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변이, 백신 미접종자에게서도 증상 덜 심각"..남아공 연구진 발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백신 미접종자가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되어도 기존 변이 감염 시보다 증상이 심각하지 않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블룸버그는 지금까지 오미크론 변이에 따른 남아공의 입원율과 사망률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이 연구 결과도 오미크론 변이가 전염력은 강하지만 덜 치명적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한다고 평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권서영 기자] 코로나19 백신 미접종자가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되어도 기존 변이 감염 시보다 증상이 심각하지 않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블룸버그통신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대 메리 앤-데이비스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이 최근 웨스턴케이프주 공공병원의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보도했다. 연구진은 이 연구에서 델타 변이 등 앞선 3차례 유행 시 코로나19에 감염됐던 1만1000여 명과 최근 오미크론 변이에 따른 4차 유행 때 감염됐던 5000여 명을 비교했다.
연구진은 분석 결과 4차 유행 당시 확진 후 2주 이내에 입원하거나 사망한 비율이 8%로, 기존 3차례 유행 때의 16.5%보다 낮았다고 발표했다. 이어 "4차 유행 때 환자의 사망 위험이 기존 유행 때와 비교해 상당히 감소했다"면서도 "기존 감염이나 백신 접종 등을 추가로 고려하면 감소 정도는 희석됐다"고도 설명했다.
블룸버그는 지금까지 오미크론 변이에 따른 남아공의 입원율과 사망률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이 연구 결과도 오미크론 변이가 전염력은 강하지만 덜 치명적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한다고 평가했다. 다만 남아공에서는 25%가량이 백신을 접종했고 이미 코로나19에 걸린 비율도 70∼80%에 이르는 만큼, 오미크론 변이의 위험성이 제대로 평가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제기된 바 있다. 이에 연구진은 "4차 유행에서는 (사망 등) 가장 심한 결과가 감소할 것"이라며 "오미크론 변이의 독성이 줄어들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해석했다.
한편 남아공 당국은 이날 미국 존슨앤드존슨(J&J) 제약 부문 계열사 얀센의 코로나19 백신을 추가 접종(부스터샷)할 경우 오미크론 변이 감염에 의한 입원을 85% 예방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남아공 의료연구위원회(SAMRC) 글렌다 그레이 위원장은 47만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얀센 백신 부스터샷 접종 후 1∼2개월간 이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권서영 기자 kwon1926@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7년 전 4살 딸 버린 조선족母…주민번호까지 바꿔가며 연락 끊어" - 아시아경제
- 마라톤뛰고 볼링치고 등산복사고…지방의원들 혈세 25억 펑펑 - 아시아경제
- 최현석 "먹는걸로 먹고 사는 사람이라…" 라면 아닌 따뜻한 떡국으로 채운 설 명절 - 아시아경제
- "연 5~10% 적금이라니"…이번에 탄 '우리 아이 세뱃돈'은 여기로[알돈쓸잡] - 아시아경제
- "백화점은 1억, 여긴 40만~500만원에 VIP"…특급호텔 멤버십의 세계[럭셔리월드] - 아시아경제
- “세뱃돈 기준 딱 정해준다”…설날 용돈·세뱃돈 얼마가 좋을까 - 아시아경제
- 美 글래머 "노골적인 의상과 대조 이뤘지만 지나친 집착"…트럼프 장녀 드레스 논란 - 아시아경
- "딸 낳으면 우리 아들 인생 망가져" 미신에 빠진 시부모의 집착 - 아시아경제
- "선관위 투명해야"…'강주은 성대모사' 쓰복만, 전한길 지지글 올렸다 삭제 - 아시아경제
- "우리 강아지 귀엽지"…사진 보냈다가 일망타진된 마약상, 이유는?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