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방역 탓 주중 외교관 출국 검토"..中 "올림픽 방해 공작"

권지혜 2022. 1. 26. 17: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이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을 코앞에 둔 시점에 중국 당국의 고강도 방역 조치를 이유로 주중 대사관 직원의 출국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미국의 목적은 공황 상태를 조성하고 중국의 코로나19 방역 업적을 폄하하며 올림픽 개최를 방해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중 미 대사관, 본국에 출국 허용 요청
고강도 방역에 따른 불만 이유
"시진핑, 中방문 푸틴에 깜짝 선물 준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5일 베이징 조어대 국빈관에서 토마스 바흐(왼쪽)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과 면담하기 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미국이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을 코앞에 둔 시점에 중국 당국의 고강도 방역 조치를 이유로 주중 대사관 직원의 출국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외교부는 “미국의 정책 결정 논리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중국 관영 매체는 “올림픽을 방해하는 더러운 술수”라고 반발했다.

26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 국무부는 중국 정부의 강력한 코로나19 통제 조치 때문에 중국을 떠나고 싶어하는 자국 외교관과 그 가족에게 출국을 허용하는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 주중 미 대사관이 전날 본국에 외교관 출국을 허용해 달라고 공식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 주중 미 대사관이 자체 조사한 결과 직원 중 약 25%가 최대한 빨리 중국을 떠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고 한다. 중국 정부의 강제 격리 조치로 가족과 떨어져 지내야 할 수 있다는 점이 불만으로 거론됐다.

미 대사관 직원 중 일부는 정부가 중국을 상대로 외교관에 대한 격리 면제 조치를 얻어낼 의지조차 보이고 있지 않은 데 화가 나 있다고 전해졌다. 미 정부는 2020년 1월 후베이성 우한에서 코로나19가 급격히 확산하자 영사관을 폐쇄하고 외교관과 가족 1300여명을 자국으로 대피시킨 적이 있다.

중국 베이징 펑타이구 주민들이 26일 아파트 단지 외곽에 마련된 코로나19 검사소에 줄지어 서 있다. 펑타이구는 전체 주민에 대해 코로나19 3차 검사를 실시했다. AP연합뉴스

중국은 ‘제로 코로나’ 원칙에 따라 강력한 방역 조치를 취하고 있다. 해외에서 입국하는 사람들은 백신 접종 여부와 관계없이 3주간 정해진 시설에서 격리해야 한다. 지방에 따라 격리 기간이 한 달이 넘는 곳도 있다. 확진자가 한 명이라도 나온 지역은 주거 단지가 전면 봉쇄된다. 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방역 수위는 더 높아졌다. 지난 15일 베이징에서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가 나온 이후 곳곳에서 주민 전체를 대상으로 핵산 검사가 진행되고 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현재 의심할 바 없이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국가”라며 “가장 안전한 곳에서 철수할 경우 미국 측 인원의 감염 위험만 커진다”고 말했다. 또 “중국의 방역 조치는 영사·외교에 관한 빈 협약에 부합한다”며 “미국에 엄중한 우려와 불만을 표했다”고 덧붙였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미국의 목적은 공황 상태를 조성하고 중국의 코로나19 방역 업적을 폄하하며 올림픽 개최를 방해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7200만명이 넘고 90만명 가까이 사망했다는 통계 자료를 언급하며 방역 실패를 부각했다. 리하이둥 중국외교학원 교수는 이 매체에 “미국의 눈에는 올림픽이 중요한 스포츠 행사가 아니고 중국의 방역 작업은 정상국가의 일상적 통치가 아닌 것”이라며 “외교적 보이콧에 이은 또 하나의 술수”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은 러시아와 더욱 밀착하고 있다. 안드레이 데니소프 주중 러시아 대사는 전날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베이징 올림픽 참석을 재확인하며 “시진핑 국가주석이 푸틴 대통령을 위해 깜짝 선물을 준비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데니소프 대사는 깜짝 선물이 무엇인지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양국이 에너지 교역과 우주 탐사에서 긴밀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문제를 놓고 미국과 벌인 협상 내용을 중국에 계속 전달하고 있다고 밝혔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