (2022.01.26~2022.02.08일자)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