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지난해 모바일 앱에 7조9천억 썼다..466억 시간 소비

김은경 2022. 1. 13. 09: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소비자들이 지난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에 지출한 금액은 8조원, 사용시간은 466억 시간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3조8000만 시간을 모바일 앱 상으로 소비하며 다운로드, 소비자 지출, 사용 시간 모든 부문에서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지난해 전 세계 모바일 앱 다운로드 수는 2300억건으로 전년(2180억 건) 대비 5%의 성장세를 보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이용자, 앱 2300억건 다운로드..약 203조 지출
앱애니 "디지털 전환 이후 올해 새로운 경제 주역 모바일"
지난해 전 세계 모바일 앱 사용 현황.ⓒ앱애니

한국 소비자들이 지난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에 지출한 금액은 8조원, 사용시간은 466억 시간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3일 모바일 데이터·분석 플랫폼인 앱애니가 발표한 모바일 시장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모바일 앱 지출을 행한 나라는 중국이며 2·3위는 미국과 일본이었다.


한국은 앱 지출 66억1000만 달러(약 7조9000억원)를 기록하며 전 세계 4위를 차지했다. 지출된 금액은 2019년 47억4000만 달러(약 5조6000억원), 2020년 56조3000만 달러(약 6조7000억원)에 이어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앱애니는 “강화된 방역 규제로 2020년 모바일 앱 경제가 급성장했으나 지난해 백신 접종으로 단계적 일상 회복이 진행되는 등 규제가 완화되면서 모바일 시장 성장세가 완만해졌다”고 분석했다.


앱 사용 시간도 비슷한 성장세를 보였다. 모바일 앱에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한 나라는 중국이며 인도와 미국이 뒤를 이었다.


한국은 466억 시간으로 13위를 기록했다. 2019년 409억 시간, 2020년 460억 시간에 이어 사용 시간이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한국 이용자들의 하루 평균 모바일 앱 사용 시간은 2019년 4.1시간, 2020년 4.8시간에 이어 지난해 5시간을 돌파하며 하루 평균 사용 시간 전 세계 3위를 차지했다.


앱애니는 “한국 내 모바일 소비자는 잠자는 시간을 제외한 하루 일과의 3분의 1을 모바일에서 보내며 여가생활을 넘어 비즈니스·교육·금융·건강관리 등을 포함한 모바일 라이프스타일을 수용했음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전 세계 모바일 소비자들은 지난해 2300억건의 모바일 앱을 다운로드받았으며 1700억 달러(약 203조원)를 지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3조8000만 시간을 모바일 앱 상으로 소비하며 다운로드, 소비자 지출, 사용 시간 모든 부문에서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지난해 전 세계 모바일 앱 다운로드 수는 2300억건으로 전년(2180억 건) 대비 5%의 성장세를 보였다. 소비자 지출은 1700억 달러로 전년(1430억 달러) 대비 19%, 사용 시간은 3조8000억 시간으로 전년(3조5000억 시간) 대비 6% 성장하는 등 모바일 대세론이 더욱 힘을 얻었다.


단, 다운로드 수는 하락세를 보였다. 2020년 20억5000만 건을 기록하며 2019년 20억3000만 건 대비 약 1% 소폭 상승했던 국내 다운로드 수는 지난해 들어 전년 대비 2% 마이너스 성장을 하며 20억1000만 건을 기록했다.


앱애니는 “이용자들이 새로운 앱을 다운로드받는 대신 기존에 있는 앱을 사용하는 것을 택했다는 점을 유추할 수 있다”고 했다.


데이비드 김 앱애니 글로벌 세일즈 부사장은 “TV와 같은 빅 스크린이 모바일의 보조 수단으로 밀려나고 있는 반면, 모바일은 모든 부문에서 새로운 기록을 만들어나가고 있다”며 “모바일은 대면, 비대면의 구분을 넘어 디지털 사회화, 하이브리드 근무, 엔터테인먼트에 의존한 올해 새로운 경제의 주역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다운로드와 소비자 지출은 iOS, 구글 플레이, 중국 서드파티 안드로이드 합산 기준이며 사용 시간은 안드로이드 폰 기준으로 조사됐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