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독려에도 청소년 접종 '뚝'..13세 10명 중 4명은 'No백신'

장윤서 2022. 1. 22. 11: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이 1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대본 브리핑에서 오는 18일부터 전국 마트·백화점, 학원·독서실, 영화관, 박물관 등에 적용했던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를 해제한다고 밝히고 있다. [뉴시스]


청소년 방역패스 적용을 유지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에도 여전히 백신 접종을 주저하는 학부모와 학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는 3월 예정대로 방역패스가 시행된다면 24일까지는 1차 접종을 마쳐야 2차 접종과 면역을 완성할 시간을 벌 수 있다. 하지만 만 13세 청소년의 백신 접종률은 여전히 60%에 미치지 못한다.

21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이날 정오 기준 13세의 1차 접종률은 59%에 그쳤다. 10명 중 4명은 한 차례도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셈이다. 특히 이달 초 법원이 학원·독서실 등에 청소년 방역패스 적용하겠다는 정부의 계획에 제동을 걸면서 접종률 증가세가 둔화하는 추세다. 이렇다 보니 사실상 '맞을 사람은 다 맞았다'는 말도 나온다.


“서울은 안 하는데...청소년 방역패스 실효성 의문”

앞서 서울행정법원은 학원 등 학습시설에 대한 방역패스 적용 집행정지 신청을 일부 받아들였다. 이어 14일에는 서울 지역의 청소년 대상 방역패스를 중지하라고 결정했다. 정부는 학습 시설에 대해선 방역패스를 해제하며 한발 물러섰다.

다만 방역당국은 식당과 카페, PC방 등 일반시설 위주로 방역패스는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아직 법원의 본안 판결도 남아 있다. 정부가 법원의 효력정지 판결에 대해 즉시항고를 한 만큼 본안 소송에서 결정이 뒤집힐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학부모들은 혼란스럽다는 반응이다. 경북의 한 학부모는 “뉴스에서 청소년 방역패스 집행이 정지된다고 해서 아이의 백신 예약을 취소했는데 앞으로 어떻게 될지 혼란스럽다고”고 말했다. 한편에선 학원, 스터디카페 등 핵심 시설이 빠진 상황에서 청소년 방역패스를 강행하는 게 실효성이 있겠느냐는 불만도 나오고 있다.


교육부 “이상 반응 보상”...학부모들은 ‘냉랭’

유은혜 사회부총리겸 교육부 장관이 18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극복을 위한 학생건강회복 지원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교육부와 방역당국은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청소년의 코로나19 감염 비중이 높아지는 데다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상등교를 위해선 백신 접종률을 끌어 올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18일 교육부는 청소년이 백신을 맞고 이상 반응을 겪을 경우 의료비를 지원하겠다는 '접종 유인책'도 내놨다.

하지만 일부 학부모는 “돈 몇 푼과 아이들의 안전을 맞바꾸라는 거냐”며 반발하고 있다. 교육시설의 방역패스 집행정지를 신청한 전국학부모단체연합 관계자는 “백신의 성분과 안정성이 충분히 검증되기 전까지 접종은 개인의 선택에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육부는 3월 정상등교를 위해 학교에 신속 PCR(유전자 증폭) 검사를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신속PCR검사는 기존 PCR검사처럼 코에 면봉을 넣어 검체를 채취한 후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자를 증폭시켜 검사하는 방식으로 결과를 1~2시간 안에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서울시교육청은 관내 5개 학교에서 신속 PCR검사를 매주 시범적으로 시행했다. 서울대에서도 지난해 4월부터 코로나19진단검사소를 학내에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장윤서 기자 chang.yoonseo1@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