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토양오염도 '양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구보건환경연구원에서 시·구·군과 함께 2021년 5월부터 10월까지 관내 토양오염이 우려되는 116곳의 토양오염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기준 이하로 나타났다.
토양오염원 지역별로 공단 폐수 유입지역, 지하수 오염지역 등 중점오염원 24곳, 산업단지 및 공장 지역 16곳, 어린이놀이시설 지역 31곳 등 총 11개 지역 116곳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구보건환경연구원에서 시·구·군과 함께 2021년 5월부터 10월까지 관내 토양오염이 우려되는 116곳의 토양오염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기준 이하로 나타났다.
토양오염원 지역별로 공단 폐수 유입지역, 지하수 오염지역 등 중점오염원 24곳, 산업단지 및 공장 지역 16곳, 어린이놀이시설 지역 31곳 등 총 11개 지역 116곳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조사항목은 토양오염원 및 토지이력 등을 고려해 오염 가능성이 높은 토양오염물질인 납, 카드뮴 등 중금속, 유기용제류 및 토양산도(pH) 등 총 18개 항목을 검사했다.
검사 결과 토양산도인 수소이온농도(pH)는 평균 7.2로 중성으로 나타났고, 시안 및 벤젠 등 유기용제류 7개 항목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중금속 평균 농도는 아연(66.1mg/㎏)이 가장 높았지만 우려기준(1지역 300mg/㎏)의 22%에 그쳐 토양오염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주양 대구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토양은 한번 오염되면 개선과 복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며, "토양오염실태조사를 지속해서 실시해 토양오염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끝)
출처 : 대구광역시청 보도자료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한국, 11년만에 유엔 안보리 재진입…비상임이사국 선출
- 선관위 '자녀채용'에 위원장 거취는…73.3% "책임지고 물러나야"
- 美국무차관 "안보리 마비로 어렵지만 北 제재위반 용납 안할 것"
- 세계은행, 올해 세계성장률 2.1%로 소폭 상향…"내년까지 약세"
- 한국노총, 오늘 긴급 중집위…경사노위 불참·탈퇴 여부 논의
- 젤렌스키, 교황 특사에게 "휴전이 평화로 이어지진 않을 것" | 연합뉴스
- [서미숙의 집수다] 서울 강남에 불어닥친 '특례보금자리론' 인기
- 후쿠시마 50배라는데…中원전 배출 삼중수소는 왜 거론안할까 | 연합뉴스
- 동초 김연수 소리 이어온 이일주 명창 별세
- 美하원외교위원장, 北 WHO이사국 선출에 "공산당 영향력" 비판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