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오르자 '은행 예적금 금리 줄줄이 인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시중은행들이 예·적금 금리 인상에 나서고 있다.
신한은행은 정기예금 및 적립식예금 36종의 금리를 최대 0.40%포인트 인상한다.
또한 1년 만기 '신한 마이홈 적금 금리'는 0.4%포인트 인상돼 최고 2.6%로 변경되며, 시니어 고객 대상 5년 만기 '미래설계크레바스 연금예금' 금리는 0.3%포인트 인상된 연 2.15%로 금리가 적용된다.
우리은행도 18개 정기예금과 20개 적금 금리를 0.1∼0.3%포인트 인상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銀, 38종 금리 최대 0.3%P 인상
KB국민·하나·NH농협銀 등도 검토 중
[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시중은행들이 예·적금 금리 인상에 나서고 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오는 17일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예적금 금리를 최대 0.3~0.4%포인트 인상한다
신한은행은 정기예금 및 적립식예금 36종의 금리를 최대 0.40%포인트 인상한다.
이번 금리인상으로 대표 상품인 '안녕, 반가워 적금'은 1년 만기 최고 연 4.4%로, 자영업자의 목돈마련을 돕는 상품인 '신한 가맹점 스윙 적금'은 1년 만기 최고 연 3.0%로 금리가 인상된다.
또한 1년 만기 '신한 마이홈 적금 금리'는 0.4%포인트 인상돼 최고 2.6%로 변경되며, 시니어 고객 대상 5년 만기 '미래설계크레바스 연금예금' 금리는 0.3%포인트 인상된 연 2.15%로 금리가 적용된다.
우리은행도 18개 정기예금과 20개 적금 금리를 0.1∼0.3%포인트 인상한다. '우리 수퍼 정기예금' 금리는 최고 연 1.45%에서 1.7%로, '원 적금'은 최고 연 2.5%에서 2.6%로, '으쓱 적금'은 최고 연 2.05%에서 2.35%로 오른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과 시장금리 상승에 맞춰 예금상품의 금리를 신속하게 인상했다"고 말했다.
KB국민·하나·농협은행 등도 예적금 금리 인상을 검토 중이다.
한편 예금금리 상승으로 자금조달 비용이 늘어나면서 대출금리도 순차적으로 오를 전망이다.
14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는 연 3.78~5.54%까지 치솟았다. 지난해 12월 말과 비교해 하단이 0.18%포인트, 상단이 0.56%포인트 올랐다. 주담대 변동금리도 연 3.57~5.07%까지 뛰었고, 신용대출 금리는 3.44~4.73%로 상단이 5%에 육박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전체적인 유동성 관리나 금융·통화정책 측면에서 기준금리 인상은 불가피하다"며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취약계층 등의 부담을 금융정책으로만 막으려 하지 말고 재정을 통한 정책적 지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오정근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도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은 재정으로 해야 하는데 재정 상황도 여의치가 않다"며 "따라서 채무조정을 통한 채무의 일부 탕감 같은 단계로 적절히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에어컨 하루 종일 틀었는데 얼마 안나왔어" 믿었다간…낭패인 이유 - 아시아경제
- '약물 운전 논란' 이후 무속인이 이경규에게 한 말은 - 아시아경제
- "이 정도였어?" 주 5일 근무에 월급 571만원…의외의 고수익 직업 - 아시아경제
- "지금 사면 100만원 넘게 이득"…키링 하나에 수십만명 몰렸다 - 아시아경제
- 마크롱, 영국 왕세자빈에 윙크…"영부인한테 또 맞을라" 술렁 - 아시아경제
- 폭염특보 때 근무하면 유급휴가…'혹서기 휴가 보장법' 나온다 - 아시아경제
- "밤 11시 10분엔 주무셔야 합니다"…AI 뒤에 숨은 수학자의 정체 - 아시아경제
- "저거 다 하면 얼마짜리야?"…'고기고명 한가득' 라멘 먹었다가 '비난 폭주' - 아시아경제
- "흠집·얼룩도 폼나"…138억원에 팔린 '원조 버킨백' - 아시아경제
- "둘 곳도 없어, 지옥같은 경험"…반송 택배 수 백개 받은 여성 무슨 일?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