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K, 바이오 CMO 매출 2조 시대 연다

정재홍 기자 2022. 1. 13. 17:3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정재홍 기자]
<앵커>

제약바이오 세계 최대 행사인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참가한 국내 기업들이 각자 올해 사업 계획을 밝혔습니다.

삼성과 SK는 성장세가 가파른 위탁생산(CMO) 시장을 집중 공략해 연매출을 2조 원 이상으로 늘릴 계획입니다.

정재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사업을 더 크게 확장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습니다.

인천 송도에 건설중인 4공장이 연내 부분 가동에 들어가고, 추가로 5공장 건립 일정도 앞당겨 올해 안에 착공됩니다.

특히 새롭게 짓는 5공장은 mRNA, 세포치료제 같은 유먕한 바이오의약품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멀티모달` 방식으로 만듭니다.

[존림 /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4공장은 연말 부분 가동을 목표로 사전수주 활동을 강화해 고객사들를 최대한 확보할 예정입니다. 바이오 제2캠퍼스 부지확보와 6공장에 대한 계획도 적극 검토할 예정입니다.]

지난해 약 1조 5천억 원의 매출을 기록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현재 적극적인 수주로 1·2·3공장이 모두 `풀가동`에 근접하다고 밝혔습니다.

여기에 4공장까지 추가해 세계 최대 생산능력(62만 리터)을 바탕으로 연매출 2조 원을 노립니다.

내년 미국 나스닥 상장 계획을 밝힌 SK팜테코도 전세계 위탁생산 공급망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프랑스 이포스케시를 인수한 데 이어 올해 미국 유전자세포치료제 CMO 회사 CBM에 약 4,200억 원을 투자했습니다.

이에 따라 SK팜테코는 현재 미국, 유럽, 아시아에 8곳의 사업장과 5곳의 R&D센터를 보유하게 됐습니다.

SK는 특유의 공격적인 M&A 전략으로 투자를 더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약 9천억 원인 매출을 2025년까지 2조 4천억 원까지 키울 생각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백신 등 바이오의약품 수요가 증가하면서 글로벌 전초기지로 부상했던 국내 대형 바이오텍들이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한 단계 더 도약하는 한 해가 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한국경제TV 정재홍입니다.
정재홍 기자 jhjeong@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