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재철 금투협회장 "韓 '연금부자' 여건 조성..국민 자산증식 위해 노력할 것"

지수희 2022. 1. 26. 11: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나재철 금투협회장이 2022년 신년기자간담회를 통해 "자본시장이 국민 자산 증식의 터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나 회장은 26일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DC형과 IRP형 퇴직연금에 디폴트옵션이 도입됨으로써 퇴직연금 투자 시대가 개막될 예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나 회장은 "이제는 부러워만 할 일이 아니다"라며 "여건이 조성된 만큼 금융투자 업계도 연금 선진국을 벤치마킹해 퇴직연금 수익률 향상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지수희 기자]

나재철 금투협회장이 2022년 신년기자간담회를 통해 "자본시장이 국민 자산 증식의 터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나 회장은 26일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DC형과 IRP형 퇴직연금에 디폴트옵션이 도입됨으로써 퇴직연금 투자 시대가 개막될 예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디폴트옵션은 퇴직연금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가입자가 예금 등 원리금보장형 상품에 적립금을 방치할 경우 사전에 지정한 방법으로 사업자가 퇴직연금을 운용하는 제도로 지난해 12월 '가입자퇴직급여 보장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올해 6월부터 도입될 예정이다.

이에 대해 나 회장은 "체계적인 금융교육을 받지 못한데다 생업에 바빠 퇴직연금에 신경쓰지 못했던 가입자들도 이제 디폴트옵션을 통해 장기 분산 투자를 할 수 있게 됐다"며 "연금 부자가 탄생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됐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일찍 디폴트옵션이 도입된 미국에서는 온라인커뮤니티에 우리나라의 DC형 퇴직연금에 해당하는 401K계좌에 100만 달러 이상을 확보한 것을 자랑하는 글과 인증사진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나 회장은 "이제는 부러워만 할 일이 아니다"라며 "여건이 조성된 만큼 금융투자 업계도 연금 선진국을 벤치마킹해 퇴직연금 수익률 향상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금투협은 또 올해 '투자형ISA'제도 활성화를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특히 나 회장은 '주니어ISA'가 도입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ISA(Individual Savings Account)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로 2016년 은행권에서 판매하는 신탁형과 일임형 ISA가 도입됐고, 지난해 제도개편으로 국내 상장주식에 투자가 가능한 투자중개형 ISA가 출시됐다.

이후 지난해 가입자가 200만명을 돌파하는 등 열풍이 불었지만 미성년자는 가입할 수 없었다.

나 회장은 "학자금 마련, 사회진출 비용 준비 등 미성년자의 경제적 자립 기반을 확고히 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주니어ISA도 도입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금융투자협회는 새로운 산업분야에 대한 모험자금 공급을 확대하고, 대국민 금융투자 교육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금융위원회가 도입을 추진중인 기업성장투자기구 BDC(Business Development Company)의 신속 출범을 위해 힘을 보탤 예정이다.

일종의 비상장 전문투자 펀드인 BDC는 투자자들은 혁신 기업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혁신기업에는 모험자본 공급 통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금융투자 교육 강화를 위해 지난해 10월 금융투자 무료교육 플랫폼 '알투플러스' 오픈한 금투협은 올해 이 앱을 널리 보급해 투자문화 조성에 앞장설 예정이다.

금투협은 또 가상자산·NFT같은 디지털 금융 생태계 시장 개척 등 자본시장의 새로운 성장기반 확충에도 힘쓰기로 했다.

나 회장은 "가상자산 비즈니스가 구체화되려면 가상자산에 대한 규율 체계를 조속히 정비할 필요가 있다"며 "국회에서 논의 중인 가상자산업권법과 더불어 증권형 가상자산에 대한 자본시장법 적용 방안이 함께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디지털 전환 촉진을 위해 디지털·온라인 비즈니스 환경에 적합한 규제체계를 모색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지수희기자 shji6027@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