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간 기준금리..2금융권 여파는?

송승섭 2022. 1. 15. 16: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저축은행 차주의 부담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 신용대출자의 상당수가 16% 이상 금리로 대출받은 차주여서다.

15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달 저축은행에서 신용대출을 받은 43.7%가 16% 이상의 금리로 돈을 빌렸다.

엠에스저축은행과 융창저축은행은 공시된 모든 대출이 16% 이상의 금리로 실행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저축銀 신용차주 43.7%가 16~20% 금리
7개사는 고금리 대출 비중만 90% 넘어
소액·부실·다중채무자 많은 것도 취약점"
"금리인상 타격은 2금융권 차주가 더 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4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송승섭 기자]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저축은행 차주의 부담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 신용대출자의 상당수가 16% 이상 금리로 대출받은 차주여서다. 취약차주로 분류되는 영세상공인과 다중채무자도 다수여서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5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달 저축은행에서 신용대출을 받은 43.7%가 16% 이상의 금리로 돈을 빌렸다. 10명 중 4명이 최고금리에 가까운 금리로 대출을 받아간 셈이다. 16~18% 이상 대출 차주가 차지하는 비중은 16.6%였고, 18에서 법정최고금리인 20% 사이로 돈을 빌린 이들이 27.0%를 차지했다.

고금리대출 비중이 90%가 넘어가는 저축은행도 7곳(한국투자·상상인 플러스·청주·인성·엠에스·삼호·융창)이었다. 엠에스저축은행과 융창저축은행은 공시된 모든 대출이 16% 이상의 금리로 실행됐다.

대출금리는 한은의 기준금리에 금융사가 차주에 맞춰 설정하는 가산금리를 더한 뒤 우대금리를 빼는 식으로 산출한다. 한은은 전일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연 1%에서 1.2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이미 고금리에 대출을 받아 쓴 금융취약계층의 경우 사실상 우대금리가 없음을 고려하면 기준금리 인상의 여파를 그대로 받을 수밖에 없다.

다중채무자 불량률 10%…"기준금리 인상 직격탄"

최고금리 수준으로 돈을 빌린 저신용·저소득 계층이라면 만기 시 연장심사 탈락을 걱정해야 할 처지다. 저축은행 입장에서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 취약계층에게까지 계속해서 돈을 빌려줄 수 없어서다. 대출절벽도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억제와 리스크 관리를 주문하고 있는 상황에서 무리해가며 금융취약계층에 돈을 빌려주긴 어렵기 때문이다.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저축은행 내 다중채무자의 불량률이 높은 점도 우려할 부분이다. 불량률은 1년 중에서 90일 넘게 원리금을 갚지 못한 차주의 비율이다. 신용정보원이 지난해 말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300만원 이하로 돈을 빌린 저축은행 다중채무자의 불량률은 10.3%다. 같은 금액대로 돈을 빌린 전체 차주의 불량률(6.8%)보다 3.5%포인트 크다.

타 업권과 달리 저축은행 다중채무자는 갈수록 느는 추세다. 저축은행 다중채무자 비중은 2018년 60%에서 지난해 상반기 66%까지 늘어났다. 은행권의 경우 29%로 매해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기준금리 인상의 여파가 저축은행을 비롯한 2금융권에서 더 위험하게 다가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정부의 대출규제로 영업활동에 제약이 있는 만큼 더 많은 이윤 추구를 위해 취약계층을 탈락시키거나 가산금리를 조금씩 더 올려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